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연경-
dc.contributor.author박나라보라-
dc.creator박나라보라-
dc.date.accessioned2019-10-02T02:00:13Z-
dc.date.available2019-10-02T02:00:13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3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38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1559-
dc.description.abstractVisual art is the expansion of the existing word 'art'. As artists initially take in charge of production, and the artworks or actions are shown as results, the oral history archives recorded by artists work as an important medium for understanding the artists and artworks. In case when there are no literature records of certain actions or decision-making processes of artists or institutes, the oral history archives are led to the expansion of researches on the history of art, by complementing the absence of literature records and also reproducing the look of site of the time through the voice of artists. Since the year of 2000, the visual art-related institutes in Korea have performed diverse oral history recording projects, and have achieved the qualitative/quantitative outcomes. However, except for several institutes, the oral history recording project is not conducted due to the issues of manpower and budget, so that there should be more continuous interest and researches on the oral history archives. Mainly focusing on the production and collection, in reality, the overall matters of arrangement, description, and preservation of oral history archives after projects are insufficient. In order for the oral history archives to be settled down as visual art data in the visual art area of Korea, there should be researches on the arrangement and description that could be the finding ai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oral history archives of visual art.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descriptive rules and descriptive elements of oral history archiv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art institutes of Korea. For this, the literature research was combined with case study.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the concepts of oral history by the Western representative oral historians were examined, and the definition of oral history archives in the domestic history and archives circles was understood. And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oral history archives of visual art would be produced in each theme and intention for specific purposes, the characteristics of manuscript elements and the descriptive rules of oral history archives of visual art were examined. So far, focusing on the context of records production related to oral history archives in Korea, diverse metadata for the description of oral history archives has been applied such as ISAD(G), Dunlin Core, Metadata Schema, and FRBR. Most institutes manage the oral history archives in the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data management system, and also concentrate on the collective and hierarchical description focusing on ISAD(G). Therefore, this study understood ISAD(G), DACS, OHCM, and NAK(National Archives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Rules), and also the descriptive elements applicable to the oral history archives of visual art. Next, after selecting the domestic/foreign representative institutes currently producing oral history archives or producing/utilizing oral history archives of visual art out of domestic/foreign visual art institutes, the descriptive elements actually used by them were analyzed. In case of foreign institutes, the descriptive elements of oral history archives of Smithsonian, Archives of American Art, The Museum of Modern Art Archives, Asia Art Archive, and Oral History Archives of Japanese Arts were understood through their homepages and questionnaires through email. In case of domestic institutes, the descriptive elements of oral history archives of visual art of Arko Arts Archive, Daejeon Culture and Arts Foundation, Leeum, Samsung Museum of Art(previously, Archives of Korean Art), and The Museum of Photography, Seoul were understood through their homepages and face-to-face interviews. And then, those descriptive elements used by each institute were analyzed by reorganizing the email questionnaires, face-to-face interview contents, and homepage information. Based upon them, the essential elements and selective elements for the description of oral history archives of visual art were analyzed, and the descriptive elements reflect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ral history archives were suggested. For terms and information exchange with other domestic archives management institutes, this