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7 Download: 0

‘전후 동아시아’와 한국전쟁

Title
‘전후 동아시아’와 한국전쟁
Other Titles
‘Postwar-East Asia’ and the Korean War : A Comparative Study of China and Japan’s Construction of the Cold War
Authors
강민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민병원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전쟁을 계기로 중국과 일본이 국제적 냉전질서에 마주하게 된 과정을 ‘전후 동아시아’의 맥락에서 고찰한 것이다. 기존의 한국전쟁과 동아시아 냉전질서에 대한 연구는 개별국가의 역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미소 대리전으로 환원되지 않는 ‘다양한’ 냉전의 지역적 경험을 밝히는데 주목해왔다. 이와 달리 본 연구는 중국과 일본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두 국가의 서로 다른 전쟁경험이 동아시아 지역 층위에서 어떻게 구조적으로 맞물려 있었는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945년 이후 ‘전후 동아시아’가 안게 된 국가권위의 부재사태와 전후 국가재건의 맥락에서 논의를 출발한다. 개별적인 지역적 맥락보다도 중국과 일본의 전후사회에서 공통적으로 전개되었던 치열한 국가재건의 경합과 평화와 민주적 개혁에 대한 열망, 그리고 이분법적 냉전 이데올로기를 넘어선 다양한 정치적 요구에 주목하기 위함이다.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이전 ‘전후 동아시아’의 정치적 환경을 확인하여 중국과 일본 비교연구의 기준선을 설정한 것이다. 연구설계는 콜리어와 콜리어(Collier & Collier, 1991)의 역사제도주의(historical institutionalism) 분석틀을 차용했다. ‘전후 동아시아’의 사전조건(antecedent condition)에서 나타났던 다양한 역사적 경로의 가능성이 ‘한국전쟁’을 결정적 국면(critical juncture)으로 하나의 경로로 확정되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특히 중국과 일본의 신정부를 핵심 행위자로 상정하여 한국전쟁 시기 신정부가 항미(抗美), 반공(反共)의 냉전적 수사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전후 국가재건의 추진력을 독점하게 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전쟁 시기 추진된 중국의 항미원조운동(抗美援朝運動)과 일본에서의 기지제공 및 레드퍼지(Red Purge)의 시행과 확산 과정을 비교하였다. 전후 중국과 일본은 탈식민국가와 패전국가로서 출발선의 정치적 지위가 상반될 뿐만 아니라 한국전쟁 시기에는 각각 사회주의 진영과 자유주의 진영에 속하여 대립하고 있었다. 그러나 두 국가의 신정부가 냉전의 적대적 충동을 정치적 수사로 활용하고 미소에 대한 협상력을 확보해갔던 전략적 선택의 과정에서 한국전쟁이라는 지역 열전(熱戰)을 통해 국가-사회, 국가-국제관계를 공고히 하였던 정치적 메커니즘의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후 동아시아’의 맥락에서 한국전쟁과 동아시아 냉전질서의 형성 과정을 재조명해보기 위한 시도였다. 한국전쟁 시기 중국과 일본 신정부의 정치적 선택을 비교해본 결과, 한국전쟁은 전후 국가구상이 신정부의 정치적 목표로서 구체화된 계기인 동시에 전후사회의 정치적 역량과 상상력을 협소하게 만드는 과정이었다. 결국 한국전쟁이 동아시아 지역질서에 남긴 유산(legacy)은 ‘전후 동아시아’의 정치적 역동성을 냉전의 적대적인 대결구도가 압도하도록 한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how China and Japan dealt with the Cold War after the Korean War in the context of ‘post-war East Asia’. The existing studies of the Korean War and the the Cold War in East Asia have emphasized the ‘diverse’ individual historical and regional experiences of the Cold War which were not reduced to US-Soviet proxy wars. In contras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hina’s and Japan’s war experiences were structurally interlocked at the level of the East Asia region by comparing the two countries. The starting point of the study is the absence of national authority and post-war nation building, which ‘post-war East Asia’ experienced since 1945.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fierce rivalry between nation-building, aspiration for peace and democratic reform, and a variety of political needs beyond the dichotomous Cold War ideology. This study sets the baseline for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a and Japan by identifying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post-war East Asia’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By applying Collier & Collier (1991)’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s the framework, the study traces the process in which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historical paths appears during the antecedent condition of ‘post-war East Asia’ but were reduced into a single path, with the Korean War as the critical juncture. In particular, assuming the new governments of China and Japan as key actors, it analyzes the process in which the new governments monopolized the driving force of post-war nation-building by strategically employing the Cold War rhetoric of anti-US and anti-Communism during the Korean War. To be specific, the study compares the implementation and spread of China’s ‘The Great Movement to Resist America and Assist Korea’ and Japan’s base provision policy and the ‘Red Purge’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context of post-1945, China and Japan had contrasting political identities as a post-colonial and a defeated state. During the Korean War, they confronted each other as a socialist state and a liberal state. However, the new governments of both countries made strategic choices to use the Cold War's hostile impulses as political rhetoric and gain bargaining power over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this process, this study identifies similar regional political mechanisms that strengthened state-society and state-international relations through the Korean War.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examine the Korean War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old War in the region through the context of ‘post-war East Asia’. By comparing the political choices of the new governments of China and Japan during the Korean War, this study finds that the Korean War served as a cause that embodied the post-war nation-building as the political goal of the new governments. At the same time, this was a process that narrowed the political capacity and imagination of the post-war societies. In conclusion, the legacy of the Korean War in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 was that the hostile confrontation of the Cold War overwhelmed the political dynamics of ‘post-war East Asi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