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박숙희-
dc.creator박숙희-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51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5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6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67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103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rating 3, 4, and 5 mild beneficiaries using in-home service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nd the properties of upgraders whose ratings were ungraded among these by dividing them into mild upgraders and severe upgrader and in providing basic data on the improvement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in order to satisfy the usage needs of mild beneficiaries in the local community, by examining factors affecting the rating upgrading of mild recipients using in-home service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e upgrading in the rating upgrading. To this end, of 404,599 mild beneficiaries with rating 3, 4, and 5, we selected 174,026 people utilizing in-home services, whose ratings were maintained or upgraded in 2017 after being first rated in 2016 or receiving a qualification survey to renew ratings, as subjects. In order to apprehe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s between rating-maintained persons and rating-upgraded ones among the entire subjects, mild upgraders and severe ones among rating-upgraded subjects and to perform a comparative assay on them, we conducted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 test, and Wilcoxon rank sum test;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rating upgrading of mild recipient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e upgrading in the rating upgrading, Logistic regression for each rating was performed for subgroup analysis on the entire subjects and their rati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ender, age, disability, and residential area in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several ratings as the factors affecting the rating upgrading and severe upgrading. In terms of disease factors, dementia and cancer positively (+) affected the rating upgrading; stroke, cancer, and dementia and fracture in some rating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ever upgrading. In the case of service usage, it was found that all services of home-visiting care, home-visiting bathing, and day and night care positively (+) influenced both rating upgrading and severe upgrading as the number of used days was less. In terms of usage of welfare medical device, it suggested that as the rating was higher, the possibility would also increase on the rating upgrading and severe upgrading of welfare medical device users. In the case of care-provider factors, if the main caregiver existed, it positively (+) influenced the rating upgrading and severe upgrading. The policy implications proposed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plan should be prepared to help the long-term care mild beneficiaries to continuously use in-home services. For beneficiaries who do not use all of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grade level,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identify the cause and actively use the service. Second,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monitor the beneficiaries who have diseases, such as stroke, dementia, fracture, cancer, etc. It is needed to develop and adjust in-home service benefits such as the linkage of timely medical use and medical treatment that can prevent disease exacerb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holding illnesses, education and counseling related to taking medicines, strengthening the part-time doctor system, etc.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ocial recognition and support system for the main caregiver who cares for the beneficiaries using in-home services. It should be positively reviewed to introduce the family support counseling and so on, which could reduce the caring burden of the family, by providing the technique to care for the beneficiaries, emotional support, break time, etc. after mental health counselors, professionals, or the like visit the beneficiary’s home to examine the support conditions or needs.;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를 이용하는 3등급, 4등급, 5등급경증수급자의 특성과 이들 중 등급이 상향된 등급상향자의 특성을 경증상향자와 중증상향자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재가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증대상자의 등급상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등급상향 중 중증상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내에서 경증수급자의 이용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향후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3등급, 4등급, 5등급 경증수급자 404,599명 중 2016년에 최초로 등급판정을 받았거나 등급갱신을 위해 인정조사를 받고 2017년에 등급이 유지되거나 상향된 재가서비스 이용자 174,026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의 등급유지자와 등급상향자 간, 등급상향자 대상에서 경증상향자와 중증상향자 간의 일반적인 특성 및 분포 파악과 비교 검정을 위해 기술통계 분석과 Chi-Square 검정, Wilcoxon rank sum tes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경증수급자의 등급상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등급상향 중 중증상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대상자 전체와 등급에 대한 하위집단 분석을 위하여 각각의 등급별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 성, 연령, 장애, 거주지역은 등급상향과 중증상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일부 등급에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질병요인에서는 등급상향 영향요인으로 치매와 암이 정적(+) 영향이었으며, 중증상향 영향요인으로 중풍·암, 일부 등급에서 치매·골절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서비스 이용에서는 방문요양, 방문목욕, 주야간보호 서비스 모두 이용일수가 적을수록 등급상향과 중증상향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지용구이용은 등급이 높을수록 복지용구 이용자의 등급상향과 중증상향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케어제공자 요인에서는 주수발자가 있는 경우 등급상향과 중증상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장기요양 경증수급자가 재가서비스 이용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등급판정을 받고도 등급별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전부 이용하지 않는 수급자에 대해서는 원인을 파악하여 적극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중풍·치매·골절·암 등 질병을 보유하고 있는 수급자에 대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질병보유 수준에 따라 질병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적기 의료이용과 요양의 연계, 약물복용 관련 교육 및 상담, 촉탁의제도 강화 등 재가서비스 급여의 개발 및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재가서비스이용 수급자를 케어하는 주수발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과 지원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정신건강상담원 등 전문요원 등이 수급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부양상황이나 욕구 등을 파악하고 수급자를 돌보는 기술, 정서적 지지, 휴식시간 제공 등 가족의 돌봄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족지원 상담 제공 등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A.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등급판정 및 유효기간 4 B.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급여 7 C.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 Ⅲ. 연구방법 A. 연구모형 18 B. 연구문제 19 C. 연구대상 19 D. 자료 수집 22 E. 변수의 측정 22 F. 자료 분석방법 27 Ⅳ. 연구결과 A. 연구대상자의 특성 29 B. 경증수급자의 등급상향 영향요인 분석 48 C. 등급상향자의 특성 52 D. 등급상향자의 중증상향 영향요인 분석 66 Ⅴ. 결론 및 제언 A. 연구결과 요약 70 B. 결론 및 제언 75 참고문헌 78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60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증수급자의 등급상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Factors Affecting the Level Improvement of Mild beneficiaries using In-home Service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dc.creator.othernamePark, Sookhee-
dc.format.pagevi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