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진영-
dc.contributor.author최슬기-
dc.creator최슬기-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0:29Z-
dc.date.available2020-02-03T16:30:2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9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91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530-
dc.description.abstract2015 개정 교육과정이 새롭게 도입되면서 교육과정에 일반화된 지식이 제시되었다. 일반화된 지식은 교과에서 배워야 하는 개념 간의 관계를 의미한다. 일반화된 지식은 처음 제시되었기 때문에 일반화된 지식의 학습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구성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논의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 기본개념을 중심으로 국내외 교육과정의 일반화된 지식과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교과서도 분석하였다. 일반화된 지식이 도입되고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과서에도 일반화된 지식의 내용이 반영되도록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의 방법으로 다음의 세 질문에 대해 비교분석 하였다. 1. 한국과 해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지리 기본개념 관련 일반화된 지식이 어떻게 제시되는가? 2. 한국과 해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지리 기본개념과 관련된 일반화된 지식의 학습을 위해 성취기준이 어떻게 제시되는가? 3. 일반화된 지식의 학습을 위한 미국과 한국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이를 위해 2010 이후에 개정되었고, 일반화된 지식과 성취기준을 동시에 제시하는 국외 교육과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 미국 델라웨어 주, 싱가포르의 교육과정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을 지리 기본개념을 중심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미국과 한국의 교과서에서 같은 일반화된 지식을 다루고 있는 단원을 선정하여 교과서의 구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개념과 관련된 일반화된 지식을 모든 학년군에서 제시하는 것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같은 개념에 대해 여러 성취기준을 제시할 때에는 내용의 깊이를 심화하여 제시하는 방식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과정 상에서 일반화된 지식과 성취기준이 연관성이 있도록 성취기준을 진술하는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일반화된 지식과 교과서의 학습문제 및 내용, 정리 방식이 연관되도록 교과서 개발 방식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도 지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리 교과뿐만 아니라 일반사회 교과나 역사 교과에서의 일반화된 지식과 성취기준을 여러 국가들과 비교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미국 교과서와 한국 교과서를 분석하였는데, 일반화된 지식을 제시하는 다른 국가의 교과서까지 분석한다면 일반화된 지식의 학습을 위한 교과서 구성방식에 대해 더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With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generalized knowledge wa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Generalized knowledge refers to relationship among concepts which should be learned in the subject. Since generalized knowledge was first presented in 2015 in Korea,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about how the compositi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should to be learn generalized knowledge. In this study, the generalized knowledge and standards of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a were analyzed based on the basic concept of geography, and it was intended to draw up implications in curriculum development. In addition, textbooks tha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were analyzed. For generalized knowledge to be introduced and implemented, textbooks must also be developed to reflect the contents of generalized knowledge.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with methods of documentary research. (A) The method of presenting generalized knowledge related to the basic concept of geography in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B) A method of presenting standards for learning generalized knowledge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rriculum, (C) A method of organizing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for learning generalized knowledge To progress this research, several overseas curricula were selected which were revised after 2010 and which simultaneously produce the concept of generalized knowledge and standards; curriculum of Canadian province of Ontario, Delaware in the U.S., Singapore and Korea. These curricula were studied focused on the basic concept of geography. In addition, units commonly treating the concept of generalized knowledge were selected from the U.S. and South Korean textbooks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is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resentation of generalized knowledge associated with the basic concept in all grades. Second, consideration in expanding the contents is needed when numerous standards exist for the same concept. Third, statements in curricula should be deemed to represent the connection between the generalized knowledge and the standards. Fourth, the method of textbook development needs to be discussed in ways to link generalized knowledge to contents and leanrning problems in textbooks. This research has limit in the aspect which focuses solely on the geography curriculum in social studies. Thus, it is necessary to extend viewpoints to general social or historical subjects as well as geography textbooks. In addition, more diverse implications on how textbooks are organized for learning enduring knowledge could be drawn up when more various textbooks being analyz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7 B. 핵심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을 반영한 2015 개정 교육과정 11 C. 지리 기본 개념 13 D. 우리나라의 성취기준 등장 배경과 성취기준 진술 방식 16 E. 교과서 구성 방식 18 Ⅲ. 연구방법 21 A. 연구대상 21 B. 분석 방법 22 Ⅳ. 연구결과 30 A. 한국과 해외 교육과정의 지리 기본개념 관련 일반화된 지식 비교분석 30 B. 한국과 해외 교육과정의 지리 기본개념 관련 성취기준 비교분석 55 C. 일반화된 지식의 학습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교과서 비교분석 90 Ⅴ. 논의 및 제언 103 A. 요약 및 논의 103 B. 결론 및 제언 108 참고문헌 114 ABSTRACT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23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일반화된 지식의 학습을 위한 한국과 해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지리 기본개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Overseas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Learning Generalized Knowledge : Focused on basic concept of geography-
dc.creator.othernameChoi, Seul Ki-
dc.format.pagevii,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