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첫 취업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 여성의 개인 내외 자원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

Title
첫 취업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 여성의 개인 내외 자원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relationship Psychological Resources and Mental Well-being of female emerging adults preparing for first employment : Based on the Model of Work Satisfaction
Authors
탁진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 인지 진로 이론의 진로 만족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첫 취업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 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그 관계에 있어 자기 효능감 그리고 그릿과 내적 직업 가치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대학교 3학년 이상의 학력을 가지며 최소 6개월 이상 첫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성인 진입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28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 통계 및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 v3.4로 주요 변인들 간의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후 부스트래핑을 실시하여 95% 신뢰 구간에서 매개 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이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를 자기 효능감 그리고 그릿과 내적 직업 가치가 매개하는 경로를 설정하여 연구 모형을 분석한 결과,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 그리고 그릿과 내적 직업 가치의 매개 효과를 검정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 그리고 그릿과 내적 직업 가치 각각을 매개로 하는 단순 매개 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에 더해 사회적 지지에서 자기 효능감과 그릿을 순차적으로 거쳐 정신적 웰빙에 이르는 이중 매개 효과가 유의하였고, 사회적 지지에서 자기 효능감과 내적 직업 가치를 순차적으로 거쳐 정신적 웰빙에 이르는 이중 매개 효과도 유의하였다. 위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 취업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 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정신적 웰빙을 직접적으로 예측할 뿐 아니라, 자기 효능감 그리고 그릿과 내적 직업 가치를 매개로 정신적 웰빙에 이를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사회 인지 진로 이론의 진로 만족 모형이 발전되어온 배경을 지지하는 결과로, 첫 취업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 여성들이 개인 외부에서 지각하는 지지 체계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 체계를 발달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향상된 자기 효능감은 역경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목표를 향하여 지속적으로 나아가는 힘인 그릿과 개인적 성장이나 사회적 공헌을 지향하는 내적 직업 가치를 함양할 수 있게 하여 정신적 웰빙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첫 취업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 여성이 건강하게 진로를 발달시키기 위하여 사회적 지지를 발판 삼아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더불어 뚜렷한 흥미 및 목표나 건강한 직업 가치를 정립하지 못한 채로 직면하게 되는 극심한 취업난은 첫 취업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 여성들의 정신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을 환기하였다. 특히 개인 외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는 진로 발달 과정에서 자기 효능감 그리고 그릿과 내적 직업 가치라는 개인 내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발달적 자산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개인 외적 자원과 개인 내적 자원이 아우러질 때 여성은 보다 적극적이고 건강하게 진로를 발달시켜나갈 수 있을 것이다.;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mental well-being of female emerging adults preparing for their first employment. Moreover,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grit, and intrinsic work value between the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emerging adults at their third year or above of college and with at least 6 months period of preparation for their first employment.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al analysis were conducted on data of 281 participants,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major variables were observed with PROCESS macro v3.4.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at 95% confidence interva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examination of the model based on the path with self-efficacy, grit, and intrinsic work value playing an intermediary role between social support and mental well-being showed that all paths were significant.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grit, and intrinsic work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mental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three parameters was significant. Furthermor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grit and of self-efficacy and intrinsic work value were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female emerging adults preparing for their first employment directly predicts the mental well-being, and its effect on mental well-being can be mediated by self-efficacy, grit, and intrinsic work value. These results support the background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at the support system perceived from one’s external environment develops one’s own personal belief system on one’s ability. This mechanism can predict mental well-being, as it allows female emerging adults to not only demonstrate grit that helps them to make steady progress towards their long-term goal despite adversity but also gain intrinsic work value aiming individual development and social contribution.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importance of belief in one’s own abilities based on the social support in making progress in career development of female emerging adults preparing for their first employment. In addition, the study points out that facing the unemployment crisis without establishing a clear interest, goal, or healthy occupational value can threaten the mental health of female emerging adults in the stage of employment preparation. In particular, social support, an external value, can be a crucial resource that strengthens personal capabilities (i.e. self-efficacy, grit, and intrinsic work value). In other words, women can more actively and appropriately develop their career path when they have both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