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일반 고중학교 종합소질평가 제도에 관한 인식 분석

Title
일반 고중학교 종합소질평가 제도에 관한 인식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Comprehensive Quality Evaluation System of Ordinary High School : Focusing in Tianjin city in China
Authors
JIANG, XIAOTING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사회·경제·문화 모든 분야에서 경쟁이 치열한 오늘날 교육은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자 추진력이라고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하여 전 세계적으로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교육기관 역할의 질적인 향상에 대한 요구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사회 변화에 대응하여 교육제도의 변화 방향으로 교육평가방식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정제영, 2017a). 학교의 책무성을 강조하여 창의력과 탐구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전 세계 각 나라에서는 교육제도, 교육과정, 교육평가 등을 연구하여 교육개혁에 많은 시사점을 얻고 있다(국제미래학회·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중국도 마찬가지로 학교 및 교육의 질을 향상하도록 학생 개개인에 맞는 교육 평가 방식을 추진하여야 할 시점에 도달하였다. 현재 중국에서는 신교육과정 개혁이 전국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소질교육의 전면적 실현을 개혁의 목표로 삼고 있다. 이번 개혁은 학생의 소질에 더욱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교과과정 구조에 있어서 학생들의 전인적 발전을 촉진하고 학생들의 종합소질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소질교육의 보급에 따라 학생을 위한 종합소질평가 제도의 개념도 등장하였다. 종합소질평가 제도는 2004년에 중국 교육부가 발간한 <국가기초교육과정 개혁 실험 성(구) 졸업생 입학시험과 일반 고중학교 입학제도 개혁에 대한 지도 의견>에서 처음 제안한 제도이고 학생의 사상품덕(思想品德), 학업 수준, 심신 건강, 사회실천, 예술소양 방면의 소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평가제도이다. 2004년부터 중국에서 일반 고중학교 종합소질평가 제도에 관한 선행연구 성과가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주로 평가 체제에 관한 연구, 시행현황에 대한 연구, 가오카오(高考)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로 분류되었다. 그러한 이론적 연구를 기반으로 다소의 성과를 거두었지만 평가에 대한 학교현장의 부정적인 평가는 여전하다. 평가 준거, 지표, 방법 등에서 일부 제도적 개선이 있으나 평가의 목적, 내용, 방법, 결과 활용 등은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다(김정민 외, 2009).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종합소질평가의 교육 현장에서의 실시상황에 대한 조사의 일환으로 학교구성원의 종합소질평가에 대한 인식은 무엇인지를 탐구하고 종합소질평가제도의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까지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쟁점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천진(天津)시의 3개 고중학교의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평가에 대한 이해정도 평가실시 과정에 대한 인식, 평가실시 결과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에 대한 인식으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학생과 교사 공통된 문항에 대한 인식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가제도에 대한 이해 수준을 살펴보면 학생과 교사 간 종합소질평가의 내용, 선행 교육 실시 상황, 종합소질평가의 목적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생에 비해 교사의 인식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실시 과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학생과 교사 간 평가의 실시기간, 성장기록부의 활용 정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에 비해 학생의 인식 수준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실시 결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학생과 교사 간 종합소질평가 결과의 공시상황, 결과에 따른 맞춤형 지도 상황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에 비해 학생의 인식 수준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학생과 교사 간 평가주체에 대한 선행교육실시, 성장기록부 내용의 진실성보장, 평가실시 후 피드백의 활용, 종합소질평가 결과의 가오카오 적용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평가결과의 가오카오 적용 찬반이유 부분에 관해 학생과 교사 간 종합소질평가가 학생의 학습 흥미 증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고 필수과목의 중요성, 결과의 가오카오 적용의 가능성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교사의 인식수준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소질평가에 대한 학생 인식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가제도에 대한 이해 수준을 살펴보면 학생의 학년에 따라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3학년 학생의 인식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실시 과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학생의 학년에 따라 평가의 실시기간, 성장기록부의 활용정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고, 성별과 학년에 따라 심신발전에 유의한 수업개설 상황에 대해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고3학년 학생의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실시 결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학생의 학년에 따라 인식 차이가 있다. 전반적으로 고3학년 학생의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학생의 학년에 따라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고3학년 학생의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결과의 가오카오 적용 찬반 이유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살펴보면 학생의 학년에 따라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소질평가에 대한 교사 인식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가제도에 대한 이해 수준을 살펴보면 교사의 교직경력, 직급, 학력, 출시학교계열에 따라 인식 차이가 있다. 전반적으로 15년 초과~20년 이하 집단, 담임교사 집단, 대학원 석사 및 이상 집단, 사범계 출신 집단의 인식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실시 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교사의 교직경력, 직급, 학력, 담당학년에 따라 평가의 실시기간, 평가요소의 명확성, 평가 과정의 공시 상황, 성장기록부의 활용정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15년 초과~20년 이하 집단, 담임교사 집단, 대학원 석사 및 이상 집단, 고3학년 집단의 인식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실시 결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교사의 교직경력, 직급, 학력, 출시학교계열에 따라 인식 차이가 있다. 15년 초과~20년 이하 집단, 주임 집단, 대학원 석사 및 이상 집단, 사범계 출신 집단의 인식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교사의 교직경력, 직급, 학력에 따라 인식 차이가 있다. 15년 초과~20년 이하 집단, 담임교사 집단, 대학원 석사 및 이상 집단의 인식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결과의 가오카오 적용 찬반 이유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교사의 직급에 따라 종합소질평가가 전면적인 발전을 촉진하는 것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다. 여기서 주임 집단의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주체에게 종합소질평가에 관한 홍보를 확대하고 교사 대상으로 하는 연수가 필요하다. 둘째, 평가 과정 중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해 평가주체들은 공정성의 원칙을 따라야 한다. 