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미경-
dc.contributor.author이은선-
dc.creator이은선-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3:18Z-
dc.date.available2019-08-13T16:33:18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4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40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1148-
dc.description.abstract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은 성별 불평등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이다. 성 고정관념을 유발하는 요인은 다양한데 학교에서는 교과서를 통한 사회화 과정도 중요한 영향 요인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성 고정관념에서 오는 성별 불평등의 해결을 위해서는 여성과 남성 즉 젠더적 민감성과 더불어 젠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인지하고 개선 및 보안하고자 가정 교과에서는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양성평등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반면 2015 교육과정 개편이 새로이 있었으나 성 평등적 관점에 기초한 교과서 분석은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성평등 관점에 기반을 두고 「기술·가정」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기술·가정 」 교과서 내 삽화가 학생들에게 균형적인 사회상을 제시한다는 교과서로서의 책임을 다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2개 출판사에서 발행한 검정교과서 「기술·가정 1」과 기술·가정 2」를 기준으로 총 24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삽화의 외형적 특징과 내용적 특징을 분석범주로 삼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형적 특징인 성별, 신체, 직업에 대해서 빈도를 살펴보았을 때 전체적인 성별 출연 빈도에는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동일 연령대의 두 성별의 인물의 키를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비교 가능한 장면의 수는 총 97개였으며 이중 2개의 장면만이 여성이 남성보다 크게 등장했다. 이는 무의식적으로 기존의 고정관념을 재생산 하는 것은 아닌지 특정 부분을 과잉평가 혹은 과소평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볼 필요성이 있다. 또한 직업과 관련 지었을 때는 직업인으로 남성이 221명, 여성이 125명으로 남성이 1.5배 더 많았으며 여성만이 종사하는 직업의 개수는 29종, 남성만이 종사하는 직업의 개수는 37종으로 직업의 종류에서도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내용적 특징에 근거하여 신체적 특징, 기능적 특징, 정서적 특징에 대해 논의하자면 신체적 특징에서 신체적 모습과 수행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힘차고 운동을 잘하는 인물 134명 중 남성 83명, 여성 51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 1.6배 많았다. 반면 외모에 신경 쓰는 인물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3배 이상 더 등장했다. 생산과 가사 및 소비에 초점을 맞춘 기능적 특징에서는 남성의 일이라는 고정관념이 존재하는 생산에 관련해서 남성이 258명으로 158명인 여성보다 1.6배 이상 많았다. 직업을 가진 인물의 성별이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기능적 특징은 경제적 가치는 있으나 비화폐성을 띄는 관리, 정리, 소품제작을 포함한 결과값이란 점을 고려할 때 학습자의 적극적인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여성도 관리나 정리보다 창출하는 모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서적 특징에서, 자신감을 나타내는 긍정적인 남성적 특징은 남성이 225명, 여성이 203명으로 비슷하게 등장했다. 부정적인 남성적 특징은 남성 38명, 여성 16명으로 폭력적이거나 위험한 행동을 하는 남성인물이 여성보다 2.3배 이상 많았다. 배려를 포함한 긍정적인 여성적 특징은 남성 65명, 여성 90명으로 여성이 1.3배 많았으며 경솔함을 나타내는 부정적인 여성적 특징은 남성 62명, 여성 53명으로 남성이 1.1배 많았다. 이때 남성의 모습은 학업부진으로 인한 우울함과 가정폭력 스트레스로 책상에 엎드려 있는 삽화로서 다수 등장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판단해보자면 우리 교과서가 모든 면에서 성 평등적이라고 평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부분적으로는 많은 개선이 있었지만 여전히 특정 성별에 편중된 성 정형성이 잔재하고 있었으며 개선이 필요한 점으로 보였다. 교과서에 등장하는 인물에게 성별에 따른 처방적 특징을 주입한다면 사회적 인식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특징을 억눌러 학생 개개인의 성격적 장점을 발휘하기 어려움은 물론, 성 역할에 대한 압박감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학생들이 자발적이며 능동적인 태도를 갖추고 비판의식을 함양한다는 성 평등교육의 목적을 이루기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여성과 남성이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 협력하며 활약하는 균형적인 사회상을 학생들에게 제시하기 위해 교과서 편집 시 성별의 처방적 고정관념이 존재하는 것은 아닌지 주의하고 편견 요소를 축소하여 양성평등 한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지속적인 점검 및 검토를 진행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The stereotype of the roles is one of the causes for the gender inequality. There are various factors causing the gender stereotype, and one of them is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through the textbooks at school. In order to solve the gender inequality caused by the gender stereotype, it is pre-requisite to encourage the people to have a gender sensitivity as well as a correct recognition of the gender. With such a recognition and perception, the researches into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xtbooks have been carried out steadily. Meanwhile, the curriculum was amaleded in 2015 anew, but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has not been sufficient from the gender equality. Hence,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ender equality. Specifically, this study reviewed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if their illustrations would be appropriate for students’ balanced view of gender. To this end, the