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3 Download: 0

뒤덮는 이미지와 기이한 몸

Title
뒤덮는 이미지와 기이한 몸
Other Titles
Covered Images, Strange Bodies : The Artistic Practices of Minorities
Authors
김지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문경원

이찬웅
Abstract
본 논문은 ‘책’과 ‘몸’을 동시대 예술의 영역으로 불러오고자 한다. 본인은 책과 몸을 소재로 삼은 작품을 통해 사회와 역사가 부과한 권력의 문자와 몸의 이상향에 관하여 문제를 인식한다. 책과 몸은 본인의 작품에서 근본적인 연속성을 갖는다. 본인에게 책과 몸은 사회와 문화가 지정한 권력이 작동하는 ‘장소’이자 동시에 권력에 맞서 저항하는 ‘플랫폼’으로 기능하며, 주체화가 일어나는 중요한 ‘영역’이다. 이처럼 본인에게 책과 몸은 여러 겹의 다층적 함의를 지닌다. 요컨대, 책과 몸은 본인의 예술 작품에 있어 구체적인 영감을 제공하는 소재일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본인을 자극하는 핵심적인 존재다. 본론에서는 본인이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제작한 작품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미학적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그것은 책 드로잉(book drawing) 연작과 드로잉 워크숍, 마지막으로 기묘한 몸을 표현한 회화 시리즈로 구분, 이 예술 프로젝트들의 조형적 표현과 이론적 개념을 본 연구의 주요 주제로 설정하고, ‘책에서 몸으로’ 향하는 사유의 궤적을 좇는다. 즉, 본인의 작품에서 선명하게 드러나는 책과 몸을 저항의 장소로 해석하고 이곳에서 맞닥뜨리는 사회적 고정관념에 관하여 예술의 관점에서 들여다보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우선 책 드로잉 연작에서 살펴볼 수 있는 조형적 특징은 책의 활자를 덮거나 지움으로써 침윤하는 이미지이다. 이 프로젝트에서 본인의 드로잉은 책의 지면과 활자를 뒤덮고 무력화시키면서 표현된다. 이 부분에서는 타지에서 이방인으로 생활했던 본인이 외국어 소통의 어려움과 교묘한 배제에 관한 저항을 책의 활자를 침범하며 드로잉으로 표현하는 것에 집중한다. 언어의 장벽은 영어를 구사하는 원어민이 성립한 지식의 공동체에서 본인을 점점 멀어지도록 방치했다. 이처럼 문자의 공동체에서 소외된 경험은 오히려 세계의 시민과 진행한 드로잉 워크숍의 동력으로 작동한다. 대만, 영국, 한국이라는 모두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참여자들은 ‘드로잉’이라는 시각 언어로 소통하며 포용을 경험하게 된다. 여기서 활자의 배타성은 이미지의 포용성으로 대체된다. 책 드로잉 연작에서 드러나는 이미지의 대부분은 분명히 인간 신체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그 모습은 뒤틀리거나 절단되고 변형된 기이한 몸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본인은 신체의 모습이 하나같이 기이한 모습으로 드러내는 것에 집중하고, 그 이유와 논리에 관하여 전면적으로 조명한다. 몸에 대한 관심을 자각하고 인지한 순간부터, 작품의 크기와 맥락, 형식도 변주를 맞이하게 된다. 가령, 책이라는 제한된 화면을 벗어나 가죽(skin)처럼 두꺼운 종이로 회화의 지지체를 확장하거나, 실크 스크린이라는 매체가 갖는 형식적 특징을 몸의 에너지로 전환하여 퍼포먼스로 촉발하고 간결한 선과 깔끔하게 떨어지는 면으로 이루어진 회화의 특성을 완전한 몸의 정의를 덮는 불완전한 몸의 겹으로 해석한다. 더불어 본인의 몸에 관한 이론적 개념의 분석을 인문학의 관점으로 접근한다. 본인은 왜곡된 형태의 신체들과 유동적으로 넘쳐흐르는 체액의 형상을 회화에서 반복적으로 묘사한다. 이러한 비정형 신체의 이미지를 통해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단단하게 고정된 몸의 이상형에 관하여 의심하고, 완전한 신체(The Perfect Body)에 관한 정의를 되묻는다. 철학은 사회와 역사가 제시한 고정되고 경직된 몸에 관한 ‘고체적 인식’을 유동적이고 가변적인 ‘액체적 사고’로 사유하기를 제안한다. 본인의 회화에 등장하는 비정형의 신체들의 모습은 사회가 제시하는 젊고 아름다운 신체의 견고한 믿음을 교란하는데 이것은 비정형의 신체를 주체도 객체도 아닌 독립된 존재로 받아들이는 인문학의 개념과 겹쳐진다. 본인은 언어의 권력 구조 안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인 이방인으로, 정형의 신체에 도달하지 못하는 비정형 신체의 인간으로 존재한다. 본인은 아시아인이자 여성이며 신체의 한계를 가진 소수자이지만 예술 프로젝트를 주체적으로 진행하고, 예술 작품을 사회적, 철학적, 미학적으로 연구하고 생산하는 문화의 생산자라는 점을 깨닫는다. 이 논문에서는 책과 몸이라는 두 장소를 마이너리티의 관점으로 해석하지만 역으로 이 예술 작품들을 통해 오랜 시간 동안 역사와 사회가 강요하는 권력의 활자와 단 하나의 몸의 모델에 저항하며 본인의 주체성을 견고히 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interprets the heterogeneous worlds of books and bodies as spaces, examining their meanings and positions in contemporary art through my own works. I lay an aesthetic foundation by broadly dividing my works from 2016 to 2019 into three sections: the book drawing series, drawing workshops and my series of paintings depicting strange bodies. Taking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formal expression in these projects as my main themes, I follow the trajectory of my thought as it travels from books to bodies. Positing these two clearly apparent spaces in my works as places of resistance, I suggest re-examination, from an artistic perspective, of the social stereotypes encountered within them. A formal trait that can be observed in my book drawing series is images that infiltrate books by covering or deleting their text. Describing this project, I outline the logic by which my images cover the pages of the books, thereby acquiring formal power, and how my artistic thought is expressed in the form of works. In this section, I also explore how the experiences and