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1 Download: 0

팔괘의 상·성(象·性)을 적용한 무용창작작품 「중첩의 시간」에 관한 연구

Title
팔괘의 상·성(象·性)을 적용한 무용창작작품 「중첩의 시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reative Dance Work 「Time of Overlapping」 Applying the Sang·Seong(象·性) of Eight Trigrams
Authors
배진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명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choreographic methodology of Korean dance with the creative dance work 「Time of Overlapping」, which is based on the dance moves applied with the structure of Sang(象)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ong(性) of Eight Trigrams(八卦) of 『Classic of Changes(I Ching; 周易)』. Based on Oriental philosoph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visualizing the integrated way of thinking required in rapidly changing and diversified modern society as dance language. The idea of 『Classic of Changes』 explains the principle of the creation and change of the universe by the symbolic system of Eight Trigrams and interprets the phenomena of nature and human life via correlational way of thinking. The change comes from the relationship of ‘Opposite and Complementary(相反相成)’ between negative(dark; 陰) and positive(bright; 陽) and organic relationships are formed in this series of process. The creative dance work 「Time of Overlapping」 is constructed on the correlational way of thinking of 『Classic of Changes』 with a positive view on the possibility of creation implied in the changing world.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change is embodied as the creative dance work by taking the idea of 『Classic of Changes』 from the iconographic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Eight Trigrams. The ideology of creation, change, and ​​circulation of 『Classic of Changes』 is implied in the structure of Eight Trigrams, the characteristic of energy and the symbolism of time and direction reflected in Eight Trigrams. In the creative dance work 「Time of Overlapping」, the idea of 『Classic of Changes』 is represented through three chapters such as ‘Appearance as One(一顯)’, ‘Mutual Change(互變)’, and 「Time of Overlapping」. And the concepts of prototypicality, transformability and circularity of 『Classic of Changes』 are embodied by the dance language appli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lem Ilyang Jiwido(一陰一陽之謂道)’, the Sang(象) of Eight Trigrams and the structure of the diagram of Eight Trigrams. Through this process, the following meanings are expressed in the creative dance work 「Time of Overlapping」. First, in this work, the prototypicality is visualized as dance language by means of the dance moves and spatial composition reflecting Inon(絪縕), which 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Ilem Ilyang Jiwido’. ‘Ilem Ilyang Jiwido’ suggests the process of crossing and repeating the flow of negative and positive,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ve and complementary. In this study, it is used as the development principle of the dance moves of Inon visualized with the movement of Opposite and Complementary by understanding it as the scheme implicating the fundamental property of all things. In addition, the scheme of ‘Ilem Ilyang Jiwido’ is applied as a motif to form a space of confrontation but no boundary. As a result, the prototypicality is visualized through the dance moves and space representing the reciprocal mechanism between negative and positive, which expresses the meaning of simultaneous relativit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Opposite and Complementary. Second, the transformability is visualized as dance language by using the dance moves of Eight Trigrams, the music and object applied with the diagram of eight sounds(八音圖說), which are developed by utilizing the changing structure of Eight Trigrams in this work. The changing natural phenomena are embodied as images by applying the symbolic system of Eight Trigrams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theory of 『Classic of Changes』 to dance moves. In addition, the change of scene is expressed by using the object reflecting the iconological structure of trigrams to spatial composition. Moreover, the auditory effect related to change is accompanied by the application of eight sounds to music composition. Consequentially, the transformability is visualized by the dance moves of Eight Trigrams, the music of eight sounds and the structure of the object, which conveys the meaning of dynamic replaceabilit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Third, in