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실-
dc.contributor.author김미현-
dc.creator김미현-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10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10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6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65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70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A대 총여학생회 폐지 사건을 통해 ‘탈정치화’된 대학생들의 정치성을 탐구한다. 1990년대 이후 대학의 신자유주의화와 맞물려 대학생 및 청년들은 정치참여에 무관심한 이들로 묘사되었다. 하지만 페미니즘 대중화 과정에서 여러 대학에서 페미니즘이 주요 이슈로 부상하였고, 총여학생회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또한 연쇄적인 총여학생회 폐지 또한 일부 학생들에 의해 학생총투표라는 정치적 의사결정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이러한 흐름은 ‘탈정치화’ 되었다고 인식된 행위자들이 새로운 정치성을 드러내며 경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A대학의 총여학생회 폐지 과정을 중심으로 이러한 정치성의 특성이 무엇이며, 어떻게 분화되고 있는지를 밝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여학생회는 시대에 따라 다르게 의미화 되었으며, 학생운동의 쇠락 및 변화와 매체의 변화가 의미화 과정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또한 오늘날 페미니즘 대중화 과정에서 페미니즘의 확장을 위한 기구로서 총여학생회가 요청되었다. 하지만 일부 학생들에게는 ‘젠더 갈등’의 프레임 속에서 총여학생회가 이해되었으며 이에 따라 총여학생회에 대한 반감과 우려가 커지기도 했다. A대학의 총여학생회 폐지의 과정은 이러한 각기 다른 의미화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둘째, 총여학생회 폐지의 지배담론은 ‘신고’와 ‘좋아요’의 숫자에 따라 게시물이 관리되고 남성중심적 하위문화로 채워져 있었던 ‘에브리타임’을 통해 부상하였다. 또한 학생총투표를 통해 모든 토론의 과정을 대체할 수 있다는 담론의 구성과정에서 “총여학생회의 필요성에 공감”한다는 수사는 오히려 총여학생회의 당위성에 대한 논의를 삭제시키는 역설을 낳았다. 또한 이러한 담론의 형성 과정에서 여성주의 언어는 젠더관점을 탈각한 채 폐지 담론을 형성하는 언어로 전유되었다. 셋째, 이러한 정치학이 작동하게 된 까닭은 총여학생회 폐지 과정에 참여한 행위자들이 공공선을 위한 과정으로서 정치(politics)를 이해하지 않은 채 적대(antagonism)를 통해 입장을 형성하는 성격을 지닌 것과 무관하지 않다. 또한 행위자들은 지식을 성찰의 과정 없이 이해관계에서 적대와 입장을 강화하기 위한 도구로서 활용하고 있었고, 여성주의 언어의 전유는 이러한 성격 속에서 등장했다. 따라서 총여학생회 폐지 과정에서 ‘민주주의’는 단순히 담론적으로 활용된 것을 넘어 오늘날 민주주의의 이해 방식을 드러내며, 민주주의의 의미를 갱신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총여학생회를 지지했던 행위자들 또한 동시대의 통치 합리성에 포섭된 이들로서 ‘탈정치화’된 정치성을 지녔지만, 총여학생회 폐지 과정을 거치며 대항담론을 형성하며 새로운 주체성 획득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A대학의 총여학생회 폐지 과정이라는 특정한 사례를 다루지만, 위 과정에 참여한 행위자들의 성격과 폐지 과정의 정치학은 위 사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오늘날 정치(the politics)를 상실한 ‘탈정치화’된 주체들의 정치적 경합의 과정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폐지 과정에서 일어난 여성주의 언어의 전유를 포착하고 페미니즘 대중화의 한계를 드러내며 이후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여성학적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litics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been "post-politicized" through the abolition of the student council of (A) University. In line with the neo-liberalism of universities since the 1990s in Korea, college students and young people have been portrayed as indifferent to political participation. However, feminism has emerged as one of the major issues in many universities in the process of feminism popularization, raising interest in the women’s student council. The serial abolition of the women’s student councils was also carried out by some students through a political decision-making process called a university referendum. This trend suggests that actors perceived to be “post-politicized” are conflicting with each other, revealing new polit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abolition of the student council at (A) University and reveals what the political aspects are and how they are conflicting.