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37 Download: 0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을 위한 통합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Title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을 위한 통합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tegrated Program of Mentally Disordered in the Community
Authors
김국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상미
Abstract
정신장애인은 인지적·사회적 기능의 손상이 크고, 잦은 재발과 입원을 반복하면서 만성화로 인하여 가족에게 부담이 되며, 적절한 치료와 재활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낮은 경제활동 참여와 사회적응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지역사회로부터 고립된다. 2017년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이 개정 시행되면서 탈원화와 지역사회 통합을 추구하고 있으나, 양적·질적 서비스의 부족으로 적절한 치료와 재활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퇴원한 정신장애인들이 다시 재입원을 반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사회인지기능 사회기술 및 문제상황대처능력과 같은 사회기능, 그리고 정서기능이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여,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력 향상을 목적으로 사회인지, 사회기술, 정서관리를 포함한 문제상황대처, 마음챙김의 네 가지 프로그램을 통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지역사회의 N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회원 8명의 단일집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합프로그램 시행 전, 시행 후, 그리고 종료 3개월 후에 추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사회적응력 척도, 사회적문제해결 척도, 내외통제성 척도, 그리고 마음챙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인지 프로그램, 사회기술훈련, 정서관리를 포함한 문제상황대처훈련 및 마음챙김 프로그램을 총 23회기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23.0을 이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은 비모수 통계 기법 중 하나인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사전・사후・추후검사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Friedman 검정과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합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사회적응력,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그리고 내외통제성은 프로그램 참여 후에 향상되었으며, 추후검사에서 그 정도가 더욱 향상되었다. 마음챙김 수준은 프로그램 참여 후에 점수 향상은 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추후점수는 더욱 향상되어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회인지-사회기능-정서기능에 통합적으로 개입하는 통합프로그램은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력과 사회적 문제해결력을 포함하여 내외통제성 및 마음챙김을 높이는 데 영향을 주어,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와 사회적응을 돕고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entally disordered have large deficits in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 and suffer from frequent relapses and hospitalization, resulting in the illness becoming long term and giving financial as well as emotional stress to their families. If appropriat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does not occur, they will have low participation in the workforce, have a difficult time adjusting socially, and end up in isolation from society. Since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the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in 2017, there has been efforts at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tegration of the mentally disordered with regional society. However, those efforts have fallen short without the proper quantity or quality of services. Without appropriat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he mentally disordered who have been discharged are continuing to be readmitted into institutions. It is theorized that social function such as social cognition, social skills, coping ability in situations, and emo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social adjustment. Thus four integrated programs were developed, namely social cognition, social skills, coping ability in situations including emotion management, and mindfulness, to increase social adjust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program was then measured. The measuring tools include the Social Adjustment Scale(SAS),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SPSI),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 and Mindfulness Scale. The integrated program was implemented a total of 23 times. Analysis was done with IBM SPSS V23.0,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which is a form of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fter, and follow-up of implementation, the Friedman Test and repeated measured ANOVA was us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fter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program, the social adjustment,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and the internal control level of the participants increased, and it increased further at follow up. There was an increase in Mindfulness level after the mindfulness program, but it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he Mindfulness level increased at follow up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egrated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ocial adjustment for the mentally disordered. The integrated program brought about an increase in social adjustment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internal control level, and mindfulness level. It will help the rehabilitation and social adjustment of the mentally disordered, so that they can be healthy members of regional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