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최은주-
dc.creator최은주-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0:25Z-
dc.date.available2020-02-03T16:30:2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9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95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509-
dc.description석사학위를 수여받기 위해 제출된 포트폴리오임-
dc.description.abstract본 포트폴리오는 해외 대학에서의 중급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하여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한국어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듣기 교재 개발을 목표로 한다. 본고는 영상 매체중 영화를 활용한 듣기 교재를 개발하므로 해외 대학에서의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을 위하여 다양한 교수학습에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한류 열풍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많은 외국인들은 한국음악(K-pop)을 듣고,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보면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자연스럽게 접하고 있다. 더 나아가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들도 상당히 늘어나고 있다. 단순히 취미로 공부하는 학습자들도 있지만, 한국어를 전공하려는 외국인 학습자도 증가하고 있다. 해외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이 증가하면서 해외 대학교에서 한국어 강좌가 개설하고, 한국어 학과 그리고 한국 문화학과가 신설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살펴보면 53개국, 1234개 대학에서 한국어 강좌가 개설하고 있고(이정란, 2018, p. 67), 특히 베트남과 태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는 한국어 학과의 개설이 확대되고 있다(김지형 외, 2015, p. 5). 이처럼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학습하고 싶어 하는 학습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학습자들의 관심과 흥미가 있는 한국음악(K-pop), 한국 드라마와 영화 등 영상매체를 활용한 한국어를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학습 동기를 부여하게 되고, 교육적 효과도 높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특히 영상 매체로서의 영화는 일상적인 삶의 모습을 소재로 하고 있고 학습자들이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시청각 매체이며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 장면을 담고 있다. 영화를 활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한다면 영상에 나오는 한국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어 실제적인 한국어를 학습하는데 훌륭한 학습 자료로 교육적 가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영상 매체로서의 영화는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최적의 자료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실생활에서의 활용을 위한 한국어라고 하기보다는 문법이나 어휘를 익히기 위한 수단으로 제작되고 교육하고 있어서 외국어 교육 목표에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실제 듣고·말하기 활동은 구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영화의 언어의 주가 대사이기 때문에 구어를 지향하고 있어 실제성이 높은 학습 자료이다. 영화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할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실생활 의사소통 상황이 장기적으로 기억에 남아 실제 생활에서의 활용이 높아 교육적 가치가 높다. 외국어 교육의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다. 조경애(2006)에서 의사소통이란 단순히 문법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생활에서 무엇을, 누구에게, 언제, 어떻게 듣고, 말해야 하는지를 알고,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였다.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읽기쓰기 능력보다는 듣기말하기 능력 향상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박명실, 2010, p. 1). Rankin(1930)에서는 일상생활에 의사소통을 하면서 듣기가 45%, 말하기가 30%, 읽기가 16%, 쓰기가 9% 로 구성된다고 하였다(박명실, 2010, p. 2 에서 재인용). 실제 의사소통에서 듣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45%로 듣기가 실생활에서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 알 수 있다. 한국어 교육의 목표도 역시 실생활에서 한국어로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인처럼 표현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실제적 한국어 능력 습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듣기 교육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듣기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흥미, 관심 유발이 필요하다(김미숙, 2009, p. 27). 그러나 실제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계속적으로 지속하고 유지한다는 것은 어려운 현실이다. 그 대안으로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자료로 사용한다면 학습자들이 실제적 의사소통 상황을 보고 들으면서 학습 동기와 관심과 흥미를 갖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해외에 있는 학습자들은 한국인들과의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회가 극히 제한적이다. 수업 시간에 교사와의 대화가 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일 것이다. 따라서 수업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 꼭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 해외 대학 교육 상황은 학습자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홍혜련(2015)에서는 태국의 학습자들은 부족한 교과목으로 듣기, 말하기라고 대답하였고, 수업 시간에 암기보다는 실제로 듣고 말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기를 희망한다고 하였다. 해외에서의 한국어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해외에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최근 한류의 영향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해외 학습자들의 교육 상황과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의사소통 상황에서 듣기 학습할 수 있는 실제성 있는 교재 개발이 시급하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관심과 흥미가 있는 영상 매체 중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재를 개발하여 교수, 학습이 이루어진다면 학습자의 요구와 외국어 교육 목표에도 부합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교재 개발의 필요성과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3 1. 영상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3 2.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7 Ⅱ. 학습 대상과 교수학습 상황 10 A. 해외 대학교 한국어 학습 상황 10 B. 학습자 대상 분석과 검토 14 Ⅲ. 이론적 배경 17 A. 영상 매체 교육이론 17 B. 듣기 교육 24 1. 듣기의 개념과 중요성 24 2. 듣기 교육의 원리 30 Ⅳ. 교재 개발의 원리와 교육적 효과 36 A. 교재 구성 원리 36 B. 단원별 세부 사항 39 C. 교재 사용의 교육적 효과 48 Ⅴ. 결론 50 참고 문헌 52 부록 1. 교재 56 부록 2. 교사용 지침서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633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영상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재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영화 '7번방의 선물'-
dc.format.pageⅲ,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한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