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1 Download: 0

전시기획 활동 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미술비평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전시기획 활동 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미술비평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Class on Art-Criticism Ability of the 2nd Graders in High School
Authors
김수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시각정보와 이미지가 끊임없이 생성되고 소멸하면서 많은 부분들이 전시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전시장에서의 교육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Dierking & Falk, 2000). 일찍부터 학생들에게 전시교육이 필요한 것은 예술의 이해뿐만 아니라 작품 관람을 통해서 사회와 문화, 역사 등과 연계하여 사람들의 살아가는 모습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류지영 외, 2016). 이러한 시각적인 경험은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사람들이 생각하고 느끼는 방법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산하기도 하고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학교나 지역사회의 미술교육 분야에서는 전시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전시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관심을 가지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미술교과 내 전시교육은 시간적인 문제나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전시기획보다는 전시감상을 중심으로 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는 학생 스스로가 ‘전시기획’이 가지는 본래의 의미와 과정을 탐구하는 데에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어 학생들에게 ‘창의융합능력’과 ‘자기주도적미술학습능력’의 미술역량을 길러주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김라영, 2015). 따라서 학생 스스로가 전시기획 활동을 주도적으로 활발하게 전개하면서 미술비평 수업을 연결하여 진행한다면, ‘체험’, ‘표현’, ‘감상’의 영역들이 연계되어 학습자가 기를 수 있는 역량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김은정, 2013). 그러므로 미술교과에 있어 기존의 감상위주의 전시학습을 보완하고 학습자 중심의 전시기획을 강조하여 위의 세 가지 영역의 연계성을 고려한 전시교육의 형태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형태와 의미를 지닌 전시의 등장으로 인해 쏟아져 나오는 시각이미지에 대해 이해하고 해석하여 서로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는 현재 살아가는 사회 구성원인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소양이다(류지영 외, 2016). 그러므로 시각이미지를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닌 구분하고 판단하여 받아들이는 미적안목의 능력이 필요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기르기 위해 학교 교육현장에서는 미술 감상이나 비평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미적안목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상 또는 비평은 단순히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학습이 아니라 학습자가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로 작품과 소통하여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학습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게히건(G. Geahigan)의 탐구적 미술비평 모형을 사용하여 보다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작품을 비평하고자 한다. 현재 교육현장에서는 대체로 펠드먼(E. B. Feldman)의 ‘비평적 담화’라는 비평모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펠드먼의 모형은 비교적 단순한 담화라는 점에서 학습자로 하여금 주체적이고 자기주도적인 비평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언어에 의존한다는 문제점을 지적받고 있다(김창식, 1999). 이에 따라 게히건은 펠드먼의 미술 비평모형을 수정, 보완한 ‘비평적 탐구’라는 비평모형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개인적 반응과 탐구를 중심으로 작가보다 작품을 보는 감상자 입장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미술 비평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Geahigan, G., 1999).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기획 활동 수업이 학생들의 미술비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미술교과의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이에 따라 균형 잡힌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게히건의 탐구적 미술비평 모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미술비평능력을 분석하고, 미술 전시기획 활동과 학생들의 미술비평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미술 전시를 기획하여 활동하고 이를 비평하는 학습 형태로 수업을 설계하고 기존의 감상위주의 전시학습의 형태를 보완하여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먼저, 전시기획과 미술비평과 관련된 선행논문들을 검토하여 각각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전시기획 활동 수업과 학교에서의 미술비평 교육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고찰한다. 그 다음, 전시기획을 통한 미술비평 교육의 현황과 사례를 찾아 분석하여 방향성과 연계성을 모색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전시기획 활동 수업과 비평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것으로, 연구대상자는 D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고 2019년 7월 10일 수요일부터 2019년 7월 17일 수요일까지 일주일 동안 전시를 실행한다. 1차적으로 전시기획 활동 수업을 통해서 학습자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2차적으로 전시를 토대로 한 미술비평 수업을 통해 전시기획 활동 수업이 학생들의 미술비평능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미술비평능력을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전시기획을 통한 미술비평 교육에 대한 결론을 도출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전시기획 활동을 통한 미술비평 수업이 일반적인 미술비평 수업과 비교하였을 때 학습자의 미술비평능력은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미술비평능력 평가의 하위요소 중‘작품의 양식적 이해’와 ‘수업 준비 및 정리’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전시기획 활동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자기평가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전시기획 활동 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미술비평능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학생들이 수업을 준비하고 정리하는 데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과 전시기획 활동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자기평가가 매우 높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미술비평 수업이 아닌 전시기획 활동을 통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미술비평 수업은 학생들이 수업을 준비하고 정리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전시기획 활동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일깨우고, 전시에 대한 인지적 이해의 향상과 더불어 작품을 제작하는 활동에 있어서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적극적이고 진지한 자세로 참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D고등학교 2학년 미술동아리 28명만을 연구대상으로 실험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를 일반화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미술비평 수업을 위해 도판을 임의로 선정했다는 점에서 또한 제한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보다 확대된 연구를 통해 효과를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다양한 교육적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언한다.;In modern society, as diverse visual information and images are constantly generated and decimated, many parts are appearing in exhibition form,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e role and function of education in exhibition halls. The reason why students are need of exhibition education early is not only because they understand art, but also because they can understand how people live through the viewing of art-works in conjunction with society, culture and history. This visual experience allows learners to learn how to think and feel for a variety of people, coming up with creative