disadvantages that inevitably arose in the course of life as a stranger in a foreign land were able to be expressed and magnified through individual thought and artworks. The language barrier neglected me and gradually pushed me gradually further away from the intellectual community created by native speakers with a mastery of English. This experience of exclusion from the community of letters actually became an impetus for the drawing workshops that I later conducted with people around the world. Participants from Taiwan, the United Kingdom and Korea, all of whom used different languages, communicated through images, thereby experiencing inclusion. The exclusivity of text was replaced by the inclusivity of images. Most images that appear in my book drawing series are clearly shaped as human bodies, but are depicted in strange physical forms: distorted, severed, transformed.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se bodies all appear in such strange forms, I cast light on the causes and logic behind this. From the moment I became aware of and interested in bodies, I encountered variations in the size, contexts and forms of my works. These were an attempt to go beyond the limited size of books and expand the media of my pictures to include paper as thick as skin, to trigger performance-based forms by changing the formal features of silk screen as a medium into bodily energy, and to interpret the characteristic simple lines and clean-fitting faces that constitute pictures as layers of imperfect bodies covering perfect bodies. In my works, the body thus not only appears through variations on diverse materials and sizes, but exists as a concept of established self, reflecting my own identity. In the same context as that mentioned above, I found the inspiration for my most recent works in body-related philosophy and aesthetics. The work in which I depict a voice reeling off a chain of associated words was an attempt to analyze reference materials found in surrealist art. Among the freakish changes found in the bodies in my pictures, those of severance occur most frequently; based on examples of works depicting severed bodies throughout the history of art, I examined this phenomenon from a variety of angles. Moreover, the bodily fluids that gush out when bodies are severed left me with clear visual and tactile images. From the perspectives of two female philosophers, I determine how my current paintings depict bodily fluids, and how these depictions function. I approach my interpretation of theoretical concepts relating to the body from perspectives of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I repeatedly depict forms of distorted bodies and overflowing bodily fluids. Through these images of atypical bodies, I question the rigidly fixed ideal body forms demanded by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definition of the perfect body. Philosophy suggests considering fixed, inflexible “solid perceptions” of the body posited by society and history through fluid, variable “liquid thought.” The images of atypical bodies that appear in my work disturb the solid faith in young, beautiful bodies as posited by society. This overlaps with a humanistic concept of accepting atypical bodies as neither subject nor objects but independent entities. As a stranger at a disadvantage within the power structures of language, I exist as an atypically-bodied person, unable to attain physical normality. As an Asian woman I am part of minorities, but I conduct my art projects autonomously, and am aware of myself as a culture producer, socially, philosophically and aesthetically researching and producing artworks. In this article, I read the two spaces of books and bodies from a minority perspective. Within the realm of art, by contrast, I attempt to give a firm demonstration of autonom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