View : 758 Download: 0

Regulatory Focus and Employee Creativity

Title
Regulatory Focus and Employee Creativity
Other Titles
조절초점과 IT종사자의 창의성 간 관계 : 변혁적 리더십과 직장내 우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uthors
DING, LIN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혜련
Abstract
For adapting to technology innovation and survive within this changing dynamic environments and intense competition circumstance, organizations require to be creative and promote employee to be creative for purpose of acquiring and maintaining sustainable competitive strength. Given the importance of employee creativity for the whole organization, it is not surprising that both academia and entrepreneurs have devoted vast attention to exploring the individual factors that can improve creative performance of employees in the past decade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effects of contextual factors, it is also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he contextual variables will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variables and employee creativity because it will provide thoughts for organizations to foster creativity of employees if they have less creative individual traits. This study explores how the regulatory focus influences employee creativity. Besid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workplace friendship are supposed as moderators to explore the effects on the association of regulatory focus with employee creativity. Data was collected by using a web-based survey tool from enterprises related to information technology located in mainland China and 231 pairs of samples were used to test these hypotheses in total.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as an active association of promotion focus with employee creativity. On the contrary, prevention focus was passively correlated to employee creativity. Meanwhil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workplace friendship were proved to be effective in moder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employee creativity. Explicitly, under the circumstance of having a high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active impact on employee creativity was amplified when individuals have promotion focus and the passive impact on employee creativity was weakened when individuals have prevention focus. Similarly, the active association of promotion focus with employee creativity was improved and the passive relationship between prevention focus and employee creativity was mitigated when having a high level of workplace friendshi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ing hypotheses, this study also made some contributions. First of all, this study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ontextual factors play in affecting the associ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employee creativity. Further, the study has fulfilled the understanding of the moderating effects that individuals who are working with will have on the employee creativity. At the same time, it has extended the understanding of boundary conditions related to the association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employee creativity.;기술혁신에 적응하면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치열한 경쟁환경에서 생존 하기 위하여 조직은 창조력을 구비하는 동시에 직원의 창의성을 촉진하여야 지속적인 경쟁력을 획득하고 유지할 수 있다. 직원 창의성이 조직 전체에 미 치는 중요성을 고려하면서 지난 수십 년 동안 학계와 기업인들이 직원들의 창 의성을 높일 수 있는 개인적 요소를 찾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또한 환 경 변수의 영향을 고려하여 이것은 개인 변수와 직원 창의성 사이에 있는 관 계에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직원이 비교적으 로 적은 창의적인 개체 특징을 가지고 있을 때 이것은 직원 창의성을 키우는 데 대해서 사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 직원 창의성에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지를 토론하였다. 이밖에 변혁적 리더십과 직장내 우정은 조절 변수들로 조절초점이 직원 창의 성과 있는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대륙에 있는 정 보기술과 관련 업체를 조사 대상으로 하고 인터넷 설문 조사 도구로써 데이터 를 수집하면서 총 231페어 샘플을 사용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먼저 직원 창의성은 향상초점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반면에 예방초점은 직원 창의성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동시에 변혁적 리 더십과 직장내 우정은 조절초점과 직원 창의성 사이에 있는 관계를 조정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변혁적 리더십은 높은 상황에서 향상초점 이 직원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커지고 예방초점이 직원 창의성에 미 치는 부정적 영향이 약화된다는 점이 분명히 나왔다. 마찬가지로 직장내 우정 은 높은 상황에서 향상초점이 직원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커지고 예 방초점이 직원 창의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완화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서 이 연구에서 공헌도 몇 개를 했다. 첫째, 본 연구는 개인적 요소가 직원 창의성과 있는 관련 중에 환경 변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직장생활 중에 개인이 직원 창의성에 미칠 수 있는 조절 영향에 대한 이 해도 강조했다. 동시에 조절초점과 직원 창의성이 있는 관계와 관련된 경계조 건에 대한 이해를 확대시켰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