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4 Download: 0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tudy on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Classes applying Havruta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of 10th grade
Authors
김선혜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대한민국 국민의 여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문화생활을 즐기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다. 그중,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문화생활 분야 중 하나는 미술관 전시 관람으로, 문화체육관광부의 2018 국민 여가 활동 조사에 따르면, 미술 전시 관람은 여가 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났던 분야 3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미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고 하여, 미술관 관람객이 모두 미술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미술에 대한 관심과는 달리 미술관을 찾는 빈도는 여전히 저조한 편으로, 그 이유는 미술 작품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미술관 전시 관람이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것처럼 2015개정 교육과정 중 미술과의 성격 및 교과역량은 스스로 미술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는 소양과 능력을 기르는데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가 작품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감상한 경험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학습자참여중심학습은 교육과정에서 요구하고 있는 수업방법일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배운 것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참여중심학습 중 하나인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교실 밖에서도 응용할 수 있도록 해당 수업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수업시간에 다루는 내용이 충분히 학생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수업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미술 감상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고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하브루타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실효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하브루타 학습법에 대한 문헌 조사 및 선행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하브루타의 개념과 특성 및 미술 교과 활용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감상 작품은 2015 개정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미술 작품 중, 작가의 내면을 표현한 작품과 외부세계를 표현한 작품 위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작품은 하브루타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도록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수업주제는 ‘나의 겉과 속: 우리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로, 감상-표현-감상의 3단계로 진행하며 모든 단계에서 하브루타 학습법이 적용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작가의 내부세계와 외부세계가 표현된 미술 작품을 감상한다. 감상 과정에서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하여 작품의 의미를 상세히 살펴본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작품 계획서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을 제작한다. 작품 계획서를 작성할 때에는 자신의 내면 및 외부세계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방법을 모색하고, 작품 제작은 작성한 작품 계획서를 바탕으로 상자 내부에는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고, 상자의 겉면에는 외부세계 속 자신의 모습을 표현한다. 이 과정에서 하부르타를 활용하여 서로의 작품 계획 및 제작 활동에 대해 질문하고 대답하며 다양하고 적합한 표현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완성한 작품을 감상한다. 이 역시 하브루타를 활용한 질의응답을 하며 작품의 요소와 그 의미를 파악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종합적인 의견 도출을 목적으로 하는 하브루타식 토론을 매 단계에 적용함으로써, 타인의 의견에 대한 이해심과 배려심을 기를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와 같이 하브루타를 적용한 미술 수업을 통해 상대방의 의견을 알아가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며, 그 해답을 모색함으로써, 서로의 의견이나 감정을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공감하고 협력하여 스스로 학습, 협동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실험 수업은 경기도 파주시 Y 고등학교 1학년생 18명으로 구성된 단일집단에 총 6차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설계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학습동기는 김기석(1967)의 학습습관검사 가운데 동기요인척도를 바탕으로, 중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를 측정한 민은지(2018)의 학습동기 검사지를 재구성 하였으며, 학업성취도 검사지의 경우, 고등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의 형성평가 문항을 참고하여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검사지로 연구 대상자에게 실험수업 전과 후에 검사를 진행하였다.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사전·사후 검사결과는 SPSS/WIN 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여 분석 및 비교하였으며, 신뢰도 분석과 대응표본 t-test를 시행하였다. 이 밖에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지, 실기 결과물, 학습자 인터뷰, 연구자의 수업 관찰일지를 분석하여 양적·질적 평가를 통해 연구의 신뢰도를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학습동기의 향상 수준은 단일 대상에 사전 학습동기를 검사를 시 행했을 때, 그 결과는 M=3.22 이었고,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을 진행한 후에 검사한 학습동기의 결과는 M=3.74으로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의 값이 0.52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t=-3.757, p<.01). 학습동기의 하위요인에는 ‘탐구 및 호기심’,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의 4가지 영역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동기지속’영역만 소폭 상승했다. 둘째, 학업성취도 향상에 있어서도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이 효과적이었음이 검증되었다. 학업성취도 사전검사 값이 0.41점이었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0.73점으로 0.32 증가했다. 이는 상당히 유의한 결과로(t=-6.131, p<.001), 수치적인 결과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의 방법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결과이다. 강의식 수업방법으로 최대한 많은 교과 내용을 학습자에게 전달하지 않더라도,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짐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학업성취도의 하위 영역별 분석 결과를 보면 작품 속 사회적 배경에 대한 이해는 사전, 사후 검사 결과가 일치했지만 나머지 9개의 영역은 모두 사전 검사 결과 보다 사후 검사 결과가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 콜라주 기법 이해, 전통미술의 명칭 이해, 극사실주의 이해, 이렇게 3개의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상승폭을 보였다. 셋째, 작품평가의 질적 분석 결과,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은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기결과물을 통해 학습자의 수업 이해도를 확인할 수 있었고, 연구자의 관찰일지로 학습자의 긍정적 태도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학습자 인터뷰의 결과는 학습동기의 하위영역과 연결하여 분석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검사지를 통한 양적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관련성, 만족감, 자신감 이렇게 세 가지 영역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고등학교 미술 교과에 하브루타를 적용하고,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던 미술교육에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하는 첫 시도이자 기단석이 되길 바란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에는 미술교과에서도 하브루타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희망한다.;Recreational time of Korean people has increased substantially where a considerable amount of people is taking time out to enjoy cultured life. A popular area which has gained a lot of public interest over the years include art exhibitions at local galleries and museums. According to a 2018 survey of people’s choice in leisure activitie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rt exhibitions actively ranked third. However, the increased interest in art does not mean all who visit art museums understand or appreciate the art works. Contrary to increasing interest in art, the frequency of museums visits remains low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art works which has prevented regular and habitual visits.