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0 Download: 0

프래그머티즘 철학에서의 창의성 연구

Title
프래그머티즘 철학에서의 창의성 연구
Other Titles
Creativity in Pragmatism
Authors
한지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지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창의성’의 개념을 프래그머티즘(pragmatism) 철학의 시각에서 분석하여 창의성을 철학적으로 이해하고 그에 따른 주제를 예술철학교육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철학함’(doing philosophy)을 통한 예술철학교육 수업 기획안을 새롭게 제안하면서 창의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창의성은 인간의 본질과 삶의 의미를 묻는 철학에서 그것이 우리 삶에서 행하는 역할과 그 의의를 탐구하고, 철학함을 통해 실천해야 하는 중요한 주제이다. 삶의 문제에 대한‘사유의 방식’인 프래그머티즘은 공동체를 이루어 함께 하는 탐구와 지속적인 탐구의 습관을 강조하는데, 이때 지식은 인간이 세계에 적응하기 위한 것이다. 변화하는 세상과 유기체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다윈의 진화론을 수용한 결과다. 한편 기존의 방법과 다른 해결책을 모색하여 부정적인 문제 상황을 극복하는 창의성은 환경에 대한 도전과 극복이라는 점에서 프래그머티즘의 세계 이해와 관련을 맺는다. 한마디로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환경에 대한 프래그머티즘 철학의 사상적 대응은 창의성 개념의 탐구에 있어서 의미 있는 관점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철학에서 창의성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었다. 창의성 계발이나 그 현실적 적용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심리학과 교육학에서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 인물과 지식수준, 환경 등에 따른 창의성의 분류와 자아실현 등에 이르기까지 창의성이 새로움(newness)과 적합성(appropriateness)으로 수렴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성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진행한다. 창의성의 철학적 접근은 창의적 습관으로서 사유와 경험 그리고 자기인식이 이루어지는 창의적 실행 과정이 중심이 된다. 즉 프래그머티즘 철학에서의 창의성 연구는 창의성이 발현되는 과정과 그 기저에 있는 인간과 삶의 본질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프래그머티즘 철학을 창시한 퍼스(Charles Sanders Peirce, 1839-1914)에게 탐구(inquiry)는‘의심의 자극이 믿음의 상태를 획득하려는 투쟁’인데, 지식을 얻기 위한 과학적인 방법의 대표적인 추론은‘만약(If)... 그렇다면(then)’을 형식으로 하는 ‘가추법’(abduction)이다. 퍼스에 의하면 자유로운 상상력을 발휘하여 가설을 발견하는 가추법은 과학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단 하나의 추론이다. 퍼스의 가추적 인식이 과학자의 사유라면, 듀이(John Dewey, 1859-1952)의 질적 사고와 반성적 사고의 통합은 예술가의 심미적 인식에 해당한다. 완전한 하나의 경험으로서 미적 경험은 예술뿐만 아니라 지적 경험과 실천적 경험에서도 창의성을 예견할 때 발생한다. 즉 창의적인 것 전반에 대해 느끼는 '미감'(美感)은 듀이의 미적 경험과 동일하다. 창의성은 문제를 해결하는‘독창적인 진리’에 대한 미적 경험이고, 완결된 경험 전반에서 발현된다. 이어서 슈스터만(Richard Shusterman, 1949∼)의 자전적 인식은 반성적 사유와 재현에 관한 것인데 나의 몸을 통해 이루어진다. 모든 창의적인 것에는 내가 드러나는데, 거기에는 나를 표현하고 나를 공동체에 자리매김하고 싶은 열망이 들어있다. 즉‘스타일’에는 몸과 마음, 개인적인 나와 사회적인 나, 그리고 현재의 나와 바람직한 나의 차원이 있다. 따라서 나의 개성적인 스타일은 이상의‘나’들이 조화를 이루며 사회의 흐름과 그 영향을 반영하는 자기통제와 개선, 그리고 표현의 총체이다. 나의 고유한 스타일은 다른 이들에게 인정받는 나의 완성을 의미하며, 또한 기존의 나를 넘어서는 나의 실현으로서 나를 창조하는 일이다. 이상으로 프래그머티즘에서의 창의성을‘의미의 연속성’과‘대안의 사회성’, 그리고‘가능성의 확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를 풀이하면, 우리가‘무지(無知)와 지(知)’,‘미적 경험과 그 외의 경험,’그리고‘지금의 나와 사회적, 이상적 나’로 연속성을 이어가려는 것은‘앎’과‘아름다움’, 그리고‘보다 나은 나다운 나’라는 의미 있는 것을 성취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유의미한 결과는 공동체의 탐구와 의사소통, 그리고 나를 표현하는 스타일이라는 사회적인 성격의 대안에 의한 것이며, 의미를 성취하여 그것이 연속되게 한다면, 그것은 주어진 현실에 대한 가능성을 확장하는 일이다. 요컨대 의미의 연속성과 대안의 사회성, 가능성의 확장은 창의성의 기본 특성이면서 동시에 프래그머티즘에서 창의성이 발현되는 주된 양상이다. 논자가 제안하는 예술철학교육은 프래그머티즘의 창의성을 계발하고, 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예술철학교실은 립맨(M. Lipman, 1923-2010)이 주창한 철학교육론의 근본 형식과 방향성을 같이 하여 진행된다. 립맨의 탐구공동체는 비판적 사고와 배려적 사고, 그리고 창의적 사고의 다차원적 사고를 활용한 대화를 통해 철학적 앎을 추구하고, 이를‘행함’으로써 철학을 한다. 마찬가지로 예술철학 교실의 구성원들은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철학적 주제를 토론함으로써 다양한 예술 상황에서 일어나는 문제의 해결을 시도한다. 마침내 탐구자가 해결책을 도출하면 이를 글이나 그림 등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수업은 마무리된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예술 철학교실의 수업은 그 탐구가 완결될 때‘하나의 경험’으로서 미적 경험과 같은 것이 되므로 본 연구가 진행한 창의성의 개념을 구현시킨 실제가 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crea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pragmatism philosophy to understand creativity in a philosophical way, and to apply the theme thus derived to art philosophy education. For that purpose, a new plan for teaching art philosophy education by way of "doing philosophy" was suggested, as well as a new direction of creativity education. In the philosophical inquiry into human nature and the meaning of life, creativity is one of the key issues, in which the roles of our life and its significance need to be examined, and which can also be realized by doing philosophy. Pragmatism is a“way of thinking”about life’s problems, with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inquiry habit in a community. In pragmatism, knowledge is a means for human beings to adapt to the world. This is in line with the pragmatic view of the world as changing, and human beings as organisms, which is a reflection of Darwinian evolution. As creativity is needed to find a different solution from existing methods to overcome negative situations, it can be seen as a challenge to conquer of one’s environment. In this