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에피쿠로스의 행복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달콤함의 찰나」에 관한 연구

Title
에피쿠로스의 행복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달콤함의 찰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e Moment of Sweetness」 based on 『Happiness Theory』 of Epicurus
Authors
이정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현대 사회는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문화와 환경, 가치관들이 재정립되고 있다. 매 순간 새로운 것이 등장하며 동시에 혼합되고 사라지는 격변 속에서 사람들은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애를 쓰지만, 그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사람에게 적당량의 긴장감을 부여하거나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긍정적 효과를 미칠 수도 있지만, 대개 스트레스는 사람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스트레스로 인해 생각의 폭이 좁아지거나 사유에 대해 부정적으로 되기도 하며, 근시안적 선택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스트레스는 신체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개인에게 미친 나쁜 영향은 그들이 속한 공동체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되며 이는 다시 사회의 문제로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문제들의 요인인 개인의 불행은 스트레스로부터 야기되었음을 알 수 있기에 사람들은 스트레스의 해소방법을 탐구하였고, 이에 대한 해답으로 행복론을 들 수 있다. 이에 고대 철학자 에피쿠로스(Epicurus, B.C. 341 – B.C. 270)는 소극적 쾌락주의와 최상의 행복인 아타락시아를 주장하여 쾌락을 절제하여 최소한의 욕구만을 충족함으로써 육체나 마음에 고통이 없는 평정 상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에피쿠로스가 주장한 행복론과 절제를 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쾌락주의의 역설을 사유하며 안무한 한 무용창작작품 「달콤함의 찰나」(2019)를 통해 스트레스가 가득한 현대 사회 속에서 스스로 윤리적 덕을 추구한다면 불행의 굴레를 벗어날 수 있음을 알리고자 하였다. 동시에 절제되지 못한 지나친 쾌락은 오히려 고통을 불러옴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작품을 총 3장으로 구성하였고 각 장면에 따라 작품의 표현적 특성을 주제 및 내용, 무용수의 공간사용과 움직임, 오브제 및 의상의 의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장은 현대 사회 속에서 불안해하고 고통받는 현대인이 현실을 벗어나고자 정신적 쾌락을 추구하는 장면이다. 사회적 공간으로 설정된 무대 앞쪽에 직사각형 길 조명과 소음과 같은 형태의 재즈 음악과 대화하는 소리, 식기 부딪히는 소리 등을 사용하여 그곳이 스트레스에 노출된 삶의 현장임을 암시하였다. 그 안에서 무용수는 무겁고 느리게 뻗는 움직임과 빠르고 강하게 신체 레벨을 낮춤으로써 좌절과 우울의 심리를 표현하였다. 또 무용수는 검은 재킷을 입고 하수에서 상수로 이동하며 개인 의지와 달리 끌려가는 듯한 에너지와 비틀거리며 걷는 움직임으로 스트레스에 의해 무기력해진 모습을 보여준다. 이어서 무용수는 조명이 오버랩되며 생기는 무대 상수에서 중앙 사선으로의 길 조명을 따라 검정 재킷을 벗고 비녀를 뽑아 머리를 풀어 내리며 이동하는데 이는 주체가 내면의 세계로 집중해 들어가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일정한 톤의 전자음에 소리가 불규칙적으로 끊기는 음악을 사용하여 주체의 불안한 마음에 효과를 더하며 외부적 스트레스 요인과 사회적 압박에서 벗어나려는 심리적 상태를 부각함과 동시에 장면의 전환을 암시하였다. 2장에서는 삶에 지쳐 쓰러진 무용수가 자신의 내면의 공간에서 행복의 결핍을 충족시키기 위해 열중한다. 영혼의 평화를 찾기 위해 윤리적 덕의 경험을 사유하지만, 그 행복이 주는 일시성을 깨닫고 더 많은 쾌락을 추구하려다 그것이 오히려 고통과 근심의 원인이 되어 평정심을 잃고 괴로워한다. 무대 중앙 심연의 공간에 푸른빛의 타원형 조명을 비춤으로써 주체의 불행함과 결핍된 심리를 강조한 뒤 다양한 길 조명들을 무용수의 동선에 맞게 사용하여 주체가 내면의 공간을 탐색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또 무대 상수 뒤쪽에 배치한 순수한 쾌락의 상징인 오브제 사탕이 등장할 때에는 행복을 상징하는 주황색 조명을 사용하여 그 의미를 강조하였다. 이후 고보 조명과 푸른 빛의 타원형 조명을 통해 주체의 불안정한 심리를 표현하며 과다한 쾌락의 추구가 주는 역설적 결과를 의도적으로 나타내었다. 음악은 밝고 경쾌한 존 슈트라우스 2세(Johann Strauss Ⅱ)의 Pizzicato polka op. 234를 사용함으로써 2장 전반에 중요하게 활용되는 오브제인 사탕의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무용수는 손을 크게 펼쳐서 내보이거나, 그 손으로 움켜쥐는 동작을 하며 결핍에 따른 욕망을 드러내었고, 가볍고 빠르게 움직이거나 높은 레벨로 도약을 하며 주체가 윤리적 덕을 사유함으로 아타락시아 경지에 도달해 가고 있음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무절제함으로 생성된 과도한 쾌락 때문에 off balance 상태의 움직임을 하던 무용수는 결국 무대 중앙에 쓰러짐으로써 쾌락주의의 역설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었다. 3장은 사회적 현실에 실존할 수밖에 없는 주체가 다시 고통의 굴레에 빠지게 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무대 앞쪽의 길 모양 조명은 1장과 같이 사회적 공간으로 1장 초반과 같은 조명, 같은 음악을 의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스트레스는 사회 속에서 변함없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때 그 조명 안에서 무용수는 재킷을 다시 입고 1장과 같은 움직임을 반복하여 쾌락을 절제하지 못하면 여전히 스트레스 환경에서 해방될 수 없다는 점을 드러내었다. 이처럼 무용창작작품 「달콤함의 찰나」(2019)는 자신의 욕망 조건과 한계에 대하여 명확히 인식하며 쾌락을 절제할 수 있어야 아타락시아를 추구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행복에 다가갈 수 있게 된다는 점을 전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윤리적 덕의 사유를 통해 마음에 근심과 두려움의 원인을 추적하여 그 원인을 앎으로 문제를 해결할 때 바라는 행복을 찾을 수 있다는 점과 반면에 쾌락을 절제하지 못하고 과도하게 추구할 때에는 오히려 심신에 불안과 고통을 불러온다는 쾌락주의의 역설을 드러내며 그 주의점을 시사하고자 하였다.;In contemporary world that is characterized by rapid change, the culture, environment and values ​​of our society are being redefined. Every moment, new things are appearing, mixing and disappearing at the same time and people get stressed while trying to adapt to such a given environment. Such stress might have a positive effect on people by giving them the right amount of tension or helping them make better choices but generally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people. In other words, stress narrows down one's thought, makes one's thought pessimistic or short-sighted. Stress can also have a bad influence on one's health, causing illness. The adverse effects on individuals and their communities, finally turn lead to a social problems. Since the misfortune of the individual causes those social problems, people have explored how to relieve the stress, and conclude that eudaimonism may provide a solution.