study applied several descriptive elements of CDWA to give the specificity of visual art area by applying the NAK(National Archives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Rules)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as the public standard. As CDWA was developed to describe artworks and art information, in order to classify artists as narrators, this study applied the classification elements and the exhibition/loan history elements as the oral history archives of visual art would be used for exhibitions at art galleries and museums compared to other archives. Especially, for the classification elements, the 12 sectors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MCA Collection, actually used by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were borrowed, and other items were added to be able to describe oral history archives recorded by narrators besides artists. And in case of oral history archives, the form and medium are diverse like image, voice, and recorded document, so that the descrip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would be needed. Instead of adding the element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to the descriptive area of physical area,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added to the existing contents and structure area. Reflecting the domestic conditions under the management with insufficient manpower and budget, for the easiness of management, total 32 descriptive elements were extracted by adding six elements suggested by this study to the 26 elements of National Archives Standard & Archival Description Rules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se descriptive elements were applied to the oral history archives produced for the purpose of exhibition, research, and education at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As the only national art museum of Korea, composed of Gwacheon, Seoul, Deoksugung, and Cheongju(opening in the end of December 2018),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is the representative art & culture space showing the history and traces of modern/contemporary art of Korea since its opening in 1969. Even though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is not producing oral history archives in the unit of project, hoping to see the utilization of diverse interviews produced by the art museum as the representative art museum of Korea, the interview data of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was applied to the descriptive elements suggested by this study. Before the application, the descriptive guidelines currently used by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were understood.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has been operating the system reflecting the levels of description and descriptive elements by opening the Art Research Center in 2013, and then establish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rt data(AMS) as a data processing program for special collection. The descriptive guidelines of Art Research Center were developed by borrowing ISAD(G), DACS, and NAK(National Archives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Rules)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Even though the descriptive guidelines of Art Research Center could describe the oral history archives produced by the art museum, the explana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is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applied the 32 descriptive elements suggested by this study to collection, series, and item level, by designating the exhibition held in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in 2015 as the collection, Korea Artist Prize 2015 as the series, and the interview data with HA Taebum who was a candidate of Korea Artist Prize 2015 as the item. The art galleries and museums in Korea are continuously producing individual interview data through exhibition, education, and research. The oral history archives produced in this method could be led to researches on the history of art, by recording artists' lives and artworks through the efficient management using descriptive rules and descriptive elements. ;시각예술은 기존의 미술이라는 단어를 확장한 것으로 작가는 주도적으로 생산을 담당하고 작품 또는 행위가 결과로 나타나기 때문에 작가에게 채록된 구술기록은 작가와 작품을 이해하는 중요한 매개로 작용한다. 구술기록은 작가 혹은 기관의 결정과정이나 어떠한 행위에 있어 문헌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 문헌기록의 부재를 보완하고, 작가의 목소리를 통해 당시 현장의 모습을 재현하여 미술사 연구 확대로 이어진다. 2000년 이후 국내 시각예술 기관에서는 다양한 구술채록 사업을 통해 질적·양적으로 성과를 이루었으나, 기관의 인력 및 예산의 문제로 몇몇 기관을 제외하고는 구술채록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 않아, 구술기록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며, 생산과 수집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사업 이후 구술기록의 정리, 기술, 보존의 제반사항에 관해서는 부족함이 있는 실정이다. 