ideas and giving meaning to their own lives. Accordingly, in the field of art-education in schools and communities, various programs utilizing exhibitions are used, an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for schools to guide students to understand and care about exhibition properly. However, the existing exhibition education within the art-curriculum was mainly focused on appreciation rather than planning due to time problems or spatial constraints. This is somewhat lacking in exploring the original meaning and process of 'exhibition planning' for students, limiting the ability to develop art skills of 'creative convergence' and 'self-directed art learning'. Therefore, if students themselves actively proceeding exhibition planning projects and link them to art-criticism classes, the area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will be linked to further expand the learners' capacity. Thu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existing appreciation-oriented exhibition activities in art-curriculum and emphasize the learners-oriented exhibition planning, taking into account the linkages of the above three areas. In addition, the ability and attitude to understand, interpret, shar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bout the visual images pouring out due to the emergence of exhibitions of various forms and meanings are very important skills for us as members of society today. Accordingly, the skill of aesthetic insight to accept visual images not by unconditional, but distinguishing and judging is necessary, and the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uses art-appreciation or art-criticism most often to cultivating it effectively. Appreciation or criticism that can improve aesthetic insight is not simply passive learning, but learning that learners accept by themselves by communicating with the work in a more active and initiative manner. For that reason, we intend to use Geahigan's exploratory art-critique model to criticize the work more active and initiative.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 uses a critical model of Feldman called ’critical discourse’ generaly. However, Feldman's model is pointed out as a relatively simple conversa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make self-directed criticism and rely on language. Accordingly, Geahigan has developed to enable self-directed art-criticism by focusing on appreciator viewing the work through their personal responses and inquiry rather than author, using the revised and supplemented art-critique model of Feldman.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class affects students' art-criticism abilities, and to explore new directions about the art-class programs and present specific alternatives about balanced education. Consequently, I woul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and students' art-criticism abilities by using Geahigan's exploratory art-critique model. Thus, in this study, the class would be designed in the form of learning that students plan and criticize art exhibition actively, which apply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by supplementing the form of traditional appreciation-oriented exhibition learn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first, to examine each concept and characteristic by reviewing the preceding thesis related to exhibition planning and art-criticism, and to consider the meaning and value of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class and art-criticism education in schools. Next, figure out directionality and connection by search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es and cases of art-criticism education using exhibition planning. As designing and conducting exhibition activity and criticism-class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udy subjects would run exhibition for a week from Wednesday, July 10, 2019 to Wednesday, July 17, 2019, who are the second-year students of D high school. First, through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class, I would consider changes i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rea of learners, and secondly through the art-criticism class based on the exhibition, I would check how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bring changes in students' art-criticism abilities. Finally, the conclusion of art-criticism education through exhibition planning is drawn by the process of verifying learners' art-criticism 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art-criticism class through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are compared to ordinary art-criticism class, the learners' art-criticism abilities were generally found to b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l understanding of works” and "preparation and arrangement of class” among components of the art-criticism ability assessment. Secondly, students' self-evaluation of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was high.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students showed positive effects in preparing and organizing the class and students' self-evaluation about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class was very high, although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class did not have an overall positive effect on the art-criticism ability of the second-year students of high school. The systematic and specific art-criticism class through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rather than the usual art-criticism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for preparing and organizing the class, evoking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ies, and improving their cognitive understanding of the exhibition activity, as well as listening to other people's opinions and engaging in the work initiatively and seriously. However,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only 28 second graders in D high school in Seocho-gu, Seoul,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this research and it also has a limitation in the fact that the art-works were selected arbitrarily for art-criticism class. Resultingly, it is suggested that a wider study should be needed for analyzing the effects to provide learners with a varie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