셋째, 평가를 잘 시행하기 위해 학교 측은 평가 내용과 평가 지표의 명확성을 보장해야 한다. 넷째, 평가결과의 진실성을 보장하기 위해 성장기록부에 있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시로 학생과 학부모에게 전달해야 한다. 다섯째,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학생 개인별 피드백을 강화해야 한다. 여섯째, 평가 결과를 대학입학전형에서 반영할 수 있도록 교사와 학생뿐만 아니라, 대학과 정부 및 지방 교육청의 협조가 필요하다. ;Education is the driving force of social development today when competition is highly competitive in all areas of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ortance of education is being highlighted all over the world, and the demand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rol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s increasing even more. In response to the social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government is calling for a shift in the way education systems are assessed. In order to foster creative and exploration talent by emphasizing school responsibilitie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getting a lot of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form by studying educational systems, curricula, and educational evaluations. China has also reached a point where it should pursue an educational evaluation system tailored to each stud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and education. Currently in China, the reform of the new education curriculum is being carried out nationwide, and the full realization of quality education is the goal of reform. The reform has paid more attention to students' aptitude, and aims to promote the overall development of students in the structure of the curriculum and to foster the overall quality of students. The concept of the quality education for students also emerged as a result of the spread of evaluation of the overall quality education. The evaluation of the overall quality education system was first proposed by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in 2004, which directive opinion on the entrance exam for graduates and the reform of the general high school entrance system, and it is an important evaluation system that evaluates students' aptitude for thought, academic, mental, physical, social, and artistic qualities. Since 2004, pre-research results on the evaluation of the overall quality of high school students have become abundant in China, and overall, it has been classified as a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and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okao. Based on such theoretical research, some achievements have been made, but the negative assessment of the school site remains. There are some institutional improvements in the assessment criteria, indicators and methods, but the purpose, content, methods and use of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remain problematic. Therefore, as part of this study, as part of an investigation into the implementation situation of the comprehensive aptitude test in the educational field, we will explore the awareness of the evaluation of the overall quality education system among school members and even explore policy task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mprehensive aptitude test system. The issues that I want to address in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entire school members regarding the evaluation of the overall quality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evaluation of the overall qual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what is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evaluation of the overall quality of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three issu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600 students and 240 teachers of three general high schools in Tianjin, China. The survey tools used in the analysis were analyzed by examining prior research and divided into perceptions of prior assessment practices, perceptions of the assessment process, perceptions of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and perceptions of policy tasks for improvement. And two-independent sample t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hi-test,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analysis method. The main results of the recognition of a common ques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re as follows. In looking at the perception of prior to the assess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comprehensive aptitude tes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e situation of conducting prior education, the selection of students with superior aptitude tests, and the promotion of the teaching level of teachers. Overall, teachers' awareness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The perception of the assessment proc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bout the duration of the assessment and the extent to which the growth records were used. Students' level of awareness i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In looking at the perception of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disclosure status of the comprehensive aptitude test results and the customized guidance situation based on the results. Students' level of awareness i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In looking at the perception of policy tasks for improve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prior education on the subject of assessment, the guarantee of veracity of the growth records, the use of post-evaluation feedback, the increase of reference