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0 Download: 0

양안 (兩岸 ) 협상 메커니즘의 연구

Title
양안 (兩岸 ) 협상 메커니즘의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Cross-Strait Negotiation Mechanism between Association for Relation Across the Taiwan Straits(ARATS) and the Straits Exchange Foundation(SEF)
Authors
YANG, XUANLEI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봉
Abstract
본 연구는 사례연구로서 불완전 주권 국가의 협상 이론을 확장 또는 일반화하는 데 목적이다. 그 중에 중국 대륙과 대만 간의 협상, 특히 2000년대 양안 협상은 “민간성(民間性)”, “정경분리(政經分離)” 등 특수성을 명백하게 드러내기 때문에 양안(兩岸) 간의 협상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것이 매우 유의미하다. 1987년 양안관계 정상화 이후 중국 대륙과 대만이 양안 협상의 제도화를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중국 대륙의 해협양안협회(海峽兩岸關係協會, 이하 ‘해기회’로 약칭) 및 대만 해협교류기금회(海峽交流基金會, 이하 ‘해기회’로 약칭)을 비롯한 양회(兩會, 해협회와 해기회의 합칭) 협상 메커니즘의 형성은 그 중에 성공적이고 전형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2000년대 초기 양안관계가 냉각기에 빠져뜨리고 양회 협상 메커니즘이 중단되었으나 양안 간 실무적 교류가 지속적으로 진행해왔으며 그 동안 ‘마카오 모델(澳門模式)’, ‘양안정당포럼(兩岸黨際論壇)’ 등 다양한 협상 방식까지 형성되었다. 과연 양안 협상 프레임은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지, 어떠한 패턴으로 나갈 것인지 본 논문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상기 연구 문제를 풀어가기 위하여 필자는 기존의 국제협상 이론을 바탕으로 양안관계의 특수성 및 복합성도 함께 고려해서 양안 협상 프레임을 프레임한 뒤, 이를 이론 토대로 양안 협상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결론에서 양안 협상 메커니즘의 회복탄력성 및 ‘국가-사회’ 구조의 복잡성을 밝혔다. 여기서 회복탄력성이란 양안관계의 악화로 인해 양안 양회 제도화 협상이 중단될 경우, 양안 협상 메커니즘은 탄력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양회 협상 메커니즘에서부터 다른 협상 메커니즘으로 전환할 힘을 말한다. 이러한 힘이 ‘국가-사회’ 구조에서 나타나고 그 과정에서 경제적 요인에 기인하는 바 크다고 보인다. ;This case study aims to extend and generalize the negotiation theory of incomplete sovereignty. This paper focus on cross-strait negotiation mechanism which clearly shows the nongovernmental characteristic and separate principles on politics and economy. After normalizing the cross-strait relations in 1987, Chinese mainland and Taiwan started to seek the institutionalization of negotiation. They successfully established an institutionalized negotiation mechanism, including the Association for Relation Across the Taiwan Straits(ARATS) and the Straits Exchange Foundation(SEF). Even though this mechanism was stopped in the early 2000s, when the cross-strait relations fell into a cooling-off period, the communication about practical affairs had been continually working and different negotiation mechanism, such as ‘Macao Model’ and ‘Cross-Strait party Forum’, did appear during that period. Therefore, the author aim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and pattern of cross-strait negotiation mechanism in the paper.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 firstly the author will frame a cross-strait negotiation mechanism based on existing international negotiation the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ross-strait relations. Building off of th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ross-strait negotiation will be discussed. In conclusion, the author claims the resilience of cross-strait negotiation mechanism and the complexity of ‘state-society’ structure. The resilience is defined as a power to recover the cross-strait negotiation in diverse ways when the institutionalized negotiation mechanism was stopped by aggravation on cross-strait relations. Moreover, this kind of power appears in the ‘state-society’ structure and economic factor shows its important influ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