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김세종제와 정정렬제의 ‘춘향가’ 중 <십장가> 비교연구

Title
김세종제와 정정렬제의 ‘춘향가’ 중 <십장가> 비교연구
Other Titles
The comparative study on in of the Kim Sejong school and the Jeong Jeongryeol school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editorial and the melody of Kim Suyeon and Choi Seunghee
Authors
서정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Kim Sejong school of Dongpyeonje with the Jeong Jeongryeol school of Seopyeonje about which is the part of among 5 kinds of songs in Pansori, and to examine the feature of each school.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by comparing the record of Kim Suyeon, who is on behalf of the Kim Sejong school, with the record of Choi Seunghee, who is on behalf of the Jeong Jeongryeol school. Firstly, in the editorial, the common feature is the flow and the use of the word of‘Be careful’between two schools. However, the difference is that the editorial of the Kim Sejong school which consists of 1382 syllables has 116 more syllables than the editorial of the Jeong Jeongryeol school which consists of 1266 syllables, and the use of words in‘Jipjangsaryeong’. I could infer that each school has affected each other while each school is not based on the same editorial. Secondly, in the rhythm, the Kim Sejong school consists of‘Jinyang 4-rhythm’, ‘Jinyang 82-rhythm’,‘Jungmori 16-rhythm’and‘Danjungmori 12-rhythm’while the Jeong Jeongryeol school consists of‘Jungmori 9-rhythm’,‘Jinyang 56-rhythm’and ‘Jungmori 19-rhythm’. The common feature is that the flow consists of‘Jingyang’, ‘Jungmori’. However, the first difference is that the Kim Sejong school adds ‘Jinyang 4-rhythm’while the Jeong Jeongryeol school sings only’Aniri’. The second difference is that the Jeong Jeongryeol school starts singing with‘Jungmori’and changes the rhythm to‘Jinyang’while the Kim Sejong school starts singing with ‘Jinyang’. The third difference is that the rhythm of the Kim Sejong school which consists of 114-rhythm has 30 more rhythm than the Jeong Jeongryeol school which consists of 84-rhythm because‘Jungmori’of the Kim Sejong school in the back of is divided into‘Jungmori’,‘Danjungmori’. Furthermore, in the rhythm of‘Buchimsae’, the common feature is that‘Daemadi- daejangdan’is used the most in each school. However, the difference is that the Kim Sejong school uses ‘Milbuchim’,‘Dan-gyeobuchim’and‘Juseobuchim’while the Jeong Jeongryeol school uses‘Juseobuchim’9 times more than the Kim Sejong school, and uses‘Daemadi Daejangdan’in only two parts and‘Dan-gyeobuchim’in only one part. Also, the Jeong Jeongryeol school uses the word of‘Ddak’which is the sound of a lashing with‘Jinyang 3-rhythm’while the Kim Sejong school uses‘Jinyang 5-rhythm’ and‘Jinyang 3-rhythm’. Lastly, in the melody, I analyzed it in two ways by looking through the overall flow of a copy of music, the match of the melody which is tempered with C major and the use of‘Sigimsae’. The pitch of Kim Suyeon is‘c’while the pitch of Choi Seunghee is‘d’. However, the pitch of the Kim Sejong school is 3-step wider than the Jeong Jeongryeol school. Specifically, although the highest note of the Kim Sejong school is‘A’and the lowest note is‘e’, the highest note of the Jeong Jeongryeol school is‘C’and the lowest note is‘d’. Also, in the overall flow of music, the