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LI, ZHE-
dc.creatorLI, ZHE-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3:20Z-
dc.date.available2019-08-13T16:33:2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5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57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1154-
dc.description.abstractIn China, children were often single-born due to national policies, but the first child's acceptance of siblings is receiving social attention because the number of children has increased due to recent policy changes. This is because the acceptance of siblings influences not only the brotherhood but also the reconciliation of the family. Those who have good sibling relationships can receive more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have not, and they are less likely to be stressed economically and psychologically because they can depend on each other even when they support their parents later on. However, after sibling's born, the first child may hate his sibling and acted as a harasser. There are also the studies show that the first child has perceived more competition and conflict in the sibling relationship than the seco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ffectively increase acceptance of siblings for the first child and form a harmonious family atmosphere through good sibling relationships. The response of the first child to his sibling is closely related to parenting style. When parents respect and care for a child in the process of raising a child, the child can acknowledge himself and appreciate his own value. Otherwise, if parents show rejection or indifference to their child, the child will recognized himself as a person who does not deserve to be loved and does not realize his value. Self-esteem and narcissism, which are self-perceived psychological variables, are both related to self-worth. In a previous research, it is pointed out that parenting style affects self-esteem as well as narcissism. In this study, we tried to verify the assumptio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 and acceptance of siblings for the first child are mediated by self-esteem and narcissism. To verify this, we surveyed the students who is in the 5th and 6th grade among 7 elementary schools in Jinzhong City, Shanxi Province, China. We analyzed their attitude to younger siblings and found that parents' parenting styles(democratic parenting style, permissive parenting style, and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influence acceptance of younger siblings through self-esteem and narcissism(external narcissism and inner narcissis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the first child's acceptance of siblings showed that the pathway from the democratic parenting styles to the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positive effect and the pathway from the permissive and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s to the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And the pathway from democratic parenting to siblings acceptance and from self-esteem to siblings acceptance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effect. The result has confirmed that, self-esteem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parenting style and siblings acceptance, and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missive parenting style and siblings acceptability, while it has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siblings acceptanc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the acceptance of siblings showed that pathways from democratic, authoritarian, permissive parenting style to external narcissism and internal narcissism were all significant. All pathways from the external narcissism and internal narcissism to the acceptance of siblings were also significant. The pathway from democratic parenting to siblings acceptance was also significant. In summary, it has been confirmed that external narcissism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parenting style and siblings acceptance, and has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missive parenting style and siblings acceptance, while it has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siblings acceptance. On the other hand, internal narcissism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parenting style and siblings acceptance, and has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missive parenting style and siblings acceptance, while it has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siblings accep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s' democratic parenting styles can enhance the self-esteem and external narcissism of the child, lower the internal narcissism, ultimately, enhance the first child's acceptance of the younger siblings. It is effective to take a democratic parenting style instead of an authoritative or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s for raising children. It will be necessary to praise and encourage the first child, to show a lot of warmth, and to form a positive self-evaluation by perceiving the value of oneself by the chil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eptance of the second child by enhancing self-esteem and external narcissism of the first child, and to lower his internal narcissism. If parents have enough communication with their first child before they give birth to the second child, and if they are already have the second child, they can encourage the first child to participate in childcare activities of the second child rather than neglecting him, so the first child can develop strong feelings with siblings, which will increase his acceptance of siblings.;중국의 경우 국가 정책으로 인해 자녀가 외동인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 정책의 변화로 인해 자녀수가 증가하면서 첫째 아이의 동생에 대한 수용성이 중요한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다. 