국내 시각예술 분야에서 구술기록이 시각예술 자료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시각예술 구술기록의 특징을 반영하며 검색의 기본도구라 할 수 있는 정리와 기술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각예술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구술기록의 기술규칙과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서구의 대표적인 구술사학자들의 구술사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국내 역사학계와 기록학계에서 말하는 구술기록의 정의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시각예술 구술기록이 특정한 목적에 의해 주제별, 의도별로 생산된다는 점에서 매뉴스크립트 요소에 관한 특징과 시각예술 구술기록의 기술규칙에 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구술기록과 관련한 논의는 기록 생산맥락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ISAD(G), 더블린 코어, 메타데이터 스키마, FRBR 등 구술기록 기술을 위한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구술기록 기술요소에 있어 생산맥락과 시각예술 구술기록의 특징을 기술요소에 제안하기 위해 ISAD(G), DACS, OHCM, 영구기록물 기술규칙에 관하여 알아보고 시각예술 구술기록에 적용 가능한 기술요소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다음으로는 국내·외 시각예술 기관을 대상으로 시각예술 구술기록을 생산하여 활용하고 있거나, 현재 구술기록을 생산하고 있는 국내·외 대표적인 기관을 선정하여 실제 그들이 사용하고 있는 기술요소를 분석하였다. 국외 기관으로는 미국의 스미소니언 미국 미술 아카이브, 뉴욕현대미술관 아카이브, 홍콩의 아시아 아트 아카이브, 일본의 일본 미술 구술사 아카이브의 구술기록 기술요소를 홈페이지와 e-메일 질문지를 통해 알아보았다. 국내 기관으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 대전문화재단, 삼성미술관 Leeum(구 한국미술기록보존소), 한미사진미술관의 구술기록의 기술요소에 관해 홈페이지와 대면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았다. e-메일 답변지, 대면 인터뷰 내용, 홈페이지의 정보를 재구성하여 각 기관에서 사용하는 기술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각예술 구술기록 기술을 위한 필수요소와 선택요소를 추출하여, 구술기록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한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용어와 국내 다른 기록물 관리 기관과 정보교환을 위해 공공표준인 국가기록원의 영구기록물 기술규칙을 준용하면서 시각예술 분야의 특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CDWA의 일부 기술요소를 적용하였다. CDWA는 예술작품과 예술정보를 기술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구술자인 작가를 분류하기 위해 분류 요소와 시각예술 구술기록이 다른 기록보다 미술관과 박물관에서 전시에 활용된다는 점에서 전시/대여 이력 요소를 적용하였다. 분류 요소는 실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장품 분류체계인 12개의 부문을 차용하였으며, 작가 외의 구술자에게 채록한 구술기록을 기술할 수 있도록 기타 항목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구술기록의 경우 영상, 음성, 녹취문 등 형태와 매체가 다양하여 물리적인 특성에 관한 기술이 필요하기에, 물리적 특성에 관한 요소를 물리적 영역의 기술영역을 추가하지 않고, 기존의 내용과 구조 영역에 물리적인 특성에 관하여 추가하였다. 이는 적은 인력과 예산으로 관리되는 국내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관리의 용이함을 위해, 국가기록원 영구기록물 기술규칙의 7개 영역을 유지하면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6개의 요소를 추가하여 종합적으로 32개의 기술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제안한 기술요소를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 교육, 연구를 목적으로 생산된 구술기록에 적용해 보았다. 국립현대미술관은 과천관, 서울관, 덕수궁, 청주관(2018년 12월 개관)으로 이루어진 국내 유일의 국립미술관으로, 1969년 개관 이래 한국 근·현대 미술의 역사와 자취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미술문화 공간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은 국내 대표적인 미술관으로, 미술관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인터뷰들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국립현대미술관의 인터뷰 자료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술요소에 적용해 보았다. 적용에 앞서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술 지침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국립현대미술관은 2013년 미술연구센터를 개소하여 특수자료 전용 전산프로그램인 미술자료 통합관리시스템 AMS를 구축하여 기술계층과 기술요소를 반영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미술연구센터의 기술지침은 ISAD(G), DACS, 국가기록원 영구기록물 기술규칙을 차용하여 개발되었으며, 25개의 기술요소를 가지고 있어, 미술관에서 생산한 구술기록의 기술은 가능하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부족한 부분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된 전시를 컬렉션으로 지정하고, 그 가운데 <올해의 작가상 2015>를 시리즈로, 올해의 작가상의 후보였던 하태범의 인터뷰 자료를 아이템으로 지정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32개의 기술요소를 컬렉션, 시리즈, 아이템 레벨에서 적용해 보았다. 전국의 미술관과 박물관에서는 프로젝트의 단위의 구술기록보다는 개별적인 인터뷰 자료가 전시, 교육, 연구를 통해 꾸준히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구술자료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기술규칙과 기술요소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이며 예술가의 삶과 작품을 기록화하여 미술사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4 C. 선행연구 7 Ⅱ. 시각예술 구술기록의 의의 15 A. 구술기록의 개념 15 B. 시각예술 구술기록의 특징 21 C. 시각예술 구술기록의 기술 24 Ⅲ. 국내외 시각예술 구술기록의 기술요소 비교 38 A. 국외 시각예술 구술기록의 기술요소 분석 38 B. 국내 시각예술 구술기록의 기술요소 분석 50 Ⅳ. 시각예술 구술기록 기술요소의 개선방안 65 A. 필수 및 선택 기술 요소 65 B. 국립현대미술관 구술기록으로의 적용 83 Ⅴ. 결론 96 참고문헌 102 부록1. 시각예술 분야 구술기록 기술요소를 위한 국내 실무 담당자 질문지 107 부록2. 시각예술 분야 구술기록 기술요소를 위한 국외 실무 담당자 질문지 109 ABSTRACT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92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시각예술 분야 구술기록 기술요소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evelopment for Descriptive Elements of Oral History Archives in the Visual Art Area-
dc.creator.othernamePark, Narabora-
dc.format.pagevii,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기록관리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