this work, the circularity is visualized as dance language in the space reflect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agram of posterior Eight Trigrams. Located in the circular scheme on eight sides, Eight Trigrams is placed in the circular structure, which forms new creation through the overlap of creation and change. This circulation scheme serves as a basis for constructing organic space and is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object to form new three-dimensional space. In addition, the circulation scheme of Eight Trigrams is used to create the spiral circulation structure, which visualizes the organic connection system formed between the dancer and the object. And the structure functions as not only the circulation space where the beginning and end are interlocked but also the new time that is repeatedly generated. As a result, the circularity is visualized by utilizing the structure of posterior Eight Trigrams and the form of the object, which represents the meaning of organic unit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Taken together, the creative dance work 「Time of Overlapping」 aims to express the meaning of simultaneous relativity, dynamic replaceability and organic circularity by visualiz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ang and Seong of Eight Trigrams, Ilem Ilyang Jiwido reflecting the time and space of the diagram of Eight Trigrams, and Eight Trigrams and the diagram of Eight Trigrams. This work has implications as the Korean creative dance work that harmonizes the theme of creation and the changing form in unity by visualizing the dance language based on the prototypical philosophy of the Orient.;본 연구는 『주역』의 팔괘(八卦)가 지닌 상(象)의 구조와 성(性)의 특질을 적용하여 개발한 춤사위를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중첩의 시간」을 안무함으로써 한국춤의 안무 방법론을 확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동양사상을 기반으로 한국춤의 안무방법론을 확장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급변하고 다각화되어 가는 현대사회에서 요구되고 있는 통합적 사유방식을 춤 언어로 시각화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주역』의 사상은 우주의 생성과 변화의 원리를 팔괘의 기호체제로 설명하며, 자연의 현상과 인간의 삶의 모습을 상관적 사유방식으로 해석한다. 변화는 음과 양이 지닌‘상반상성(相反相成)’의 관계로부터 비롯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무용창작작품「중첩의 시간」은 변화하는 세계 속에 함축된 생성의 가능성을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이러한『주역』의 연관적 사유방식을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주역』의 사상을 팔괘의 도상학적 구조와 특질에서 차용하여 생성과 변화의 통합적 관계를 무용창작작품으로 형상화하였다. 팔괘의 구조와 에너지의 특질, 팔괘도에 나타난 시간과 방향의 상징성은『주역』의 생성과 변화, 그리고 순환의 사상을 함축하고 있다. 무용창작작품 「중첩의 시간」은 이러한『주역』의 사상을‘일현(一顯)’,‘호변(互變)’, ‘중첩의 시간’의 세 장으로 구성하여 표현하였으며, ‘일음일양지위도(一陰一陽之謂道)’, 팔괘의 상(象), 팔괘도의 구조에서 도출된 특징을 적용하여 만물 생성의 원형성, 변역성, 순환성의 개념을 작품에서 춤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안무된 무용창작작품 「중첩의 시간」에서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표현되었다. 첫째, 원형성은 본 작품에서‘일음일양지위도’의 구조와 특질을 적용하여 개발한 인온(氤氳)의 춤사위와 인온의 공간구성을 활용하여 춤 언어로 시각화하였다. 음과 양의 흐름이 교차하고 반복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일음일양지위도’에는 상대적이면서 상보적인 특징이 담겨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만물의 근본적인 속성을 함축하는 도식으로 이해하여 상반상성의 움직임으로 시각화된 인온의 춤사위의 개발원리로 활용하였다. 또한‘일음일양지위도’의 도식은 대립하면서도 경계가 없는 인온의 공간을 형성하는 모티브로 적용하였다. 즉, 원형성은 작품에서 음과 양의 작용성을 기반으로 한 인온의 춤사위와 인온의 공간을 통하여 시각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상반상성의 특징을 지닌 동시적 상대성의 의미가 표현되었다. 둘째, 변역성은 본 작품에서 팔괘의 변화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개발한 팔괘의 춤사위와 팔음도설의 음악, 오브제를 활용하여 춤 언어로 시각화하였다.『주역』의 이론에서 변화로 상징되는 팔괘의 기호체제를 춤사위에 적용하여 변화하는 자연현상을 이미지로 구현하였으며 괘의 도상학적 구조를 적용한 오브제를 공간 구성에 활용함으로써 장면의 변화를 표현하였다. 또한 팔음을 작품의 음악구성에 적용함으로써 변화에 대한 청각적 효과도 수반되게 하였다. 이러한 변역성은 작품에서 변화하는 팔괘의 춤사위와 팔음도설의 음악, 오브제의 구조를 통하여 시각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변역의 특징을 지닌 역동적 환치성의 의미가 표현되었다. 셋째, 순환성은 본 작품에서 후천팔괘도의 구조와 특질을 적용한 중첩의 유기적 공간에서 춤의 언어로 시각화하였다. 팔방위의 원형도식 속에 위치한 팔괘는 생성과 변화의 중첩을 통하여 새로운 생성을 이루는 순환적 구조 속에 놓인다. 이러한 순환도식은 작품에서 유기적인 공간을 구성하는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공간에서 연출되는 오브제의 구조에 적용되어 새로운 입체 공간을 형성하는 데 활용되었다. 팔괘도의 순환도식은 무용수와 오브제 간에 형성되는 유기적인 연결방식을 시각화하며 시작과 끝이 맞물린 순환의 공간인 동시에 거듭 생성되는 새로운 시간으로서 나선형적 순환구조를 조성하게 하였다. 이러한 순환성은 작품에서 후천팔괘도의 구조와 오브제의 형태를 통하여 시각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순환의 특징을 지닌 유기적 통합성의 의미가 표현되었다. 이와 같이 무용창작작품 「중첩의 시간」은 팔괘의 상과 성의 특징과 팔괘도의 시·공간성이 드러난 일음일양지위도, 그리고 팔괘와 팔괘도와 상관관계를 시각화하여 팔괘가 담고 있는 동시적 상대성, 역동적 환치성, 유기적 순환성의 의미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는 동양의 원형적 사유방식에 기반한 춤 언어를 시각화한 것으로 생성의 주제와 변화하는 형식이 통일적인 조화를 이루는 무용창작작품으로서 그 의미를 지닌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