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무용전공 대학생의 예술고와 일반고교 출신에 따른 회복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비교연구

Title
무용전공 대학생의 예술고와 일반고교 출신에 따른 회복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비교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nderstanding about fictiveness of modem novel and reconstruction of time in modern novel
Authors
김지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은아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예술고와 일반고교 출신에 따른 회복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무용과 대학생의 진로에 대한 심리적 상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대학현장에 있는 무용지도자들에게는 학생들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진로지도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들 약 210명을 의도적 표집방법(purpose sampling)을 사용하여 표집 하였다. 210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 8부를 제외하고 202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해 SPSS 24.0을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방법으로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신 고등학교 특성(예술고, 일반고)에 따라 회복탄력성의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회복탄력성과 개인의 유능성, 자신과 삶의 수용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를 나타냈으며, 예술 고등학교를 졸업한 무용과 대학생이 일반 고등학교를 졸업한 무용과 대학생보다 회복탄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개인의 유능성 요인에서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출신 고등학교 특성(예술고, 일반고)에 따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직업정보수집, 목표설정, 계획수립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예술 고등학교를 졸업한 무용과 대학생들이 일반 고등학교를 졸업한 무용과 대학생들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직업정보수집과 목표설정요인이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일반 고등학교를 졸업한 무용과 대학생들의 계획수립 요인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예술 고등학교를 졸업한 무용과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중 문제해결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출신 고등학교 특성(예술고, 일반고)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의 무용지도자들은 대학생들의 출신 고등학교에 대한 파악 후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resilience and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mong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dance from art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and to analyze the students’ career-relates psychological state. It is also meaningful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dance instructors in the university field so that they can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make career guidance more efficient.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degree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arts and general highs) from which the studen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overall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egree of resili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arts and general high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resilience. In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arts and general high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dance directors of universities need detailed grasp of students' high schoo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