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3 Download: 0

Thomas Osborne 작곡 세 대의 가야금을 위한 분석연구

Title
Thomas Osborne 작곡 세 대의 가야금을 위한 분석연구
Other Titles
Analytical study on Thomas Osborne for 3 Gayageums
Authors
민주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음악을 한국의 문화와 음악, 한국악기의 특성을 활용하여 작곡하는 외국인 작곡가의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Thomas Osborne의 작품 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는 에올리안 하프를 모티브로 작곡한 곡으로, 산조가야금과 25현 가야금 두 대로 편성되어 전통악기와 개량악기의 주법에 따른 음색의 조화를 이룬다. 작품의 구조를 파악하고 주제 동기와 선율의 구성음들을 분석하며, 섹션 별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연주법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음악과 가야금 창작곡에서 활용된 작곡기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악곡을 분석함으로써 이 곡에 나타난 Thomas Osborne의 가야금에 대한 접근법이 어떻게 음악어법으로 표현되는지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Intro]부터 󰎅까지 총 10부분의 섹션으로 구성된 는 주제동기가 전개되는 형태에 따라 크게 세 단락으로 나뉘어 A-B-A’의 3부분 형식을 이룬다. [Intro]에서 제시된 화성을 바탕으로 󰍽의 주제 동기가 형성이 되어 A단락의 주제 동기로 전개 및 재현하고, B단락은 󰍽의 주제동기 중 겹음을 모티브로 삼아 새로운 주제 동기를 형성하여 확장시킨다. A’단락은 A의 주제 동기를 재현 혹은 확장한 형태로 전개하였다. 둘째, 각 단락의 선율을 분석한 결과, A단락의 [Intro]에 나타난 화음구조를 화음의 자리바꿈과 같은 형태로 점차적으로 변형시키고, 시김새를 가지고 있는 주선율이 중심음 주변으로 음이동을 한다. B 단락은 상행 모티브를 주고받으며 연주하다가 합쳐져 음역대의 폭을 넓혀가며 발전하여 클라이막스를 형성한다. A’단락은 주제화성진행을 재현하면서 이에 새로운 선율을 얹어 강조하고, 음을 점차 확장하여 종지하였다. 셋째, Thomas Osborne은 작곡을 할 때, 작품 전반에 걸쳐 가야금이 지닌 자연스러운 음색을 고려한 전통적인 주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농현을 현대적인 주법으로 활용하여 4가지의 방법으로 표현하였고, 뜯은 직후 여음 변화하기, 제시음으로 여음 상행진행하는 주법, 전성, 양손 연주법을 특징적으로 사용하였다. 외국인 작곡가인 Thomas Osborne은 자신이 직접 겪은 한국의 문화와 음악, 그리고 한국악기의 특징을 본인의 시각으로 받아들여 작품에 반영하였고, 작품에서는 오직 악기 본연의 음색, 음향, 특성을 활용하여 작곡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외국인 작곡가가 한국악기로 작업한 악곡에 대하여 분석한 본 연구가 한국음악사에 보탬이 되길 바라고, 외국인 작곡가들의 활동이 한국음악사에서 한국음악을 발전시키는 데에 일조하길 바란다. 또한, 를 연주하는 연주자들의 이해를 돕고, 실제 연주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o examine the Korean music in the perspective of a foreign composer who compose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Korean music, and Korean instrument, this study targeted on by Thomas Osborne. is a piece composed with a motif of Aeolian harp and it provides the harmony of tones of traditional instrument and reformed instrument with two sanjo gayageum and 25-string gayageum.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structure, analyze composing notes in motif and melody, and distinguishing technique for each session to examine the composing skill utilized in creative piece involving Korean music and gayage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iece and figure out how Thomas Osborne’s approach to gayageum is expressed in musical expression. First of all, composed of 10 sessions from [Intro] to 󰎅 is divided into 3 structur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motivational theme and forms a structure of A-B-A’. The motivational theme of 󰍽 is formed based on the harmony suggested in [Intro] and it develops and reproduces the motivational theme from A Structure. On the other hand, B Structure forms and expands the new motivational theme with a motif of compound note among motivational themes of 󰍽. Also, A’ Structure develops in the reproduced or extended form of motivational theme. Secondly, the analysis results on melody in each structure were as follows. The chord structure found in [Intro] part of A Structure is gradually changed in to the form of chord shifting. Also, the main melody with sigimsae moves to the place around major note. B Structure is performed by exchanging upward-motion themes and they are combined together to expand range of notes and compose a climax. A’ Structure reproduces development of main chord, adds new melody for emphasis, and gradually expands the notes to the finish. Third, Thomas Osborne mainly used traditional techniques that consider about the natural tone of gayageum in his overall pieces. Thomas Osborne also utilized vibrato as a modern playing technique to express in 4 ways. He also used techniques including Jeonsung, Yeoum variation, both-hand technique, and upward motion Yeoum. As a foreign composer, Thomas Osborne visually adopt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Korean music, and Korean instrument he experienced and reflected such characteristics on his pieces. Also, < Autumn Winds> was composed by utilizing the original tone, sound, and characteristic of the instrument. This study hopes that the analysis on the piece composed by a foreigner composer with Korean instruments would contribute in the Korean music history. Also, this study hopes that the activities of foreign composers would promot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Furthermore, this study expects the analysis results would help people in understanding and performing bett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