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5 Download: 0

무용작품 「도깨비 터」 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작품 「도깨비 터」 에 관한 연구
Authors
안정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말복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Goblin Site (Dokkaebi Teo)” the researcher’s doctoral graduation dance work performed in Ewha Womans University Hall I on December 15, 2011. “Goblin Site” is a work created and performed based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goblin sites in goblin stor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hole processes of the work, including the conception, composition, choreography, exercise, and performance of the work. To get the core concept of the work, this study conducted various studies of background and literature on the goblin. In the step of the conception of the work,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hape and etymology of goblin through the preceding studies of the goblin in the step of the conception of the work. In particular, the aspects of goblins’ roles and characters in goblin stories reveal the typical Korean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goblins were revealed in Koreans’ distinct nature and thought and how human desires were reflected through them.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blins and men and the meaning they have delivered to men through ages. Goblins in goblin stories are subjects negotiating with each other, e.g. Being in conflict or confront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men without staying at the position of the other. Thus, the researcher came to create the dance work, “Goblin Site” in order to deliver the instructive meanings this interaction gives the people living today in goblin stories through the dance work. The concepts of the goblin site, including the characters of a god of wealth, maleficence and coexistence were extracted through studies of the types of goblin stories and goblin sites. In the step of the composition and choreography of “Goblin Site,”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chapters according to three concepts, including the characters of a god of wealth, maleficence and coexistence, extracted through the preceding studies. The three meanings of the site became the key concept of each chapter, and the work was composed and choreographed for them. The intent of the choreography of “Goblin Site” is to reflect on ourselves living the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the goblin, the Korean nation’s popular belief. This researcher created and performed the work that expressed the people living today with various character types of goblins and developed their distinct motions. “Goblin Site” consisted of three chapters, including “Watching Goblin Fire (Wildfire)”, “(Getting a Goblin’s Stick (a Magic Club) and) Confronting Goblin” and “Being a Savior of Goblin.” Through the incidents in these three types experienced by goblins and men, this study would reveal men’s psychological change and desire for wealth, individuals’ wishes,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goblins and men and the ethical lesson of good and evil. Chapter 1 “Watching Goblin Fire” embodied the goblin site as a place with the quality of a god of wealth and men’s ambivalent emotions about that as Goblin Fire. Goblin Fire symbolizes the unconscious illusion inherent in ambivalent men, which appears as dynamic motions in the work. Chapter 2 “Confronting Goblin” is a chapter in which goblins and men confront each other in earnest, which reveals the maleficence of the goblin site. Chapter 3 “Being a Savior of Goblin” expresses the sublimation of the coexistence of the goblin site to the consciousness of the unity between men and goblins. The researcher would conduct a study, focusing on visual factors such as audiovisual ‘motions’, ‘spaces’, ‘masks’ and ‘clothes’ and auditory factors like music and reveal their significa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Chapter 1 Watching Goblin Fire, the shape of the embodiment into a fire was consecutively systematized in a uniform direction in a straight-line form. The form of the straight line was characterized by unity and clustering, revealing the beauty of a ritualistic form. Motion lines headed towards the center in a consecutive form, systematized as a