Kim Sejong school starts CM while the Jeong Jeongryeol school starts DM. However, the modes from the part of‘Upjyeoddeon Hyeongbang’are changed to the same mode because‘Gaemyeonjo’is changed to‘Pyeongjo’. Nevertheless, the Kim Sejong school changes the part of the song from CM to FM, and returns to CM. In the copy of music, which is C major, of two singers, the melody of two schools are almost similar because only 12-music is different among all of 51-music. Also, the flow of the editorial is similar while there is a part which is totally different between each school. In the use of‘Sigimsae’, Kim Suyeon uses twisted sounds and tuning sounds while Choi Seunghee uses variously extra‘Sigimsae’. The above result of my research shows that the Kim Sejong school and the Jeong Jeongryeol school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in , and the feature of the editorial·rhythm·melody. I hope that diverse analysis about of extra schools will be continued. ;본 연구의 목적은 판소리 5바탕 중 현존하는 춘향가 유파인 동편제에 속하는 김세종제와 서편제에 속하는 정정렬제의 <십장가> 대목의 사설, 장단, 부침새, 선율 등으로 두 유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각 유파별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다. 김세종제와 정정렬제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김수연 명창과 최승희 명창의 음반으로 <십장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 부분은 김세종제와 정정렬제가 전체적으로 비슷하고, ‘삼가히 조심하라’는 거의 같다. 그리고 사설의 길이는 김세종제가 1382음절, 정정렬제가 1266음절로 김세종제가 정정렬제에 비해 116음절 더 길다. 반면‘집장사령’에서 쓰인 어휘는 서로 달랐다. 따라서 두 유파는 같은 사설을 토대로 구성한 것이 아니지만 두 유파가 서로의 영향을 받은 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장단 부분은 김세종제가 진양 4장단, 진양 82장단, 중모리 16장단, 단중모리 12장단이고, 정정렬제는 중모리 9장단, 진양 56장단, 중모리 19장단이며, 두 유파의 대목 흐름이 진양과 중모리로 구성된 것이 공통점이다. 차이점은 첫째, 정정렬제에서 ‘아니리’로 나타나는 부분을 김세종제에서는‘진양 4장단’으로 대목을 추가하여 부른다. 둘째, <십장가>의 시작이 김세종제는 ‘진양’으로 시작하는 반면 정정렬제는 ‘중모리’로 시작되어 ‘진양’으로 바뀐다. 셋째, 정정렬제 <십장가>의 뒷부분이 ‘중모리’인 반면 김세종제는‘중모리’와 ‘단중모리’로 나뉘어져 있다. 이로 인해 전체 장단은 김세종제가 총 114장단, 정정렬제가 총 84장단으로 김세종제가 정정렬제보다 30장단이 더 구성되었다. 장단 ‘부침새’ 는 김세종제와 정정렬제 모두 ‘대마디 대장단’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김세종제에서는 ‘밀붙임’과 ‘당겨붙임’, ‘주서붙임’이 골고루 사용된 반면, 정정렬제는 ‘대마디 대장단’으로만 이루어진 대목이 두 대목이며, 나머지 한 대목만 ‘당겨붙임’이 사용되었고, ‘주서붙임’의 출현이 김세종제에 비해 9배 많았다. 집장사령이 형장을 집행하는 ‘딱’의 사설 출현 빈도가 높았는데, 총 10회의 매질하는 부분 중 정정렬제는 1회를 제외한 나머지 9회를 진양 6박 중 모두 3박에 붙여 일정한 형태였으며, 김세종제는 ‘딱’의 사설 출현이 진양 6박 중 5박에 3회, 3박 중 3소박에 6회 출현하는 형태였다. 셋째, 선율 부분은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실음 채보한 악보의 전체적인 흐름 분석과 다장조로 변조한 악보 간 선율 유사도와 시김새 사용 유형을 살펴보았다. 실음 채보된 악보의 본청은 김세종제의 김수연이 c이고, 정정렬제의 최승희가 d로 최승희의 본청이 더 높았으나, 김세종제가 정정렬제보다 음폭이 3음계 더 넓은 차이를 보였다. 악보의 전체적인 흐름은 김세종제와 정정렬제 모두 ‘계면조’에서 ‘평조’로 바뀌는 형태였으나 김세종제는 cm으로 진행되는 중간에 4도 위로 변조하여 fm으로 2마디씩 진행하는 구간을 두 차례 넣어 진행한 차이가 있었다. 실음 채보 악보를 다장조로 변조하여 비교한 결과 두 유파의 사설 대조 가능한 선율은 총 51부분이었으며, 그중 12부분의 선율은 전혀 일치하지 않아 두 유파의 사설 대조 가능한 선율로서의 선율 유사도는 76.5%이다. 사설의 흐름은 전반적으로 비슷한 형태였으나 김세종제와 정정렬제의 사설 진행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시김새 사용 유형은 김수연이 최승희에 비해 꺾는 음과 주 음정을 앞뒤로 꾸미는 음의 유형이 많이 나타났으며, 최승희는 셋잇단 이상의 음표사용과 아래 음에서 위 음으로 끌어올리는 유형 및 그 외의 시김새를 김수연에 비해 다양하게 구사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김세종제와 정정렬제의 춘향가 <십장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김세종제와 정정렬제 <십장가>에서 출현하는 사설·장단·선율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 김세종제와 정정렬제의 춘향가 외의 다른 유파의 춘향가 비교 분석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