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분절과 해체를 통해 표현된 욕망의 알레고리

Title
분절과 해체를 통해 표현된 욕망의 알레고리
Other Titles
Allergy of desire expressed through segmentation and deconstruction : Focused on the My Artworks
Authors
박서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경원
Abstract
현대사회에서 범람하는 시각적 정보들은 무작위적으로 환영처럼 우리의 삶 속으로 투사된다. 우리의 가치관과 신념만으로는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에는 역부족이어서, 항상 ‘만약 ~?’ 이라는 가정 혹은 의심의 반추 과정을 통해 파편처럼 조각난 상태로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믿고 있는 것일까? 우리가 믿고 있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가? 본인은 소설이나 영화 등의 텍스트에서 본인이 속한 세상을 경험하면서, 텍스트에서 연상한 이미지들로 맥락을 제거한 새로운 알레고리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렇게 분절되어 형성된 내러티브는 카모플라쥬 (Camouflage 위장, 변장)처럼 ‘제 3의 자아’가 ‘익명성’, ‘가식과 은폐’ 등으로 감추어진 편집증적인 욕구가 표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계를 보는 시각을 구체화하며, 본인의 내면에서 갑지기 툭 튀어나오는 이미지들의 분절을 통하여 새로운 알레고리가 다른 맥락에서 형성된다. 이렇게 구축된 내러티브는 알레고리적 의미를 내포한 이미지의 집합이며, 프레임 안에서 다시 재구성된다. 재배치되는 과정에서 자율성을 획득한 이미지들은 평면에서 튀어나와 공간으로 확장된다. 2차원 공간에서 파노라마처럼 스쳐지나간 파편들이, 벽에 투사된 그림처럼 외관을 변형하여 변형캔버스를 형성한다. 더 나아가 적극적으로 평면에서 공간으로 매체가 전이되는데, 이는 2차원과 3차원의 경계를 허무는 ‘팝업’구조를 활용하여 평면에서 3차원의 공간을 보여줌과 동시에 환영일 뿐이라는 눈속임 회화로 확장시킨다. 이처럼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 연관성, 그리고 평면과 공간 사이의 넘나듬은 본인 회화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 개념들은 단순한 재현을 넘어서 환영 혹은 착시와 같이 ‘~인 것 처럼’ 보일 수 도 있다. 본인은 ‘만약~’, ‘~ 인 것 같은’ 처럼 애매하지만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는 단어에 주목하여 본인의 은폐된, 혹은 은폐하고자 하는 강박증적인 욕망을 함축시킨 이미지들로 재구축하고, 2차원과 3차원의 경계를 허무는 회화를 실험하고자 한다. 어디선가 불쑥 튀어나올 것 같은 이미지로 함축된 본인의 회화는 상황, 사물을 의심하고 반추하는 발상에서부터 시작한다. 이것으로 인해 텍스트가 변형되거나, 새로운 맥락의 내러티브가 탄생되고 다시 그 이미지들에 의해 분절되어 내러티브를 해체하기도 한다. 이렇게 파편적으로 조합된 내러티브 속의 이미지들은 단순히 재현을 넘어서 반복적 도상과 평면과 입체 경계에 존재하는 요소로 삽입됨으로써 시선을 끄는 장치로 자리매김한다. 그래서 본인의 작품 속에서 반복되는 이미지들의 의미를 스스로 파악하고 추측하게끔 만든다. 1차적 상징성이 아닌, 본인이 감추고 싶지만 뿜어져 나오는 욕망이 담긴 가발, 박쥐 등의 반복적인 이미지 혹은 아이콘(Icon)으로 인해 본래 의미와 형상의 관계가 자의적이게 되고 원작의 일부가 변용되기도 한다. 이로써 본인만의 알레고리가 형성되고 관람자들에 의하여 다차원적인 맥락 안에서 자율적으로 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본인 회화 속에서 보여지는 의구심과 상상력을 발판으로 관객들 또한 대상의 폭을 넓히고 다의적인 알레고리를 연상해보는 과정이 되었으면 한다. ;In modern society, the overflowing visual information is randomly projected into our lives. Our values and beliefs alone are not enough to judge right and wrong, so they always affect our behaviors using the assumption of 'what if?' or in a process of posing questions in a fragmented way. So what do we believe? Is it really right that we believe? I describe the process of forming a new allergy that has been removed from the texts with soft images, while experiencing the world to which I belong, such as a novel The narratives formed by this division are expressed as paranoid desires, such as Camouflage, in which "the third self" is hidden by "anonymity" and "aesthetics and cover-up. In this regard, a new allergy is formed in a different context through the fragmentation of images that pop out of one's inner self. The narratives built like this are sets of images with an allegorical meaning and are reconstructed again within the frame. Images acquired autonomy in the course of relocation pop out of the plane and expand into space. Panoramic shards of two-dimensional space deform the appearance of the canvas, as projected on the wall. Furthermore, the media is actively transferred from the plane to the space, which uses a "pop-up" structure that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the two and three dimensions to show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the plane, while extending it to a blind conversation that is only a welcome. As such, the interrelationship of images and text, and the jumble between the plane and space, serve a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your conversation. These concepts go beyond mere reenactment and may seem like a welcome or an illusion. I want to focus on vague but imaginative words such as 'if~' and '~' to rebuild them with images that imply my hidden or obsessive desire to cover up, and experiment with conversation that blurs the boundaries of 2D and 3D. Implying the images that are likely to pop out of nowhere, his painting starts with the idea of questioning and refuting things. This may alter the text, create a new context of narratives, and break up the narratives again by the images. These fragmentary combinations of narratives go beyond mere representation and become eye-catching devices by inserting elements that exist on the plane and the stereoscopic boundari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and guess the meaning of repeated images in one's work. The original meaning-sha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meaning and shape becomes arbitrary and some parts of the original version are sometimes altered due to the repeated images or icons of wigs and bats that you want to hide but cannot. This will create your own allergy and allow viewers to interpret it autonomously in a multi-dimensional context. Based on the doubts and imaginations shown in the paintings, I hope that the audience will also expand the scope of the subject and associate it with a variety of allego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