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 Epicurus(B.C. 341 - B.C. 270) emphasized passive hedonism and ataraxia, the most exalted state of happiness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equilibrium without pain in body and mind. Through 「The Moment of Sweetness」(2019) dance work which is on the base of eudaimonism and the reverse effect of hedonism, the choreographer tries to deliver messages that people can escape misery as long as they pursue ethical virtues. At the same time, the choreographer suggests that the pursuit of excessive pleasure might cause pain. The dance work is composed of three scenes and this study analyzes this artwork from three perspectives : themes and contents, utilization of space and movement, and the meanings of objects and costumes. In scene 1, the dancer is showing that a uneasy and suffering man seeks mental pleasure to escape reality. The front part of the stage is set as a social space, and the road was represented by rectangular lights. In order to show that it is the site of life exposed to stress, noise-like jazz music, dialogue sound, and bowl bumping sound are used. In that seane, the dancer moves heavily and slowly, lowers body level fast and strongly to express frustration and depression. And the dancer with black jacket moves to SL(Stage Left) from SR(Stage Right). She stumbles and walks like drag to show helplessness. Subsequently the lights makes road-shaped light from SL to stage center and the dancer takes off the black jacket and pulls a hairpin off her hair while moving along the diagonal light road. It shows how the character concentrates into the inner world. At the moment, the choreographer uses electronic sound with regular tone and broken music with irregular beats to amplify the character's unstable mind. In addition, it emphasizes the psychological state to escape from external stressors and social pressures, while also suggesting a change of scene. In scene 2, the collapsed dancer who is tired of life engross to satisfy her lack of happiness. The character finds the experience of ethical virtue to seek peace of soul, but she realizes the impermanence of happiness and crave for greater pleasure. But it causes pain and anxiety, leading to a lose composure. By illuminating a blue oval light in the abyss of stage center, the character's unhappiness and lack of psychology are emphasized, several lights were used according to the dancer's movements to express how the character searches her inner space. When the candy objet used as a symbol of pure pleasure appears behind the SL, the orange lighting is added and emphasized the meaning. Then, gobo light and blue oval light are used to express the character's unstable mind and the adverse effect of pursuit of excessive pleasure. To emphasize the image of candy, the most important objet of scene 2, bright and cheerful music, Pizzicato polka op. 234 of Johann Strauss II is used. The dancer shows her hand wide open or grabs the hand, revealing her desire for deficiency. She moves lightly and quickly or leaps to higher level, expressing that the character is attaining the state of Ataraxia by considering of ethical virtues. However, the dancer is thrown off balance by excessive pleasure from immoderation reflects the paradox of hedonism. In scene 3, the character who has to live in the real world, becomes suffering from pain again. The same road-shaped light is used with the same lighting and music of scene 1, and it indicates that the stress remains constant in society. Under the lighting, the dancer is wearing the jacket again and repeats the same movement of scene 1, tells that failure to restrain pleasure is failure to release from stress. 「The Moment of Sweetness」(2019) dance work aims to convey an idea that people should restrain pleasure by recognizing the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one's desires so to reach happiness through Ataraxia. The choreographer implies that people who want to find the happiness, should trace the causes of anxieties and fears and solve them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ethical virtue. At the same time, she warns that if someone excessively pursues pleasure, it causes anxiety and pain in the mind and bo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