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종우-
dc.contributor.author이난영-
dc.creator이난영-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56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56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1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19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1060-
dc.description.abstract2019년인 올해는 2020년 이후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를 논의하고 생물다양성전략계획과 아이치 생물다양성목표에 따른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각국의 노력을 점검하고 향후 방향을 재정비하는 해이다. 우리나라는 생물다양성협약 이행을 위한 국가적 노력을 기울여왔다. 2018년에는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가전략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생물다양성협약 제6조와 공공교육을 명시한 생물다양성협약 제13조에 따라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을 수립하였고, 생물다양성 인식 제고를 위한 생물다양성 교육 방안을 학교 안 교육과 학교 밖 교육으로 나누어 마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 관련 학교 안 교육을 분석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물다양성 관련 주제 내용을, 학교 밖 교육을 분석하기 위해 2015년에 생물다양성 교육을 목적으로 개관한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분석하고,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생물다양성 관련 내용 체계에 따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교육 프로그램의 생물다양성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안 교육과 학교 밖 교육은 크게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구성 요소의 지속가능한 이용이라는 국제적 담론과 맥락을 함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대비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은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구성 요소의 지속가능한 이용이라는 주제에 맞추어 개정되었다. 학교급별 연계성이 보완되었고, 정의적 측면뿐만 아니라 인지적 측면이 강조되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의 교육 프로그램은 해양생물다양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는 모든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지지만, 분류, 생태계, 진화 등의 주제는 프로그램별로 차이가 나타났다.;Year 2019 is the year to discuss the post-2020 global diversity framework, to review and overhaul each country’s current effort and future plan towards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based on the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and the Aichi Biodiversity Targets.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has committed tremendous effort to implement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In 2018,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fourth national biodiversity awareness in and out of school system, under the article 6 of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o set the nation’s strategy to conserve and sustain biodiversity and the article 13 to build public education and awareness. In order to measure the educational effort on implementation of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topics around biodiversity from three educational programs: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round the biodiversity, and the biodiversity educational programs provided by the National Marine Biodiversity Institute of Korea(MABIK), founded in 2015. The Content analysis result has shown tht the biodiversity educational programs offered in and out of school are in the similar vein as the international discourses and contexts, concentrating on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biodiversity. Compared to the 2009 science curriculum, the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ere revised to cover the topic on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biodiversity. Also, the curriculum was redesigned to provide the continuous education and awareness throughout different school levels, and to emphasize not only the scientific concept but also the perception of the biodiversity on cognitive aspect. The programs at MABIK are mainly centered around the education to raise the public awareness on the marine biodiversity. Subjects such as classification, ecosystem, and evolution showed different results by progra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생물다양성 6 1. 생물다양성의 현황 6 2. 생물다양성의 가치 6 3. 생물다양성의 위협 7 B. 생물다양성협약 9 1. 생물다양성협약 9 2. 아이치 생물다양성목표 10 3. 생물다양성 교육의 필요성 11 C.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 교육 12 1. 우리나라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의 생물다양성 교육 12 2.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교육 관련 법령 13 3. 학교 안 교육 13 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13 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16 4. 학교 밖 교육 21 가. 국내 주요 생물다양성 교육 기관 21 D. 선행연구 고찰 28 1.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물다양성 교육 연구 28 2. 생물다양성 관련 교육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연구 29 Ⅲ. 연구방법 및 절차 31 A. 연구대상 31 1.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31 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교육 프로그램 32 B. 연구절차 34 C. 분석방법 35 1.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35 2.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교육 프로그램 35 Ⅳ. 연구결과 42 A.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42 1. 생물다양성 관련 내용요소와 학습요소 비교분석 43 2. 생물다양성 관련 성취기준 비교분석 49 B.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의 교육 비교분석 53 Ⅴ. 결론 및 제언 60 A. 결론 60 B. 제언 62 참고문헌 64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55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생물다양성협약 이행을 위한 학교 안 교육과 학교 밖 교육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nalysis of Education in and out of School to Implement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 Focused on Content Analysis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a Case Study of National Marine Biodiversity Institute of Korea-
dc.creator.othernameLee, NANYOUNG-
dc.format.pagevi, 6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