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nature and ability of art subject is focused on developing individual skills to understand art works and appreciate the artists intent for their exhibits on their own. This requires the students themselves to analyze, understand and appreciate art work. Therefore, student participation and orientated learning is not only a required teaching method in the curriculum, but it is also effective in applying what is learned in school to real life. In order to apply what is learned in class, outside of the classroom, the curriculum was also intended to arouse students’ interest to sufficiently deliver the contents of the class to students. Havruta learning includes solving problems through dialogue between students through interaction such as class discussions and debates which enhance students’ participation and gain experience on learning by themselves. In this study, Harvruta learning method is applied to art appreciation class as a participation-oriented learning method. To sum 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sson plan for art appreciation classes through the association of using Havruta learning method and applying it to the current educational site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of 10th grade (first year of high school). For this study and developing lesson plan, the prior studies and documents of the Harvuta method were reviewed theoretically to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Havruta and how to apply it to art curriculum. Based on it, lesson plans were designed by considering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The subject of the class is ‘My Exterior and Inside: The Story of Our Living,’ which is conducted in three stages: Appreciation of artists art works, Expression of students feelings towards learned criteria and Appreciation of students art work. The Havruta Learning Act is applied at all stages. In the first stage, students will appreciate the art that express the artist’s inner and outer. During the appreciation process, the meaning of the work is examined in detail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n the second stage, the students draw up a work plan and produces the work based on it. When composing a work plan, find ways to effectively express one's inner and outer world, and make a work based on one's written work plan. Inside the box, students express their inner self, and on the outside of the box, they express their own selves in the outside world. In this process,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s also used. Students ask questions and answer on about each other's work plan and production activities so they can develop their work and execute various and appropriate expressions. In the final stage, students appreciate their finished work by using Havruta, providing questions and answers using to understand the elements of the work and its meaning. By applying the Havruta-style discussion to each stage aimed at eliciting a comprehensive opinion, classes were designed to foster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other people's opinions. Thus, through art classes applying Havruta learning, students can learn and collaborate on their own empathy and co-operation by learning the opinions of each other, presenting their own opinions, and looking for answers together. The experimental class consisted of 6 lessons and applied to a single group of 18, 10th grade from Y High School in Paju, Gyeonggi Provinc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program, the learning motivation test paper of Min Eun-ji (2018), who measured the motivation of 7th grad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motivation of Kim Ki-seok’s (1967) learning habit tests. In case of academic achievement test papers, the formative evaluation questions of high school art teacher's guidebooks were used to produce the test papers. The stud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class with the test paper produced. The results of study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pre- and post-mortem tes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using the SPS/WIN statistical program 22.0,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response sample t-test were conducted.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was supplemented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s by analyzing self-assessment and peer reviews, practical results, student interviews, and class observation logs of resear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had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motivation among high school seniors. The improvement level of the learning motivation was M=3.22 when pre-learning motivation was tested on a single subject, and the result of the study motivation examined after the course of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the Havruta method was M=3.74 which result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t=-3.757, p p.01). The sub-factors of learning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four areas: "exploration and curiosity,"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nd only slightly increased in the area of motivation. Second, it was proven that art appreciation classes using Havruta learning method were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The pre-test for academic achievement was 0.41 point, but the post-test increased 0.32 point to 0.73. This is a significant result (t=-6.131, p<).001), not only the numerical result, but also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his is because even if the instructor-led teaching method does not convey as much of the curriculum as possible to the learners, it shows that effective learning is achieved by the learners themselves participating in the class. Analysis results by sub-area of academic achievement show that understanding of the social background in the work was consistent, but all the other nine areas showed an increase in post-examination results. Among them, the 3 areas, understanding collage techniques, understanding the names of traditional art, understanding the hyper-realism, show significant gains. Thir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assessment of the work showed that the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The practical results showed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class and the positive attitude of the learner was identified by the researchers' observation log. The results of the learner interview could be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the sub-area of th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ree areas, such as relevance, satisfaction and confidence, as did the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the test paper. This study confirmed that art appreciation classes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are effective in inducing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for 10th graders (first year of high school). The study also hopes to be the first attempt and a foundation to apply the Havruta to art education in high school curricula by developing teaching-learning programs that can improv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Based on this, I hope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further researches using Havruta on art education will be developed and actively conducted so that the statistics on leisure time spent at art exhibitions continue to grow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artworks means further and more regular patr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