왜냐하면 첫째 아이의 동생에 대한 수용성은 형제관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가정의 화목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좋은 형제자매관계를 가지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많은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고 나중에 부모를 부양할 때도 서로 의지할 수 있어서 경제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 하지만 외동이었다가 동생이 생긴 후 동생을 미워하고 괴롭히는 행동을 하여 동생을 낮게 수용하는 아이가 많다. 둘째 아이보다 첫째 아이가 형제자매관계에서 더 많은 경쟁과 갈등을 느낀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그러므로 좋은 형제자매관계를 통해 화목한 집안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첫째 아이의 동생에 대한 수용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첫째 아이의 동생에 대한 반응은 부모의 양육방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부모가 아이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아이를 존중해주고 관심을 많이 보여주면 아이가 자기를 인정하고 스스로의 가치를 지각할 수 있지만, 반대로 아이에게 거부적이나 무관심한 태도를 보여주면 아이가 스스로를 사랑 받을 자격이 없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자기의 가치를 지각하지 못한다. 스스로를 인식하는 심리적 변인인 자존감과 자기애는 모두 자기 가치와 관련이 있는데 선행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방식은 자존감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애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첫째 아이의 자존감과 자기애가 매개할 것으로 가정하고 그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중국 산서성(山西省) 진중시(晋中市)에 소재한 7개 초등학교에서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동생이 있는 학생의 응답을 분석하여 부모의 양육방식(민주적 양육방식, 허용적 양육방식 및 권위주의적 양육방식)이 자존감과 자기애(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를 통해 동생에 대한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민주적 양육방식에서 자존감으로 가는 경로는 유의한 정적 효과를 나타냈고 허용적, 권위주의적 양육방식에서 자존감으로 가는 경로는 유의한 부적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민주적 양육방식에서 동생에 대한 수용성으로 가는 경로와 자존감에서 동생에 대한 수용성으로 가는 경로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자존감은 부모의 민주적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하고 허용적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매개를 하지 않으며 권위주의적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 관계에서 완전 매개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민주적, 권위주의적, 허용적 양육방식에서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로 가는 경로가 모두 유의하였고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에서 동생에 대한 수용성으로 가는 경로도 모두 유의미하였다. 민주적 양육방식에서 동생에 대한 수용성으로 가는 경로 또한 유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종합해 보면 외현적 자기애는 부모의 민주적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를 하고 허용적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를 하며 권위주의적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현적 자기애는 부모의 민주적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를 하고 허용적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를 하며 권위주의적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도 완전 매개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부모가 아이를 민주적으로 양육하면 아이의 자존감과 외현적 자기애를 높이는 동시에 내현적 자기애를 낮출 수도 있고 궁극적으로 동생에 대한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아이를 양육하는 데 부모가 허용적이나 권위주의적 양육방식 대신 민주적 양육방식을 취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첫째 아이에 대해 칭찬과 격려를 해주고 온정과 따뜻함을 많이 보여주며 아이로 하여금 자기의 가치를 스스로 지각하여 긍정적인 자기평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첫째 아이의 자존감과 외현적 자기애를 높이고 내현적 자기애를 낮춤으로써 둘째 아이에 대한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를 낳기 전에 첫째 아이와 충분히 소통하고 둘째가 출생한 경우 첫째 아이를 소홀히 하지 않고 육아활동에 참여시킴으로써 동생과 돈독한 감정을 키우면 첫째 아이의 동생에 대한 수용성을 높아져 보다 행복한 가정을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A.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이해 8 1.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개념 8 2. 첫째 아이에 대한 연구 9 3. 동생에 대한 수용성과 관련된 연구 10 B. 부모 양육방식의 이해 11 1. 부모 양육방식의 개념 11 2. 부모 양육방식의 유형 12 3. 외동인 아이와 비 외동인 아이에 대한 부모 양육방식의 차이 14 C. 자존감의 이해 15 1. 자존감의 개념 15 2. 자존감의 형성요인 16 3. 청소년기 자존감의 특징 17 D. 자기애의 이해 18 1. 자기애의 개념 18 2. 자기애의 유형 19 가. 내현적 자기애와 외현적 자기애 19 나. 건강한 자기애와 건강하지 않은 자기애 20 3. 아동의 자기애 특징 21 E. 주요 연구 요인 간의 관계 23 1. 부모의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 23 2.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존감의 관계 24 3.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기애의 관계 26 4. 자존감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관계 29 5. 자기애와 동생에 대한 수용성관계 30 Ⅲ. 연구방법 33 A. 연구대상 33 B. 측정도구 33 1. 동생에 대한 수용성 척도 33 2. 부모의 양육방식 척도 34 3. 자존감척도 35 4. 자기애척도 36 C. 자료수집 절차 37 1. 설문지 제작 과정 37 2. 설문조사 및 자료수집 38 D. 자료 처리 및 분석방법 38 Ⅳ. 연구결과 39 A.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9 1.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39 2. 주요변인의 상관분석 40 B. 부모의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기애의 매개효과 41 1. 부모의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 41 2. 부모의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자기애의 매개효과 43 V. 논의 및 결론 49 A. 연구 결과의 논의 49 1. 부모의 양육방식, 자존감, 자기애 및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상관관계 49 2. 부모의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 50 3. 부모의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자기애의 매개효과 52 가. 부모의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외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52 나. 부모의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53 B. 연구의 의의 54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5 참고문헌 57 부록 65 부록1 한국어설문지 65 부록2 중국어설문지 73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70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동생에 대한 수용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기애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Parenting Styles and Acceptance of Sibling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ina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dc.format.pagevii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