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9 Download: 0

색채 속성과 방향에 의한 Figure-Ground 인식

Title
색채 속성과 방향에 의한 Figure-Ground 인식
Other Titles
Figure-Ground recognition based on Color attributes and Directions
Authors
임다혜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인간이 시각을 통하여 대상을 지각하고, 정보를 수용하기까지는 무의식적으로 Figure-Ground 인식 단계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간의 시각 인지 특성에 의거하여 본 연구는 Figure와 Ground 인식 요인 파악을 통해 디자인 분야와 더불어 일상 전반에서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에 기존 진행되어온 형태와 방향 관점 연구에서 나아가 대상 지각의 중요 역할을 하는 색 속성 요소를 중심으로 Figure와 Ground을 구분하고 인식하게 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6:4, 7:3, 8:2, 9:1, 9.5:0.5 비율과 Left-Right와 Lower–Upper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색상 (Wh-Bk, R-G), 명도, 채도 배색에 의한 Figure 인식 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Figure 인식에 있어 방향 또는 면적의 영향이 색채의 영향보다 크게 작용한다. 둘째, 색채는 형태의 비율에 따라 Figure 인식 요인으로 작용한다. 명도 6:4, 채도 7:3 이하의 비율에서 각각 고명도, 고채도의 색채 영역이 Figure 인식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율에 따라 면적이 좁은 영역은 Figure 인식 요인으로 작용한다. Left-Right 방향에서 색상 7:3, 명도 7:3, 채도 8:2 이상의 비율에서 면적이 좁은 영역이 Figure 인식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Lower 방향은 Figure 인식 요인으로 작용한다. Lower-Upper 방향으로 형태가 분할될 경우, 색 속성과 면적비에 관계없이 Lower 방향의 영향이 Figure 인식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Red는 뚜렷한 Figure 인식 요인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1차 빈도 분석 결과, Red 영역은 Green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2차 평균값 분석 결과 본 연구의 기준점 (60.0%)에 미달하는 수치 (52.7%)로 나타났다. 이는 면적 비율의 영향이 함께 작용해 응답이 분산되어 평균값이 다소 미미하게 나타난 것으로 유추된다. 본 연구는 Figure-Ground 인식에 있어 색 속성 각각에 의한 영향과 구체적 비율 구간을 제시하였다. Figure-Ground의 관계 이해 및 디자인 단계에서 적절한 구성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하는 바이다.;Figure-ground recognition is indispensable until human beings perceive the object through vision and accept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human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I wanted to find out the factors of Figure and Ground recognition for the best communication in the design field and daily life. To distinguish between Figure and Ground, I tri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ake them recognize. Along with the study on the existing form and direction, the focus is on the color attribut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object perception. The experiment was based on the five ratios of 6:4, 7:3, 8:2, 9:1, and 9.5:0.5 and Left-Right and Lower-Upper directions are the criteria. It was conducted in order of experiment by color (White-Black, Red-Green) and lightness, saturation. The conclusion based on the experimental setup is as follows. First, As a factor of figure recognition, direction or ratio influence rather than color. Second, Color is a perceptual factor according to the ratio of form. Color areas of High-lightness and high-chromaticity in ratio of 6:4 and 7:3 respectively are factors for Figure recognition. Third, the small areas become a Figure recognition factor according to the ratio.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en the Hue is 7:3, the lightness is 7:3, and the saturation is 8:2 or more, the narrow area is the Figure recognition factor. Fourth, the lower direction is the Figure recognition factor. If the shape is divided in the lower-upper direction, the effect of the lower direction, regardless of the color attribute and area ratio, has been shown to play a significant role as a Figure recognition factor. Fifth, Red Color is difficult to judge as a distinct Figure recognition factor. As a result of the first frequency analysis, the Red area was relatively more frequent than the Green area. However, the results of the secondary mean value analysis were 52.7% lower than the reference point (60.0%) of this study. This seems to be due to the scattering of the responses due to the ratio of the area, and the average value appears to be somewhat insignificant. This study presented the effect and specific ratio interval by each color attribute in the recognition of Figure-Ground. I hope that it will help figure-ground understanding and be used for proper construction of design 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