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7 Download: 0

한국 성인의 총 당류 섭취 실태조사 및 대사증후군 관련 바이오마커의 관련성 분석

Title
한국 성인의 총 당류 섭취 실태조사 및 대사증후군 관련 바이오마커의 관련성 분석
Other Titles
Dietary total sugar intake and Analysis of Biomaker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2013
Authors
정우향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오란
Abstract
본 연구는 19세 이상 65세 이하의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총 당류 의 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총 당류 섭취정도에 따라 건강행태, 식생활, 식품 및 영양소 섭취 평가를 통한 식사의 질을 평가하며, 총 당류 섭취 정도에 따라 대사증후군과 연관된 혈액지표를 스크리닝 하고자 한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2009년~2013년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65세 이하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총 당류 섭취 상태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최근에 구축된 총 당류 및 첨가당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에 따라 5% 이하(1군), 5~10%(2군), 10~15%(3군), 15~20%(4군), 20% 초과(5군) 총 5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에 따른 5군의 연령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이 20% 초과인 군에서 젊은 연령층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에 따른 5군의 교육수준(p<0.001), 소득수준(p<0.001), 거주지역(p<0.001), 음주빈도(p<0.001), 흡연여부(p<0.001), 운동정도(p<0.05), 스트레스 인지정도(p<0.05)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에 따른 5군의 최근 1년 동안 1주 동안 아침식사 빈도(p<0.05), 외식횟수(p<0.001), 영양표시 인지여부(p<0.001), 영양표시 이용여부(p<0.001), 식생활지원프로그램 수혜 경험 여부(p<0.05), 식생활 형편(p<0.001)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열량구성비 분석 결과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비율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이 20% 초과인 군의 C: P: F ratio가 68: 14: 19로 다른 군과 비교하여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높았다. 이는 2015 한국인영양소섭취기준의 열량구성비에서 탄수화물비율이 섭취기준보다 높았다. 3대 영양소를 제외한 영양소별 섭취량 분석 결과는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이 20%초과인 군이 다른 군과 비교하여 식이섬유(p<0.001), 칼슘(p<0.001), 철분(p<0.001), 칼륨(p<0.001), 비타민A(p<0.001), 카로틴(p<0.001), 레티놀(p<0.001), 비타민B2(p<0.001), 비타민C(p<0.001)의 섭취량이 높았다. 영양소 적정 섭취비(NAR)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이 20%초과인 군에서 식이섬유, 칼슘, 인, 철분, 나트륨, 칼륨, 비타민B1, 비타민B2, 나이아신, 비타민C 섭취량은 권장섭취량보다 많았다(p<0.001). 여성의 경우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이 20%초과인 군에서 식이섬유, 칼슘, 인, 철분, 나트륨, 칼륨, 비타민A, 비타민B2, 나이아신, 비타민C 섭취량은 권장섭취량보다 많았고, 칼륨 섭취량만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남성, 여성 모두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이 10% 이하일 때 섬유소, 칼슘, 칼륨의 섭취량이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이 20%초과인 군의 남성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MAR)는 1.83, 여성 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MAR)는 1.39로 다른 군과 비교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신체계측 및 혈액특성은 연령과 성별, 에너지 섭취를 보정한 Model 1과 연령과 성별, 에너지 섭취, 교육수준, 소득수준, 거주 지역, 음주빈도, 흡연여부, 운동정도, 스트레스 인지정도를 보정한 Model 2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 및 혈액특성에서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에 따른 5군의 신장(Model l,2; p<0.05), 허리둘레(Model l; p<0.001, Model 2; p<0.01), 수축기혈압(Model l,2; p<0.001), 이완기혈압(Model l; p<0.001, Mode 2; p<0.01), 중성지방(Model l; p<0.001, Model 2; p<0.05), 총콜레스테롤(Model l; p<0.05, Model 2; p<0.01),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Model l,2; p<0.001), 공복혈당(Model l; p<0.001, Model 2; p<0.01), 당화혈색소(Model l; p<0.05)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이 높을수록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중성지방,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평균 수치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반면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이 높을수록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평균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대사증후군 지표에 따른 승산비 분석은 연령, 에너지 섭취를 보정한 Model 1과 연령과 에너지 섭취, 교육수준, 소득수준, 거주 지역, 음주빈도, 흡연여부, 운동정도, 스트레스 인지정도를 보정한 Model 2로 두 가지 경우를 분석하였다.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이 20%초과인 군에서 대사증후군 지표에 따른 승산비와 95%신뢰구간의 결과는 남성에서 고혈압관련 대사증후군 위험도 요인인 수축기혈압이 130㎜ Hg 또는 이완기 혈압이 85㎜ Hg이상일 때(Model 1; OR=1.51, 95% CI= 1.18, 1.96, Model 2; OR=1.40, 95% CI= 1.11, 1.76), 당뇨병 관련 대사증후군 위험도 요인인 공복혈당이 100mg/dL이상일 때(Model 1; OR=1.40, 95% CI= 1.07, 1.83)에서 위험의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여성에서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이 20%초과인 군에서 비만관련 대사증후군 위험도 요인인 허리둘레가 80cm이상일 때(Model 1; OR=1.63, 95% CI= 1.20, 2.22, Model 2; OR=1.45, 95% CI= 1.06, 1.97), 이상지질혈증 관련 대사증후군 위험도 요인인 중성지방이 150mg/dL이상일 때(Model 1; OR=1.83, 95% CI= 1.29, 2.59, Model 2; OR=1.49, 95% CI= 1.04, 2.14), 당뇨병관련 대사증후군 위험도 요인인 공복혈당이 100mg/dL이상일 때 (Model 1; OR=1.65, 95% CI= 1.14, 2.37, Model 2; OR=1.50, 95% CI= 1.03, 2.17), 당화혈색소가 5.7%이상일 때(Model 1; OR=1.78, 95% CI= 1.14, 2.75, Model 2; OR=1.78, 95% CI= 1.13, 2.80)에서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에 따라 남성, 여성 모두 대사증후군의 발생의 위험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이 10% 이하일 때 섬유소, 칼슘, 칼륨의 섭취량이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위험과는 관련성이 없었지만, 특히 여성에서 총 당류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이 15%이상인 군부터 고혈당, 비만, 이상지질혈증 관련 대사증후군 관련 요인에 대한 승산비가 높게 나와 위험성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인의 전반적인 건강 및 영양 상태를 파악한 자료인 2009~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식생활 가이드라인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an association between the percent of energy from total sugar intake and biomarker analysis of metabolic syndrome of the Korean Adults. We analyzed data from the 2009-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18717 subjects about for over 19 years and under 60 years old people in KNHANES. Information on dietary intake was obtained by one day 24-hour recall method. Total sugar database of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SAS 9.4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Means, standard error and population percentages were calculated,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with adjustment for age, energy intake were used to determine the odds ratio(OR) and 95% confidence intervals. subjec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percent of energy from the usual total sugar intake ≥5%, 5~10%, 15~20%, >20%.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were not associated with total sugar intake. But metabolic syndrome factor about obesity, dyslipidia, hyperglycemia were associated with total sugar intake in people ≥15% percent of energy from the usual total sugar intake. In this study, the intake of dietary fiber, calcium, and potassium was less than the Recommended Intake in people ≤10% percent of energy from the usual total sugar intake. In order to prevent diseases related metabolic syndrome, adequate amount of total sugars should be consumed. And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eating-out and nutrition labe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etary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iseases related metabolic syndrome through adequate intake of total sugar. More research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for Korean between sugar intake and diseases risk should be excute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