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1 Download: 0

국내 차(茶) 문화 대중화를 위한 마스코트 디자인 제안

Title
국내 차(茶) 문화 대중화를 위한 마스코트 디자인 제안
Other Titles
Mascot design for popularizing tea culture in Korea : Based on Tea Story products
Authors
정유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윤석
Abstract
「삼국유사」 기록에 따르면 한국의 차 문화는 600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차 문화는 일제의 영향과 광복 이후 격변하는 시대 속에서 관심받지 못하고 점차 인식에서 사라졌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차는 현대인에게 까다롭고 격식을 차려야 하는 대상으로 인지되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젊은 세대가 인식하는 차의 고정관념을 개선하고 차 문화의 대중화를 위해 차와 현대인들 간의 공감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스코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차 문화의 대중화를 위하여 현대인의 생활방식을 파악하고 이해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생활방식이 다양해지며 급진적으로 변화하는 일상에서 정신적 여유를 찾고자 혼자만의 시간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또한,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짐에 따라 타인과의 감정소통에 어려움을 느끼고 감정 표현에 부담을 가지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이에 감정을 대변하는 이모티콘과 같은 감정 표현 콘텐츠가 새로운 문화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문화적 흐름에서 차는 생활 속 휴식과 여유를 찾는 사람들에게 건강과 정서적 여유로움을 주는 음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차는 피를 맑게 하고 혈압을 낮추는 등 신체에 이로운 효능들이 있다. 더불어 차 한잔의 온기를 통해 마음을 위로하며 바쁜 일상 속 여유를 느끼려는 소비자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준다. 이처럼 차는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포용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여러 차 브랜드도 다양한 차를 개발하고 고급화 전략을 구사하는 등 차의 대중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 의하면 그래픽 패턴과 같은 요소를 활용하여 차의 상품적 가치를 높이려는 시도는 대중의 지속적인 공감을 이끌어내기 어려우며 대중화의 방안으로 부족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차 문화의 대중화를 위해 감정을 시각화한 마스코트를 활용하여 차와 현대인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중화를 위한 방법으로 차별화된 마스코트를 제시하고자 한다. 효능을 찾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정서적 공감을 유도하여 본능적으로 차를 선택할 수 있는 특성에 디자인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한 디자인 발전 방향으로 첫째, 마스코트의 조형적 요소에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을 대입하였다. 각각의 차에 표정을 적용하여 소비자의 심리적 상태에 공감하고, 호기심을 유발하며 시각적 즐거움을 주고자 하였다. 둘째, 컬러테라피 이론에 근거하여 기쁨과 행복, 놀람과 같은 긍정적 감정의 심리적 효과가 극대화되는 색을 도출하였다. 또한, 슬픔과 분노의 부정적 감정을 보완하는 색을 통해 부정적 감정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차 효능의 이해를 돕기 위한 언어적 표현을 사용하였다. 표정만으로 차의 정보를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효능을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언어적 표현을 사용하여 차를 선택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과정을 종합하면, 복잡한 과정과 격식 있는 기존의 차 문화의 인식에서 벗어나 차를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감정을 기호화하여 차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였다. 이는 감정을 표현한 마스코트와 언어를 통해 차의 효능을 한눈에 인지함으로서 자신에게 필요한 차를 본능적으로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차 문화에 공감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개성을 높인 마스코트를 제안한다. 이를 제안함으로서 차가 현대인의 삶에서 친근하고 대중적인 일상 음료로서 자리 잡기를 희망한다. ;Despite its long history, tea culture in Korea has been neglected and stayed out of the spotlight due to the rapid changes that took place in Korean society following Japanese colonization and subsequent independence. These social changes led to a biased perception that tea has to be difficult and forma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suade people from having a negative perception of tea and to popularize tea culture. To this end, the researcher proposes an emotional mascot to familiarize the public with tea. The researcher decided that it was important to identify and understand a contemporary lifestyle to successfully promote tea culture. More people seek to spend some time alone in pursuit of peace of mind, as a result there are rapid societal and lifestyle changes. People with stronger individualistic tendencies find it difficult to express their feelings as well as communicating their feelings to others. Therefore, content that expresses emotions, such as emoticons, gained popularity and became a cultural trend. Along the continuum of cultural transition, people who search for leisure and relaxation in life, turn to tea for its health and mental calming effects. Tea also has many health benefits, for example, tea helps to thin the blood and also lower blood pressure. Additionally, the warmth felt from a cup of tea works as a soothing balm for those who long for peace in their hectic lives. In this way, tea is able to satisfy the needs of various different consumers. Tea brands today work towards developing a variety of different flavors while employing upmarket strategies in order to boost the popularity of tea. Howeve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ttempting to increase the merchandise value of tea through graphical patterns is considered to be an unsuitable method to promote tea as they have failed to attract consumers. Furthermore, this study instead proposes the use of an emotional medium to encourage contemporary consumers to better understand tea and the culture of tea. In order to provide a unique identity to popularize tea, the study insisted on a design that would appeal to the consumers’ emotions to encourage them to select their tea intuitively, rather than having them search for its effects. Design steps to achieve this goal were as follows. Firstly, universal human emotions were reflected i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ascot. In other words, facial expressions that relate to consumers’ psychological state, evoke curiosity and create visual effects were applied for each type of tea. Secondly, colors that would maximize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happiness and amazement were selected based on the color therapy theory. Colors which could decrease negative emotions such as sadness and anger were also selected to alleviate negative emotions. Thirdly, linguistic expressions were used to help consumer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ea. Since it may be very difficult to convey information with facial expressions alone, explanations to directly communicate its effects were utilized to help consumers with their tea selection. In summary, this study attempted to prompt communication between tea and consumers through conceptualizing emotions. The goal was to help consumers break free from their perception of tea as being something very difficult and formal, to becoming familiar and comfortable with tea. The study is confident in that an emotion mascot and linguistic expressions could help the public to perceive the effects of tea and to choose the type they need with ease. Furthermore, it is intended that the design suggested in the study help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ea culture, and that the mascot operates as a icon to popularize tea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