regard, creativity is connected to a pragmatic worldview. In other words, the philosophical response of pragmatism to unstable and uncertain environments provides a meaningful viewpoint for examin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The philosophical traditions so far have had little interest in creativit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ity has been studied mainly by psychologists and pedagogists. This paper is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creativity based on the results from existing studies in which creativity encompasses self-realization and converges on newness and appropriateness. It accepts the conventional classification of creativity as stemming from creative persons, knowledge level, and environment. At the center of the philosophical approach to creativity, there lies a creative process in which thinking and experience as a creative habit as well as self-awareness are made. In other words, the creativity study in pragmatist philosophy is a study about the process of creativity expression and the nature of humanity as the basis. According to Charles Sanders Peirce(1839–1914), the father of pragmatism, inquiry is“a struggle to attain a state of belief,”which is initiated by the feeling of doubt. For Peirce,“abduction” in the form of“if…then”is the representative inference of the scientific method. As abduction is used to discover hypotheses through unbounded imagination, Peirce regarded it as the only reasoning that can produce new ideas in science. While Peirce’s abductive recognition belongs to the realm of science, the integration of qualitative and reflective thinking in John Dewey (1859–1952) refers to artists’aesthetic recognition. Aesthetic experience as one complete experience occurs when creativity is seen not only in art but also in intellectual and practical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aesthetic feeling” about creative things in general is the same as Dewey’s aesthetic experience. Creativity is an aesthetic experience about an“original truth” that solves a problem and is realized through the whole experience completed. Next, the autobiographical perception of Richard Shusterman (1949- ) is about reflective thought and its reproduction, which is achieved through one's body. Everything creative reveals “I,” and implies a desire to express and settle“I” in a community. In other words,“style”consists of various dimensions of mind and body, the real and the ideal self, the personal and the social self. Accordingly, a unique style is the totality of self-control, improvement, and expression, which is produced by those elements reflecting social trends and influences in harmony with one another. My own style is my accomplishment recognized by others; it is the realization of“I”beyond the existing self. This is the creation of the “I.” Thus, creativity in pragmatism can be summarized as“continuity of meaning,”“sociality of alternative,”and“expansion of possibility.”We want to maintain the continuity between ignorance and knowledge, between aesthetic experience and other experiences, and between the real/ideal“I” and the personal/social“I”to achieve what it means to be better than me. Such a meaningful result can be obtained by social alternatives like inquiry and communication in a community and a style of self-expression, and if meaning is achieved and becomes continuous, it expands the possibility for a given reality. In short, the continuity of meaning, the sociality of alternatives, and the expansion of possibility are basic features of creativity, which are found in creative outcomes, and also are the main modes of realizing creativity in pragmatism. The art philosophy education suggested by the author was designed as a process to develop and express the creativity of pragmatism. Art philosophy class is taught in conjunction with the fundamental form of philosophy education theory of Matthew Lipman (1923-2010). Lipman's study community pursues philosophy by pursuing and "doing" philosophical knowledge through dialogues that utilize multi-dimensional thinking such as critique, caring, and creative thinking. Similarly, members of the art philosophy class try to solve problems in various art situations by appreciating artworks and discussing philosophical themes in them. When the investigator finally finds a solution, the class ends after expressing it as a text or a picture. When the study is completed, the art philosophy class taught in such a curriculum is comparable to an aesthetic experience as "one experience," so it becomes a reality that embodies the concept of creativity that this study pursu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