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7 Download: 0

覺醒의 교육적 함의

Title
覺醒의 교육적 함의
Other Titl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wakening : With a perspectives of Existential philosophy and Buddhism
Authors
JIN, ZHENLING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환| 신태섭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화 교육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각성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검토하고 각성의 체험을 교육에서 실현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각성의 교육적 가능성과 유용성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서 각 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전개하였다. Ⅰ장에서는 각성의 개념을 조명해야 하는 이유와 필요성, 그리고 목적과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Ⅱ장에서는 실존철학과 불교적 관점에서 각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개념을 정리한다. Ⅲ장에서는 각성의 예비로서 실존철학에서의 ‘만남’과 불교에서의 마음챙김을 살펴본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고찰한 각성의 개념이 갖는 교육적 함의를 밝히고 이것이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한다. Ⅴ장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기초한 후속연구에 대해 제안한다. 실존철학과 불교에서 인간은 자각적인 존재이다. 이는 근본적으로 ‘나’ 자신, 더 정확히는 본래적 자기에 대한 각성을 의미한다. 실존철학과 불교에서는 이를 실존과 불성에 대한 각성으로 이해한다. 실존철학에서 인간은 모든 가치와 규정을 무너뜨리는 삶의 극단에서 경험하게 되는 실존적 각성을 통해 실존으로 이행하고, 불교에서 중생은 자신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불성의 각성을 통해 불타로 나아간다. 이처럼 각성은 인간 존재양식의 변화, 즉 가능성, 잠재성으로 존재하던 본래적 자기로의 회복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교육학에서 필히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동안 교육학에서 각성은 개별적이고 내면적이며 추상적인 개념의 특성상 교육적인 기술로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적어도 각성을 교육에서 예비할 수는 있다는 것이 실존주의 교육학자들의 입장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성의 교육적 예비로서 실존철학에서의 ‘만남’과 불교에서의 마음챙김을 제시하였다. 실존적 전환으로서의 ‘만남’은 필연적으로 각성을 수반한다. 즉 인간은 ‘만남’이라는 자극을 통해 각성하며 이로써 다른 차원의 삶으로 비약할 수 있게 된다. 마음챙김은 지금-여기에서 경험하는 것에 대한 비판단적인 주의와 알아차림, 그리고 수용을 말한다. 마음챙김을 한다는 것은 알아차리는 힘, 통찰의 힘을 통해 지금-여기에서 온전히 ‘나’ 자신으로 깨어있는 실존적 존재양식을 의미함과 동시에 인간에게 내재된 가능성의 계발을 의미한다. 즉 마음챙김은 알아차리는 ‘나’를 양성한다는 점에서 각성과 직결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각성의 개념이 갖는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자각적 주체로서의 인간이해이다. 실존철학과 불교적 관점에서 인간은 삶 속에서 그 본래성을 망각한 채 비본래적인 존재양식으로 타락할 수 있는 존재이다. 그러나 동시에 인간은 자각적 주체로서 언제든 자신의 본래성을 각성함으로써 본래적 자기로 이행할 수 있는 가능적 존재이기도 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을 자각적인 존재로 보는 것은 그 자유성, 잠재성, 가능성, 나아가 초월성까지도 포괄하는 것이다. 인간에 대한 무한한 신뢰와 긍정을 보여주는 이러한 인간이해는 특히 교육에서 중요시되어야 한다. 둘째는 비연속적 교육형식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이다. 그동안 비연속적 교육은 그 불확실성으로 말미암아 전통적인 교육과 첨예하게 대립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삶의 많은 전환이 비연속성으로의 순간적 비약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교육은 결코 비연속적 교육형식을 배제하거나 도외시해서는 안 된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각성 역시 비연속적 경과의 하나이다. 교육은 마땅히 기존의 연속적 교육과 비연속적 교육이 적절히 상호보완할 수 있는 여지를 모색하여야 하며 나아가 실제 교육현장에서 비연속적 교육형식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성을 핵심으로 하는 실존철학과 불교적 관점에서 해당 개념을 조명함으로써 각성의 개념이 갖는 의미와 특징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후 각성의 개념을 교육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종합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둘째, 교육에서 각성을 예비할 수 있는 두 가지 방안으로 ‘만남’과 마음챙김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적 기술로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온 각성의 교육적 가능성을 제공한다. 셋째, 각성의 개념이 갖는 교육적 함의를 밝히고, 이것이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함으로써 그동안 교육에서 도외시해온 것들에 대한 주의를 환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넷째, 비인간화가 날로 심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우리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고, 어떤 존재여야 하는지에 대한 내적 성찰과 함께 이를 위한 교육적 노력을 촉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meaning and value of awakening as one of the alternatives for education of humanization, suggest directions for realizing it in education, and reveal educational possibility and usefulness of awakening. As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arguments are unfolded. In Chapter I, the reason and necessity why the concept of awakening should be elucidated along with the purpose and research questions are suggested. In Chapter II, the concept of awakening from the perspectives of Existential philosophy and Buddhism is discussed and based on this, the corresponding concept is summarized. In Chapter III, as the preliminaries for awakening, ‘encounter’ in Existential philosophy and ‘mindfulness’ in Buddhism are examined. In Chapter IV,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the concept of awakening examined in this study exhibits are revealed and how it affects the education is discussed. In Chapter