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5 Download: 0

주택연금의 절대적 및 상대적 빈곤 완화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주택연금의 절대적 및 상대적 빈곤 완화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Reverse Mortgage on the Absolute and Relative Poverty Reduction
Authors
최윤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여윤경
Abstract
본 논문은 노년가구가 지속적인 노후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수익원으로서 주택연금의 활용을 빈곤 완화 측면에서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분석은 주택연금 가입 대상 가구를 ‘비은퇴가구’와 ‘은퇴가구’로 구분하여 가구주 연령과 소유한 주택의 가격에 따라 주택연금을 적용할 때 변화하는 노년가구의 빈곤 상태를 절대적, 상대적 빈곤율과 빈곤갭을 통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주택연금을 수급한 이후 노년가구의 빈곤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비은퇴가구의 연령별 절대적 빈곤갭과 주택가격대별 절대적, 상대적 빈곤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높은 빈곤율과 빈곤갭을 보이는 경우 주택연금으로 수급함으로써 높은 비율의 감소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이며 빈곤에 취약할수록 주택연금으로의 가구 소득 증가가 빈곤을 해결하기 위해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비은퇴가구의 경우에는 낮은 연령층과 저가형의 주택을 소유하였을 때 주택연금으로 인한 빈곤율 감소가 크게 나타났으며, 고령의 노년가구에서 큰 빈곤갭 감소를 보였다. 은퇴가구는 높은 연령대의 저가형 주택 소유자에게서 빈곤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2억 원 초과~3억 원 이하 가격대의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경우 다른 가격대의 주택에 비해 주택연금의 빈곤갭 감소가 크지 않았다. 전반적인 빈곤율과 빈곤갭 수치는 은퇴가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주택연금의 빈곤 완화 효과도 더 큰 폭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연금 수급 이후 노년가구의 빈곤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들 중에서는 배우자 유무, 가구원수, 동거 가구 유형, 월 소득, 주택연금 월지급금 등이 빈곤 기준과 은퇴 여부와는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논문은 노년가구의 주택연금 활용이 빈곤 완화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중요한 소득원이 될 수 있음을 직접적인 수치들을 활용하여 뒷받침하였고, 노후 준비에 대한 충분한 대비와 추가적인 연금 수단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유용한 길잡이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e of a reverse mortgage as a source of earnings through which elderly households can gain a constant income for their old age in terms of the poverty reduction. The study divided households for the reverse mortgage into ‘non-retired’ and ‘retired households’ and analyzed poverty status of the elderly households changing when the reverse mortgage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age of a householder and a price of a house he /she owned through absolute and relative poverty rates and a poverty gap. In addition, variables influencing poverty of the elderly households after receiving the reverse mortgage were estimated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researc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solute poverty gap by age and absolute/relative poverty gap by housing price for non-retired households but a high poverty rate and poverty gap tended to highly decrease by receipt of the reverse mortgage. Hence, it was found that the more households were vulnerable to poverty, the more positive effects household income increase by the reverse mortgage had on solution of poverty. As for the non-retired households, a poverty rate decreased much in case of low aged and low-priced house owners and a poverty gap decreased much for the elderly households. As for the retired households, there was a great poverty reduction effect for old-aged and low-priced house owners and in particular there was no considerable poverty gap reduction by the reverse mortgage for households who owned a house priced over 200 million and 300 million won or less compared with houses of other prices. Overall, poverty rate and poverty gap were higher for the retired households, so was poverty reduction effect of the reverse mortgage. Besides, it was found that the presence of a spous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ype of cohabitation, monthly income and reverse mortgage receipt amounts ar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poverty of the elderly households after receipt regardless of poverty standards and retirement. Based on actual figures, this paper supports the fact that the use of the reverse mortgage by the elderly households may be substantially helpful for poverty reduction as the importance source of earning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practical and useful guide in confirming the need for sufficient preparation for old age and additional pens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