textbook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1 and 2’ presented by 12 publishing companies (24 books in total)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formative and contents characteristics of their illustr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requencies of such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illustrations as gender, physique and job,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gender show-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male and Female. However, a result of examining the statures of the figures in the same age range, it was found that in a total of 97 scenes, the statures could be compared between male and Female. Among them, only two scenes showed that Female were taller than male. This finding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whether the existing stereotype would be reproduced unconsciously or whether a certain aspect would be over-evaluated or under-evaluated.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the jobs, more male (n=221) appeared as professionals than Female (n=125). The number of the jobs featured in the textbook illustrations was 29 for Female’s jobs and 37 for male’s jobs. Secondly, among such contents characteristics as physical, functional and emotional ones, this study analyzed them, focused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r physical features and func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powerful sporty figures (n=134), male accounted for the majority (n=83) of them; only 51 illustrations featured Female as sporty. In contrast, it was found that Female outnumbers (more than three times) male among the figures who were careful about the appearances. In terms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production, house chores and consumption, male (n=258) outnumbered Female (n=158) in the illustrations regarding the production, or the typical stereotyped field for male. Even if more male are engaged in production than Female, it would be necessary to suggest that Female are engaged more in production than in managemalet or arrangemalet sinc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mostly with the production. In terms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225 male showed a positive image or confidence, while 203 Female did so. On the other hand, more male (n=38) were featured violent or dangerous than Female (n=16). Furthermore, more Female (n=90) than male (n=65) were featured as being considerate, while more male (n=62) were rash than Female (n=53). More male appeared in the illustration as depressed due to the poor learning performance or stressed due to the family violence. Summing up, it is difficult to say that our textbooks are gender-equal in every respect. Although the textbooks have been improved much partially, they still shows a gender stereotype, being biased towards male. So, they needs to be amaleded in such respects. If students are crammed with the prescriptive characteristics in favor of certain gender, individual students would feel difficult for developing their personality strengths, not being free from the pressure related with the gender roles. In order to help students cultivate a sense of criticism spontaneously and actively with a correct sense of gender equality, it is essential to improve such problems. Summing up, in order to suggest to students a balanced image of society with male and Female cooperating with each other in diverse fields,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tinue to examine and re-edit the textbooks in order to check if a gender stereotype would remain and thereby, improve it for gender equ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문제 5 Ⅱ. 선행연구 고찰 6 1. 양성평등과 가정과 교육 6 2. 교과서와 교과서 삽화 10 가. 교과서의 의의와 기능 10 나. 삽화와 사진의 의의와 기능 11 3. 양성평등 및 교과서 삽화 선행연구 검토 13 Ⅲ. 연구방법 16 1. 분석절차 16 2. 분석대상 17 3. 자료수집 18 4. 분석방법 21 1) 외형적 특징 29 가. 성별 등장 빈도 29 나. 남녀 인물크기 29 다. 직업군 31 2) 내용적 특징 33 가. 신체적 특징 33 나. 기능적 특징 36 다. 정서적 특징 37 Ⅳ. 연구결과 1. 교과서 삽화의 외형적 분석 41 가. 성별 빈도 41 나. 크기 59 다. 직업군 51 2. 교과서 삽화의 내용적 분석 57 가. 신체적 특징 57 나. 기능적 특징 62 다. 정서적 특징 68 Ⅴ. 결론 및 논의 76 참고문헌 82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376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양성평등 관점에서 본 「기술·가정」 중학교 교과서의 남녀 삽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llustrations of male and Female o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ender Equality-
dc.creator.othernameLEE EUNSEON-
dc.format.pagevii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