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8 Download: 0

교권침해 피해교사들의 심리적 외상과 상담을 통한 회복 경험

Title
교권침해 피해교사들의 심리적 외상과 상담을 통한 회복 경험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covery Experience through Counseling and the Psychological Trauma of Teachers Who Experienced Teachers Right Infringement
Authors
조유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권침해 피해교사들의 심리적 외상과 상담을 통한 회복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권침해 피해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이론적 표본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선정하였으며 연구참여자 포함기준은 자료수집 일을 기준으로 교권침해 피해로 인해 상담을 받고 종결한 경험이 있는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Corbin과 Strauss(2008)가 제시한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개방 코딩, 축코딩 과정을 거쳐서 진행하였으며 자료의 수집과 분석은 동시에 이루어졌다. 자료수집과 분석과정 전반에 걸쳐 끊임없이 비교하고 질문하는 전략을 활용하여 이론적 민감성을 유지하였다. 연구결과 개방 코딩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129개의 개념, 46개의 하위범주, 2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의 결과로서 패러다임 모형의 중심현상은 교권침해 피해교사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외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교사 이전에 한 인간으로서 깨어진 자기를 만남, 학교 관계에서 단절되어가는 외로운 자기를 경험, 교사로서 부적절한 자기를 느낌으로 확인되었다. 중심 현상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으로는 학생들로부터 교사의 권위에 도전받으며 모욕과 폭력을 당함, 학부모로부터 교사의 권위를 침해받고 화풀이 대상으로 괴롭힘을 당함, 관리자에게 보호받지 못하고 권위에 복종하도록 강요받음으로 확인되었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동료 교사들의 경직된 반응, 가해 주체보다 더 큰 고통을 주는 관리자, 상황적 한계에서 오는 무력감과 현실적 공포, 교직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는 가족과 친구, 교사에 대한 가혹한 사회적 잣대로 확인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으로는 사회적 지지, 상담자의 교직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 상담에 대한 이해와 인식, 성장에 대한 내 안의 열망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외상 경험에 대처하는 상담 과정 안에서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온전히 나를 담아주는 대상과 함께하기, 사건을 함께 직시하기, 사건을 통해 나 자신을 이해하기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상담의 결과로 교사 이전의 자신에 대한 재발견, 교사로서 자신의 역량 재형성, 학생과 함께 성장이 확인되었다 교권침해로 피해교사들이 경험하는 외상은 복합외상으로의 성격을 띄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로 인한 후유증으로 자기체계의 손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권침해에 대해 감수성이 부족한 관리자는 피해교사들의 외상 경험의 중요한 맥락적 요인이었으며 피해교사들은 교사라는 대상에게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엄격한 잣대로 인해 더 큰 고통을 받았는데 이는 외상에서 비롯되는 수치심과 죄책감, 분노와 같은 2차 정서 반응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권침해 피해교사들이 상담을 받기 위해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교사들의 상담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교사들은 상담자에게 자기가 진정으로 이해되고 수용 받는 깊은 공감적 관계 안에서 회복을 시작할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고통스러운 정서를 직면하고 표현하는 과정이 상처의 회복에서 가장 선행되어야 할 과정이었으며 피해교사들의 사건에 대한 객관적 조망은 자기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로 연결되었고 변화와 성장을 위한 중요한 밑거름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피해교사들은 관리자와 동료와 같은 사회적 지지를 통해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로 인정받고 타인과 연결되는 친밀감을 느끼면서 외상에서 회복되어갔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피해교사들의 외상 회복을 위한 상담에서는 교직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상담자의 전문성이 중요하며 피해교사들이 상담에 대한 도움추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회적 낙인과 비밀보장에 대한 염려에 대한 고려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권침해 피해교사들은 상담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형성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교권침해 피해교사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외상을 이해하고 상담을 통한 회복과정을 해석할 수 있는 실증적인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이후, 교권침해 피해교사들의 회복을 위한 상담심리치료와 상담프로그램 개발뿐만 아니라 상담자 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trauma of teachers who experienced teachers right infringement, and explaining their therapeutic factors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In-depth interviews with 8 teachers who experienced teachers right infringement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Interviewees were selected by theoretical sampling method and they were elementary (or middle school) teachers who had been through a counseling for traumatic experience of teachers right infringement by the day of data acquisition. Following the grounded theory analysis suggested by Corbin and Strauss (2008), the process of open-coding, axis-coding was adopted in this study and all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t the same time. Repetitive comparison and questioning strategies were utilized throughout all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 order to keep the level of theoretical sensitivity. As the result of open-coding, 129 of concepts, 46 of sub-categories, 21 of categories of major themes were finally drawn. By the result of axis-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of paradigm model, which represents the psychological trauma of teachers who experienced teachers right infringement, was identified as the experiences of ‘facing the fragmented myself as a person before a teacher’, ‘feeling the lonely myself having been insulated from school relationships’, and ‘feeling inappropriate myself as a teacher’. The causal conditions which caused the central phenomenon were revealed to be ‘insults and violence by student challenging the authority as a teacher’, ‘infringements of authority and harassment by parents to vent their spleen’, and ‘failure to be cared and compulsion to obey their authority by supervisors’. The contextual conditions which influenced the central phenomenon were revealed to be ‘paralyzed reactions by peer teachers’, ‘harder pains caused by supervisor than by the attacker’, ‘sense of helplessness and realistic panic from the situational limits’, ‘ignorance of the culture of teacher by family members and friends’, and ‘severe standards for a teacher by the society’. The intervening conditions promoting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revealed to be ‘social support’, ‘understanding the specialties of teacher by the counselor’, ‘understandings and recognitions of counseling’, and ‘passions for growth’.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coping with trauma within the counseling process, were revealed to be ‘to be with the person who is holding myself’, ‘to face the case together’, ‘to understand myself through the case’. Finally, ‘rediscovery of myself before a teacher’, ‘reform of capabilities as a teacher’, and ‘growth with student’ were identified to be the results of recovery process of strategic counseling. The victims of teachers right infringement experienced complex trauma and their self-systems were damaged by the aftereffects. Supervisors, who were lack of sensitivity in teachers right infringement, proved to be an important contextual cause of visual symptoms. As being teachers the victims suffered harder by the severe standards of the society because it was proved to accelerate secondary emotional reactions as shame, guilty, rage from the visual symptoms. Understandings and recognitions of counseling were identified to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their decision process to get counseling. The victims were able to begin recover within in-depth sympathetic relationships in which they were truly understood and accepted by the counselor. And, they faced and expressed their painful emotions as the very first step above all to recover. The objective observation of the case was connected to deep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nourished the change and growth afterwards. The victims were healed from the trauma through the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peers while they were recognized to be valuable person and feel intimacy of being connected to others. Meanwhile, with counseling the victims of teachers right infringement, it is proved that the counselor should understand the specialties of culture of teachers and consider their anxiety about social stigma and confidentiality. The victims were proved to build new identification of themselves through the experience of counseling. With all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an empirical ground to interpret the recovery process through counseling of victims of teachers right infringement and it presents implications not only for developing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program of victims of teachers right infringement but for counselor trai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