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3 Download: 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교과서 개발 경험에 대한 연구

Title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교과서 개발 경험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ers' Experiences in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uthors
박수련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우리나라는 국가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기준으로 삼아 교과서를 편찬하며 학교 교육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최근 개발되어 고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핵심 개념 중심으로 구조화하는 등 그 어느 때보다 학습 경험의 질 개선에 중점을 두고 개정이 되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를 올바르게 구현한 교과서는 학교 교육의 방향을 정착시킬 수 있는 공식적인 교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상에 교육 내용을 구조화하는 방안과 교과서의 내용 구성 방안에 대한 고민은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 교과서 구성의 변화는 교육과정의 변화에 비해 크지 않으며,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에 대한 논의는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교육과정을 교과서화 하는 방안에 있어서 보다 심도 있는 고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적 목표와 내용을 구현하여 실제 교수·학습의 변화와 개선을 이끌어갈 수 있는 교과서 개발에 대한 논의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루어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경험에 주목하게 되었다. 교육과정을 개발하면서 교육과정을 해석하고 교과서로 구현한 실제적인 경험은 질 높은 교과서의 개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들의 교과서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둘째,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교사들의 교과서 개발 경험을 통해 본 향후 교과서 개발의 개선 과제는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와 음악 교과의 중등 교과서 개발에 참여한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교과마다 교과서 개발의 맥락이 다른 특성을 고려하여 과학 교과서 집필에 참여한 교사 4명, 음악 교과서 집필에 참여한 교사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한 면담자료와 함께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 교과서 편찬 지침 및 검·인정기준, 교사들이 개발한 교과서 등을 분석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교과서 개발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들의 교과서 개발 경험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었다. 첫째, 교사들은 교육과정에 기반 하여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수립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 속에서 우리나라 교과서의 위상과 역할을 파악하고, 사회적, 교육적 변화에 적합한 교과서의 개발 방안을 모색하면서 ‘교육과정에 충실한 교과서’, ‘교육적 동향에 부합하는 교과서’,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교육과정(총론)의 개정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강조점에 따라 교과서에 ‘역량 교육을 다양하게 구현’하고 ‘창의융합교육 실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등 교육과정의 목적과 주요 비전을 실현할 수 있는 교과서를 집필하고자 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교과 교육과정(각론)의 학습내용을 구현하고 있었다. 새로운 내용체계표와 성취기준의 내용으로 교과서 단원의 내용과 활동을 구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내용교과로서 과학과 기능교과로서 음악이 가지고 있는 교과 자체적인 특성과 교과별 성취기준의 구체화 수준에 따라 내용체계표는 ‘형식적이고 모호하게 구현’되었으며, 성취기준은 ‘절대적 지침이자 하나의 기준’으로 해석하며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교과서 개발 과정에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모호함과 규제의 문제로 교과서 구성에서의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는 개정 의도 및 내용체계표를 모호하게 제시한 반면 학습 방법 및 평가 유형은 구체적으로 규정하였다. 이에 교사들은 획일화된 방식으로 교과서를 구성할 수밖에 없었다. 둘째, 교과서 개발 지침 및 검정제도의 제약 문제를 경험하고 있었다. 교사로서 바랐던 교과서를 구현하기에는 검정제도의 위상과 개발 지침의 제약이 크게 나타났고, 교과서 구성에서 자율성이 제한되는 문제로 이어지면서 교사들은 교과서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없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교과서 개발 구성원들 간 관점 차이에 따른 의견 조율의 문제를 겪고 있었다. 교과서의 심의 통과를 우선시하는 출판사의 요구나 학습 자료 구성에 대한 편집자의 의견을 수용하게 되면서 교사들은 교과서 저자로서 생각이 담긴 교과서 개발의 한계가 있음을 느끼고 있었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교사들의 교과서 개발 경험을 통해 본 교과서 개발의 개선 과제는 네 가지로 도출되었다. 첫째, 교과서 구성의 질적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교사들이 경험한 어려움의 주요 요인은 교육과정의 내적 모호함과 규제와 같은 교육과정 문서자체에 있었다. 따라서 교과서 개발자들이 교육과정의 의도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교수·학습 내용 및 활동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개발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개발진과 교과서 개발진 사이 협력적인 숙의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교과서를 개발하는 작업은 새 교육과정의 주요 비전과 내용을 해석하고 구현하는 과정이었다. 따라서 향후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적 목적을 일관성 있게 공유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진과 교과서 개발진 간 공식적인 소통 체제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서 구성의 자율성을 증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구축되어야 한다. 혁신적이고 자유로운 형식의 교과서를 승인해주는 제도, 교과서 채택에 다양한 사회적 구성원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 등이 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교과서 개발을 유의미하게 지원할 수 있는 개발 지침의 내용 개선이 필요하다. 교과서 구성을 규제하는 것이 아닌 교사들이 지향하는 교과서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차원에서 개발 지침을 개선하는 것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의미 있는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교과서 구성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 과제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에서부터 교과서를 집필하고 출판하기까지 교과서 개발과 관련된 전반의 노력이 바탕이 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향후 교과서 개발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교과 특성에 적합한 교육내용 구성 방식으로 교육과정을 명확하게 구성해 줄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집필진을 대상으로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방식과 연계될 수 있는 교과서 구성 방안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연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서 출판에 있어서 교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출판사 관계자의 전문성을 키워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을 탐색하고, 향후 질 높은 교과서가 개발 수 있기 위한 시사점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의 특징과 교과서 구성방법을 총론 수준에서 파악하고, 교과서 개발 경험을 집필한 교사의 경험에 제한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각론 수준에서 교육과정의 ‘교과내용’이 교과서의 ‘학습내용’으로 구현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하거나, 교과별 해외 교과서의 구성사례를 분석하는 등 보다 전문적인 논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교과서 집필진, 편집진, 심의진 등 다양한 구성원들의 개발 경험을 통합하여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우리나라 교과서 개발의 전반적인 개선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Korea has established a national curriculum and used this as a guide to write textbooks and develop school education. The recently announced 2015 revised curriculum presents the core competency and restructured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centered on the big ide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earning more than ever. Textbooks with the correct curriculum can be official materials that can establish the direction of education. Therefore, discussions on how to structure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nd how to organize and capture textbooks need to be made in conjunction. However, so far, there has been limited discussion on the developing of textbooks in line with the curriculum, and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is not as large as the curriculum. This suggests that more in-depth discussion is necessary for the textbook of the curriculum. It needs to be expanded to discuss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hat can lead to changes and improvements in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by implementing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oriented by the curriculum. In this context, the study explored deeper textbook writing case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e course of writing the textbook, the experience of teachers who understand the curriculum and organize it into textbooks can be an important basis for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textbooks. For thi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ed. First, how are teachers writ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have experienced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hird, what are the future improvement issues of the textbook through teacher's textbook writing?