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일호-
dc.contributor.author강현아-
dc.creator강현아-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0:59Z-
dc.date.available2020-02-03T16:30:5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0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09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64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프랑스의 저명한 철학자이며 사회이론가로서, 최근 지리학 및 공간이론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지대한 영향력을 보여주는 앙리 르페브르 Henri Lefebvre의 공간생산론을 기반으로 그가 지향했던 ‘차이 공간’이 오늘날 공공미술의 지향점과 같다는 점을 전제로 하였다. 공공미술의 개념이 전면에 등장한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의 예술사는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대전환으로 일컬어진다. 이와 더불어 미술에서의 ‘장소’는 물리적 근거가 있는 고정적, 실제적 입지에서 유동적인 가상의 담론의 ‘공간’으로 전환을 이루어 왔다. 이에 따라 공공미술의 형태도 오브제 중심에서 관객의 참여를 포함한 과정의 형태를 중시하는 형태로 변화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공공미술이 도입된 지 50여년이 되어가는 현재에도 공공미술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제도와 정책은 크게 나아지지 않은 실정이며, 여전히 다양한 문제를 품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를 비단 대중의 몰이해와 서로 다른 목표를 지향하는 공동체 간 이해관계 때문으로 치부하는 것은 지나치게 단순화된 해석이다. 위와 같은 양상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는 공공미술의 ‘공간’ 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프랑스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자이자 일상 및 도시 생활에 관한 이론가였던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 철학을 들 수 있다. 1947년부터 30여년에 걸쳐 저술한 『일상생활 비판』 연작과 1968년 발표한 『도시에 대한 권리』 등을 통해 파리 68혁명과 국제상황주의 등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던 그의 철학은 오늘날 공공미술의 쟁점과 그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르페브르는 도시 속 우리의 일상은 자본주의적 권력에 의해 주어진 것이며, 이를 통해 ‘소외’의 문제가 심화된다는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따라서 현대인의 일상이 자본주의에 의해 ‘식민화된 것’이며, 이들이 살아가는 도시 또한 그 안에서 생활하는 개인의 소외를 가져온다는 르페브르의 지적과, 이에 대항하는 ‘재현적 공간’과 ‘차이 공간’이라는 대안적 공간의 제시는 오늘날 도시문제에 대한 사회적 분석이자 공공미술의 공간 이해와 그 비판, 나아가 그 역할과 방향성 제시를 위한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다. 특히 공간은 사회적으로 생산된 것이며, 이를 위한 세가지 계기를 제시한 르페브르의 공간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아, 구체적인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공공미술이 처한 현실에 대한 분석과 대안적 행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독일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의 경우, 전후 낙후된 도시를 문화적으로 부흥시킨 사례로서, 오늘날 도시재생과 연관된 공공미술의 교과서로 일컬어진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가 여타의 문화적 도시재생과 차별화되는 점은 공공미술이 도시를 미화하는 데 그치는 도구적 역할만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는 단순히 작가가 만든 작품을 보여주는 전시가 아닌 예술과 도시공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한 연구의 성과를 작품화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또한 관련 출판물 편찬과 주민 참여 및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소통의 장을 열고 있으며, 이를 통한 도시 정체성 확립에도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시 이후에도 일상에서 예술을 발견할 수 있도록 영구적인 설치 및 보완을 통해 도시에 거주하는 시민들과의 관계를 이어나가고 있다. 위와 같은 노력을 통해 여타 비엔날레 및 미술 관련 축제와 차별되는 고유의 정체성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뮌스터의 사례는 공공미술로써 차이 공간을 생산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폴란드 출생의 작가 크지슈토프 보디츠코의 작품세계를 들여다보면, 8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공공미술 작업을 통해 각국의 대도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작가는 자본주의적 도시와 대도시 중심의 세계화가 은폐하고 있는 지역적, 계층적 소외를 효과적인 형태로 드러냄으로써 예술적 실천을 이뤄내고 있다. 그는 르페브르가 이야기한 탈소외의 방법으로써 대도시의 소외 계층이 거꾸로 그 공간을 전유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전복의 효과를 노리기도 하고, 대도시의 대표적인 공공 건축물에 잊혀진 역사의 기억을 투영함으로써 공간의 재현들을 활용한 차이 공간을 생산한다. 이를 통해 앞서 이야기한 두 프로젝트는 그 의의와 한계를 넘어 하나의 공통 목표를 가지고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공공미술을 통해 사회적으로 재생산되는 공간’이다. 종합해보면, 공공미술은 추상 공간 속에서 우리가 흔히 간과하기 쉬운 일상성의 진부함이나 소외의 문제에 저항하는 ‘재현적 공간’ 생산을 목표로 그 기획 단계에서부터 ‘공간의 재현들’에 대한 충분한 사전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적인 측면이나 작업을 행하는 작가, 그리고 이를 실질적으로 전유하는 도시 및 지역민 모두에 대한 상호 이해,즉 ‘공간적 실천’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현실에 발붙인 이상적인 결과물인 ‘차이 공간’이 창출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른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ory of the production of space by Henri Lefebvre, a renowned French philosopher and social theorist whose works have recentl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various fields including geography and theory of space, assuming that the “differential space” pursued by Lefebvre is equivalent to the aim of public art today. Art history from the mid-1960s to the 1980s when the concept of public art fully emerged is referred to as the great shift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In addition, the concept of “place” in art has shifted from a fixed, practical location with physical grounds to a “space” that is a fluid virtual discourse. Accordingly, the form of public art has also changed from being object-oriented to process-oriented that includes audience participation. However, even after 50 years since first implementing this new concept of public art, there has not been much improvement in the perception of public art or relevant systems and policies, with many issues still remaining unresolved. It is not reasonable to presume that these issues are due to the public’s lack of understanding and the conflict of interest among communities with different goals. To analyze the above aspects,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space” in public art.