whole and formed a unique composition in which they form a structural order for the central axis of the interior space and the center itself. Chapter 2 “Confronting Goblin” embodied the lives in which goblins and men were together to show dramatic symmetry and physical beauty. It showed symmetrical form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boundaries by composing the height and direction in a contrasting way. Centering around blue, white, red, black and yellow of five cardinal colors, bilaterally forming a dynamic venue. In Chapter 3 “Being a Savior of Goblin,” playful and impromptu forms appeared to which pleasure and fun were added. The Goblins’ movements stereotyped and characterized were not independent but constituted the whole in a continuous form in an inseparable relation. As joy and sadness, confrontation and conflict, and good and evil repeated endlessly, the chapter showed the true lives of the people today through playful characteristics. As f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is study provides a chance for us living today to recov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eek the innocence of human na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goblin stories provide creative ideas to contemporary dance works, going beyond time and space. Moreover, this study proves the fact that goblin stories provide the baseline ideas to explore and develop new motions.;본 연구는 2011년 12월 15일 이화여자대학교 홀 Ⅰ에서 공연한 연구자의 박사졸업 무용작품 「도깨비 터」를 연구한 논문이다. 「도깨비 터」는 도깨비 설화에서 나타난 도깨비 터의 개념과 특성에서 착안하여 창작하고 공연한 작품이다. 본 논문은 작품의 구상부터 구성, 안무, 연습 그리고 공연된 작품의 전 과정을 연구하였다. 작품의 핵심 개념을 잡기 위해서 도깨비에 대한 다양한 배경 연구 및 문헌 연구를 실행했다. 작품 구상의 단계에서 도깨비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하여, 도깨비 형상과 어원을 살펴보았다. 특히 도깨비 이야기 속에서 도깨비 역할과 성격이 사람과의 관계에서 보이는 양상은 한국인의 전형적인 유형을 드러낸다. 문헌연구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우리 민족 고유의 심성과 사상에서 도깨비가 어떻게 드러나고 인간의 욕망이 도깨비를 통해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도깨비와 인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여러 시대를 걸쳐 도깨비가 인간에게 전달해주는 의미는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도깨비 설화 속 도깨비는 타자의 위치에만 머물지 않고 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갈등하거나 대립하는 등 상호 교섭하는 주체이다. 그래서 도깨비 설화 속 이러한 상호 작용이 현대인에게 주는 교훈적 의미를 무용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무용작품 「도깨비 터」를 창작하게 되었다. 도깨비 담 유형과 도깨비 터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도깨비 터의 부신(富神)성, 해악(害惡)성, 공존(共存)성 개념을 추출해 내었다. 「도깨비 터」의 구성 안무 단계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서 추출해 낸 세 가지 개념인 부신(富神)성, 해악(害惡)성, 공존(共存)성을 세 장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본 안무자는 세 가지 터의 의미를 작품 각 장의 핵심 콘셉트로 잡아 이에 맞게 작품을 구성하고 안무하였다. 「도깨비 터」의 안무 의도는 우리 민족의 민간 신앙인 도깨비를 통해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성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현대인을 도깨비의 다양한 성격 유형으로 표현하고, 고유한 움직임을 계발한 작품을 창작하고 공연하였다. 「도깨비 터」는 도깨비 불보기, 도깨비 방망이 얻기와 대결하기, 도깨비 은인되기 3장으로 구성되었다. 도깨비와 인간이 겪는 이 3가지 유형의 사건에는 인간의 심리적 변화와 부(富)의 욕망, 개개인의 소망, 도깨비와 인간의 갈등과 대결, 선과 악의 윤리적 교훈을 드러내고자 했다. 1장 ‘도깨비 불보기’에서는 도깨비 터의 부신(富神)성과 이에 대한 인간의 양면적 감정을 도깨비불로 형상화하였다. 도깨비불은 이중적 인간에게 내재된 무의식적 환영을 상징하며, 이는 작품 내의 역동적인 움직임으로 나타난다. 2장‘도깨비와 대결하기’는 도깨비와 인간이 본격적으로 대립하는 장으로, 도깨비 터의 해악(害惡)성을 드러낸다. 3장‘도깨비 은인되기’에서는 도깨비 터의 공존(共存)성이 인간과 도깨비의 동일체 의식으로 승화되는 것을 표현한다. 시청각적인 ‘움직임’, ‘공간’, ‘가면’, ‘의상’ 등의 시각적 요인과 음악 등의 청각적 요인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그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1장의 도깨비 불보기에서는 불로 형상화되는 형태가 직선 형태의 일률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조직화되어 나타났다. 직선으로 나타난 형태는 단결성과 군집성의 특성을 보이며 제의적 형태미가 드러났다. 연속적인 형태로 동작선들이 중앙을 향하여 전체로 조직화되어 내부 공간의 중심 축과 중심에 대한 구조적 질서를 이루는 독특한 구성을 이루었다. 2장의 도깨비와 대결하기에서는 도깨비와 인간들이 함께 했던 삶의 모습들을 형상화하여 극적 대칭성과 형태미가 나타났다. 높낮이 방향을 대조적으로 구성하여 물리적, 심리적 경계의 대칭적 형태가 보였다. 오방의 청(靑), 백(白), 적(洪)과 흑(黑)이 황(黃)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역동적 장을 형성하여 변화된 통일감을 주었다. 3장의 도깨비 은인되기에서는 흥과 신명이 가미된 놀이적, 즉흥적인 형태가 나타났다. 도깨비들의 유형화, 성격화되었던 움직임은 독립된 성격의 것이 아니고 서로 불가분의 관계로 연속적인 형태로 전체를 구성하였다. 기쁨과 슬픔, 대립과 갈등, 선과 악이 끝없이 반복되어 현대인들의 진정한 삶의 모습을 놀이적 특성으로 풀어냈다. 본 연구의 의미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인간관계를 회복하고 인간 본성의 순수함을 모색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의미는 도깨비 설화가 시공간을 뛰어넘어 현대의 무용작품에 독창적 아이디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도깨비 설화가 새로운 움직임을 탐구하고 계발하는 데에도 기초 아이디어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