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women's student council has altered over time. The decline of student movements and change in the media have acted as important variables in the process. Women's student councils were requested as an organization for the expansion of feminism in the course of popularizing feminism today. However, some students understood women's student council within the framework of the Gender Conflict, growing antipathy and concern towards it. The process of abolishing (A) University's women's student council was based on this signification difference. Second, the ruling discourse on the abolition of the student council emerged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where postings were mana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icks and filled with a homo-social subcultur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discourse, the phrase that "agreed on the need for women's student councils" has replaced the entire process of debate with a university referendum, which led to a paradox that eliminated the discussion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udent council. Meanwhile, the feminist language was also re-signified to form the discourse of abolition, regardless of the gender point of view. Third, the reason why the politics of abolition worked is that agenci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abolishing women’s student council have the characteristics of forming positions through antagonism without understanding politics as a process for the public good. These agencies were also using knowledge as an instrument to strengthen hostility and position in interests without reflection, which resulted in the trappings of feminist languages. Thus, the ruling discourse on "democracy" in the process of abolishing women’s student council demonstrates the way democracy is understood today. It suggests that the meaning of democracy should be renewed. Although the agencies that supported the student council also had the "post-politicized" politics and are subsumed within the rationality of contemporary rule, they gained new subjectivity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deals with one case of the abolition of women’s student council at University (A), but the nature of the agencies involved and the politics of the abolition process are not just limited to the above.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reveals the process of agonistics among "post-politicized" agencies who have lost the goal of politics today. It also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gender study in that it captures the trappings of feminist languages that took place in the course of abolition, and reveals the limitations of feminism popular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1 B. 문제제기 3 C. 이론적 배경 6 1. 후기 근대사회의 정치성 변화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6 2. 디지털 시대 온라인 공론장의 실천에 관한 연구 9 3. 청년세대 및 대학생의 탈정치화 논의 검토 12 D. 연구대상 및 연구 방법 15 1. 연구대상 15 2. 연구방법 17 3. 연구자의 위치 21 Ⅱ. 대학의 역동 속 학내 여성주의 운동의 계보학 23 A. 여학생운동을 위한 총여학생회 건설 24 B. 학생운동의 위기와 성정치운동의 부상 28 C. 학생회의 의미 변화와 게시판 공격을 마주한 총여학생회 31 1. 여성주의 운동에 대한 반발의 부상 31 2. 학생회의 의미 변화에 따른 총여학생회의 의미 37 3. 게시판을 통한 페미니즘에 대한 공격과 저항 40 D. 페미니즘의 대중화와 총여학생회의 의미를 둘러싼 경합 41 1. 페미니즘 대중화를 통해 갱신되는 총여학생회의 의미 41 2. 소속에 따라 분화된 총여학생회의 의미 48 E. 소결 53 Ⅲ. 총여학생회 폐지 장(field)의 정치학 54 A. '기울어진 공론장- 에브리타임의 정치화 55 1. 숫자로 구축되고 남성중심적 하위문화로 채워지는공론장 55 2. 총여학생회 폐지가 확대한 에브리타임의 영향력 65 B. 총여학생회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학생총투표의 역설 73 1. 가치판단을 보류하는 학생총투표 73 2. 자정이 불가능한 총여학생회에 대한 단죄 79 C. 폐지 과정에서 나타난 여성주의 언어의 전유 82 1. 젠더관점을 탈각한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의 남용 82 2. 모두를 위한총여학생회 폐지 86 D. 소결 91 Ⅳ. 총여학생회 폐지 과정 속 행위자의 정치적 성격 93 A. 입장을 통한 정치적 의식의 형성 94 1. 사건과 적대를 통해 구분되는 입장 94 2. 입장을 확인하는 창구가 된 온라인 공간 103 B. 정치적 도구로서 지식 활용과 성찰의 실종 111 C. 디지털 공론장과 수의 집계에 대한 열망 116 D. 총여학생회 폐지 이후 분화된 정치적 성격 120 E. 소결 124 Ⅴ. 결론 126 참고문헌 129 ABSTRACT 1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569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총여학생회 폐지 과정을 통해 본 대학 내 주체들의 분열과 경합의 정치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olitics of Conflict and Competition in a University through the Abolition of the Student Council-
dc.creator.othernameKim, Mi Hyun-
dc.format.pagevii, 13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