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is the philosophy of space by Henri Lefebvre, a French Marxist philosopher and theorist, on everyday and urban life. His philosophy exerted a great impact on the Paris riots of May 1968 and the Situationist International through his works such as the Critique of Everyday Life series that he had written for over 30 years since 1947, and The Right to the City published in 1968. Today, his philosophy provide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issues of public art and finding their solutions. Lefebvre maintained a critical position that everyday life in the city is driven by capitalist power, through which the issue of “alienation” is intensified. Therefore, the everyday life of people today has become “colonized” by capitalism, and the city in which they live also brings alienation to individuals that live in it, as pointed out by Lefebvre. Moreover, presenting the alternative space of “representational space” and “differential space” can be an important theoretical ground for social analysis of urban problems today, understanding and criticism of the space in public art, as well as its role and direction. Using the theory of the production of space by Lefebvre, who claimed that space is socially produced and presented three triggers for that,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applied this to specific cases to analyze the reality faced by public art and provide alternatives. First, Skulptur Projekte Münster (Sculpture Projects in Münster) in Germany present an example that culturally revived a lagging postwar city; it is referred to as the guidebook for public art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today. However, what differentiates this project from other cultura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s that public art does not serve merely as a tool to beautify the city. The Sculpture Projects in Münster are not just exhibitions of the artists’ works, but turn research accomplishments into artwork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urban space. Moreover, they also provide all kinds of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by compiling relevant publications and holding resident participation and training programs, through which they perform a key role in establishing the city’s identity. Furthermore, the artworks are installed permanently and supplemented constantly even after the exhibition so that citizens can enjoy them in everyday life, maintain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itizens living in the city. Through such efforts, the Sculpture Projects in Münster created a differential space as public art by establishing a unique identity tha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cities. Moreover, the oeuvres of Polish artist Krzysztof Wodiczko show that he is focusing on various forms of social problems that occur in metropolises through his works of public art since the 1980s until today. The artist fulfills artistic practice by effectively revealing regional and hierarchical alienation hidden by globalization focused on capitalist cities and metropolises. As a method of de-alienation mentioned by Lefebvre, the artist aims for the effect of an overturn by inducing the alienated class of metropolises to exclusively possess the space instead. He also produces a differential space using representations of space by projecting the forgotten memories of history to the major public buildings of a metropolis. The two aforementioned projects share a common goal beyond their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which is a “space socially reproduced by public art.” In sum, with the goal of producing a “representational space” that resists the issues of alienation or cliché of dailiness (quotidienneté) that we are likely to overlook in the abstract space, public art requires sufficient pre-analysis of “representations of space.” Moreover, it can be concluded that a “differential space,” which is the ideal output of reality, can be produced only when there is a supporting system, artists to be involved, and mutual understanding about the relevant city and residents that would appropriate the art—that is, “spatial pract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H.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에 대한 고찰 4 A. 공간생산론의 이론적 배경 : 일상 및 도시연구 4 1. 일상에서의 소외와 탈소외 전략 5 2. 도시화 비판과 도시에 대한 권리 12 B. 공간생산의 변증법 18 1.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19 2. 공간생산의 삼항적 관계 21 3. 공간생산의 역사적 전개 30 C. 공간생산론의 의의 36 Ⅲ. 공간생산의 관점으로 본 공공미술 분석 39 A. 공공미술에 내재하는 사회적 공간의 개념 39 1. 공공미술의 장소(place)와 공간(space) 39 2. 공간 인식 변화에 따른 공공미술의 역사 42 B. 추상공간을 생산하는 공공미술의 모순 51 1. 기업적 도시의 도구가 된 예술 54 2. 지역적 소외와 계층적 소외 57 C. 차이공간을 생산하는 공공미술 사례 59 1. 도시의 동질화에 저항하는 축제 :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 60 2. 탈소외를 지향하는 반기념비 : K. Wodiczko의 작품세계 70 Ⅳ. 결론 및 논의 80 참고문헌 84 참고도판 89 도판목록 93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409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공공미술의 역할과 방향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H.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ole and direction for public art : Focusing on H. Lefebvre’s Theory of the production of space-
dc.creator.othernameKang Hyeona-
dc.format.pagevii,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