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I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with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music textbook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ur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writing of the science's textbook and four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writing of the music's textbook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deep interviews. Also, I analyz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s, textbook compilation guidelines, and accreditation standards, overseas textbooks, etc., and deeply understood the context of textbook development by researchers. As a result of the first research problem, there were three major categories of the teachers' experience of develop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irst, teachers were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extbooks based on the curriculum. In identifying the status of textbooks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looking for ways to develop textbooks suitable for social and educational changes, teachers sought to develop ‘textbooks faithful to the curriculum’, ‘textbooks compatible with educational trends’ and ‘textbooks centered on student activities'. Second, teachers tried to reflect the revision issues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vis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teacher composed a textbook that became the foundation of competency education, presented activities for creativity interdisciplinary education or fusion activities with other subjects. Third, teachers were embody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curriculum.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how to interpret and reconstruct content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of science and music subject and the level of materialization of achievement criteria by subject, the content system table was reflected 'formal and ambiguou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was as 'absolute guide and one criterio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as to examine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face in the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First, teachers felt the limitations in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due to the ambiguity and regulation of the curriculum. Because of the ambiguity of the new curriculum content system table and the curriculum that regulates the specific learning method or evaluation type, teachers had to write the textbook in a unified way. Second, they were experiencing the problem of the textbook development guidelines and the restriction of the authorization system on the textbook. To write a textbook that was hoped for as a teacher, the status of the authorization system and the development guidelines were largely limited, and teacher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limited autonomy in textbook composition. Third, they were experiencing coordination problems according to different perspectives among the development members of the textbook. Accepting the opinions of publishers and editors who prioritize the regular passage of textbooks, they felt the limits of writing textbooks. The third research question four issues for improving textbook development through the curriculum was derived. First, a curriculum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extbook structure should be sought. The main factor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writing textbooks was the curriculum documentation itself, such as regulation and the ambiguity of the curriculu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urriculum that can be reorganized into effective and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textbook developers' clea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educational purposes. Second, there must be a cooperative discussion between the curriculum developers and the textbook developers. Developing the textbook was a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main vision and content of the new curriculum.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formal coordin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curriculum developers and the textbook developers that can consistently share the education goals. Third, an institutional foundation that can promote the autonomy of the textbook structure must be established. One approach may be to have a system that approves free-form textbooks and a system that can accept the opinions of various corporate members through the textbook collec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development guidelines that can significantly support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mproving the textbook composition into supporting textbook development guidelines, not regulating, could help explore ways to organize textbooks that enable meaningful learning in school education. The improvement tasks proposed in this study may be based on overall efforts related to textbook developmen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future textbook development were discussed in this context. First, the curriculum needs to be clearly structured using a composition method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econd, systematic and professional training on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that can be linked to the content composition method of the curriculum in the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publishers who can analyze and understand basic knowledge or curriculum about the subject.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we explored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dur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textbooks in the future. However, it has the limitations of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ing of textbooks and how the textbooks are organized at the curriculum theory level, focusing mainly on the teachers who wrote the textbooks. Therefore, in the latter study, more professional discussions should be conducted, such as discussing the way the curriculum contents are implemented as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textbooks or analyzing the composition cases of overseas textbooks by subject. Furthermore, if the research is conducted to integrate and examine the development experiences of various members such as textbook writers, editors, and reviewers a practical plan for the overall improvement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will be sough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