ratios of the high-level student scholastic ability test results in Gaokao, and the application of the comprehensive aptitude test results to Gaokao. Regarding the pros and cons of applying Gaokao to evaluation results, the comprehensive aptitude tes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motion of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the importance of the required subjects,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Gaokao to the results. Overall, teachers' awareness levels were found to be higher. The main results of student awareness of the evaluation of the overall quality are as follows. The perception of prior to the survey shows that there is a perception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tudent's grade. Overall, the third grade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awareness. In looking at the perception of the assessment proc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ngth of the assessment and utilization of the growth records depending on the student's grade, and differences in the circumstances of the opening of classes that were significant to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gender and grade. Overall, the third grade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awareness. Looking at the perception of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there is a perception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tudent's grade. Overall, high school senior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awareness. A look at the perception of policy tasks for improvement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ption depending on the student's grade. Overall, the first grade and the third grade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awareness. Looking at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reasons for the Gaokao applic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erception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tudent's grade. Overall,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awareness. The main results of teacher awareness of the evaluation of the overall quality are as follows. If you look at teachers' perception of prior to the assessment,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ption depending 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posit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a graduate of a school category. Overall, those with teaching experience from 15 years to 20 years, those position is class teachers, graduate schools with master's degrees and abnormalities, and those with backgrounds from the teachers college have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Looking at teachers' perception of the evaluation proc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posit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academic year in charge of the assessment, the clarity of the assessment factors, the disclosure situation of the assessment process, and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the growth records. Overall, those with teaching experience from 15 years to 20 years, those position is class teachers, graduate schools with master's and abnormalities, and those with high school seniors have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If you look a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there are different perceptions depending on th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posit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launch school category. Overall,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among those who have been from 15 years to 20 years, master's and ideal groups at graduate schools, and those with backgrounds from the teachers college have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Looking at teachers' perception of policy tasks for improvement,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ption depending on teachers' experience in teaching, posi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Overall,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groups of more than 15 years and less than 20 years, class teachers' group,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and abnormal group is the highest. Looking a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reasons for and against the Gaokao applic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quality assessment, depending on the teacher's position. This is where the chief executive group has the highest awareness.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needs to expand the promotion of the comprehensive aptitude test and to train teachers. Second, to ensure reliability during the evaluation process, the assessors must follow the principle of fairness. Third, in order to carry out the assessment well, the school must ensure the contents of the assessment and the clarity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Fourth, to ensure the veracity of the evaluation results, the contents of the growth record should be monitored in real time and frequently communicated to students and parents. Fifth, feedback by each student should be strengthe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Sixth,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the government and local education offices, as well as teachers and students, is needed to reflect the evaluation results in the college admission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