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혜욱-
dc.contributor.author조정주-
dc.creator조정주-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3:29Z-
dc.date.available2019-08-13T16:33:29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5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57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118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새싹어린이집 하늘반의 일상생활을 탐구함으로써 유아교실에서 발생하는 훈육의 상황과 의미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유아교실에서 나타나는 훈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실에서 발생하는 훈육의 상황은 어떠한가? 2. 유아교실에서 발생하는 훈육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새싹어린이집 만 3, 4세 혼합 학급인 하늘반 유아 24명과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19년 4월 8일부터 5월 17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참여관찰, 교사 면담, 현장 약기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본을 만들어 범주화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늘반에는 기관적응의 상황, 또래갈등 상황, 위험한 상황 시 훈육이 발생하였다. 하늘반 교사는 교실 내에 자율적 교실문화를 형성하고 적응하도록 돕는 과정에서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도록 훈육하였다. 또한 하늘반 교사는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지원하고자 교실 내 사회적 기술과 관련된 잠재적 행동기준이 세워져 있었으며, 유아들이 행동기준에서 벗어나 갈등을 일으키는 경우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훈육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하늘반 교사들은 유아의 안전을 위해 가시적, 잠재적 행동의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기준에서 벗어나는 경우 위험한 상황으로 상정하여 훈육을 하였다. 둘째, 하늘반 교실에서 발생하는 훈육의 의미는 보호적 교실문화 형성과 효율적 교실운영에 있었다. 하늘반 교사들은 유아를 보호가 필요한 존재로 보며 보호자로서의 교사역할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교실 내에 보호적 교실문화를 형성하였다. 교실 내 보호적 교실문화가 형성됨에 따라 교실에는 유아들의 안전을 위한 몇 가지 행동기준이 형성하였으며, 안전의 행동기준에서 벗어나는 경우 훈육이 일어났다. 또한 교사는 안전하게 생활하기 그 자체를 교육내용으로 삼았으며 교수방법으로 훈육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교사는 하루일과 운영에 있어 시공간적 제약에 따라 교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훈육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교사가 효율적 교실운영을 위해 훈육하는 행위는 교사의 아동관과 교육적 신념에 따라 의미가 다르게 해석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훈육은 교사의 교육적 신념과 교실 상황, 유아들에 대한 이해가 복잡하게 얽혀 나타나는 행위로 교실 내 맥락을 통해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문화의 가치와 태도를 가르치는 교육적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and meaning of disciplin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by exploring the everyday life of children in the child care center.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situation of discipline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2. What is the meaning of discipline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23 children and 3 teachers of Hanuel class at Saessak child care center in Seoul. The data for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from April 8, 2019 to May 17, 2019, us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s with the teacher.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categorizing the transcripts made from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discipline occurred in the situation such as school adaption, peer conflicts, and risk. The teachers in Hanuel class disciplined the children to control their own behavior in order to help them to adapt to classroom as the class is creating an autonomous culture altogether. Also the teacher set up a set of potential behavioral standards related to social skills to support a positive peer relationship, as she actively intervened and used discipline when children were conflicted from the norms of behavior. And the teachers in Haneul class set the standards of visible and potential behavior for the safety of children and disciplined the children in a dangerous situa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s. Second, the meaning of discipline of Haneul classroom was building up the classroom culture of protection and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The teachers of Haneul class regarded the children as the ones who needed protection, and established the classroom culture of protection with the responsibility of the teachers as guardian. For protective classroom culture, some behavioral standards for the safety of children were formed and discipline occurred when the behavioral standards were deviated. In addition, the teachers used the education itself as a way to live safely and used discipline as a teaching method. The teachers also used the discipline to operate the classroom efficiently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in classroom. But the teachers’ discipline for efficient classroom management was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acher’s child-view and educational beliefs.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discipline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the classroom by the complex intertwining of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classroom situation,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a need to approach to discipline as an educational concept that teaches the value and attitudes of scio-cul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5 A. 훈육 5 1. 훈육의 개념 5 2. 훈육과 교실문화 8 Ⅲ. 연구방법 11 A. 사례연구 11 B. 연구대상 11 1. 새싹어린이집 11 2. 하늘반 12 3. 교사 13 C. 연구절차 17 1. 연구대상 선정 17 2. 예비연구 18 3. 본 연구 19 D. 자료수집 19 E. 자료분석 20 Ⅳ. 연구결과 21 A. 유아교실에서 발생하는 훈육의 상황 21 1. 위험한 상황 21 2. 또래갈등 상황 24 3. 기관적응 상황 26 B. 유아교실에서 발생하는 훈육의 의미 28 1. 보호적 교실문화 형성 28 2. 효율적 교실운영 32 Ⅴ. 논의 및 결론 35 A. 논의 35 B. 결론 및 제언 40 참고문헌 43 부록1. 연구에서 사용한 전사 형식 46 ABSTRACT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05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교실에서 발생하는 훈육에 대한 이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Understanding disciplin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dc.creator.othernameCho, JungJoo-
dc.format.pagev, 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