V, the subjects discussed to this point are summarized and follow-up research on the basis of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proposed. In Existential philosophy and Buddhism, human beings are conscious beings. This means basically ‘myself’ and more specifically it means awakening of my true self. In Existential philosophy and Buddhism, this is understood as awakening to the existence and Buddha-nature. In Existential philosophy, human beings realize their existence through existential awakening which is experienced when all values and rules are destroyed at extremes of life; and in Buddhism, all living creatures become Buddha through awakening of inherent potential having Buddha-nature. Awakening should certainly be considered in pedagogy in the way that awakening ultimately leads to a change in ‘mode of human being’ and restore possible inherent potential of being a true self. Up until this point in pedagogy, it was thought that educational skills cannot directly be provided for awakening due to its individual, spiritual and abstract characteristics. However, the existential pedagogists are in the position that awakening can be at least prepared in education. In this paper, hence, as the educational preliminaries for awakening, ‘encounter’ in Existential philosophy and ‘mindfulness’ in Buddhism are proposed. First, the ‘encounter’ as one switch, the ‘encounter’ as an existential reversal inevitably involves awakening. In other word, human beings are suddenly awakened through ‘encounter’ as a stimulus and then, transformed to a different level of life. Mindfulness means non-judgmental stance, awareness and acceptance for all things that human beings are experiencing now and here. Doing mindfulness, through the power of awareness and discernment, means existential mode of being my true self now and here and development of inherent potentials. That is, in the way that mindfulness educates self-aware, it is directly connected to awakening. Followings a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awakening discussed in this study. First,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s conscious subject. From the perspectives of Existential philosophy and Buddhism, human beings have potentials to lose their authenticities during their lives and become corrupted to inauthentic mode of being. But human beings as conscious subject have potentials who can always awaken their natures to realize their true being. Based on this, recognizing human beings as conscious subject indicate covering of their freedom, potential and possibility as well as their transcendence. Human understandings such as infinite faith and affirmation towards human being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particularly in terms education. Second, emphasis on discontinuous education forms. Up until this point, the discontinuous education was regarded as sharply opposite to the traditional education due to its uncertainty. But due to the fact that many of the turning points in life begin by rapid jump as discontinuity, the discontinuous education should not be excluded or disregarded for the education. Awakening discussed in this study is one of the discontinuous processes. In terms of education, margins for mutual complementation between the existing continuous education and the discontinuous education should be discovered and moreover, ways of applying discontinuous education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should concretely be discussed as well.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ly, from the perspectives of Existential philosophy and Buddhism where awakening is the core concept, the integrativ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awakening were examined and theref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s provided for those researchers who would like to approach the concept of awakening educationally. Secondly, in order to prepare education for awakening in two ways, ‘encounter’ and ‘mindfulness’ are provided so that educational possibilities for awakening are also provided where it is regarded that educational skills cannot be used methodologically for awakening. Thirdly,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the concept of awakening exhibits were disclosed and implications that it provides to education were discussed to pay attention to the things that were disregarded for the education. Fourthly, where dehumanization becomes more serious in modern society, it encourages to self-examine how human beings should live and be existed and educational efforts for th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