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5 Download: 0

한·중 신조어 비교를 활용한 한국 문화교육 방안 연구

Title
한·중 신조어 비교를 활용한 한국 문화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the Comparison of Newly-coined Words in Korean and Chinese : Focusing on Newly-coined Words in 2015
Authors
XIONG, WANLIN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중·고급 단계의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조어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중 신조어를 유형별로 문화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중국인 학습자들이 신조어 교육에 대한 인식 실태 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용 신조어 목록을 선정하여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의 대상 및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한중 선행 연구에 나타난 신조어의 개념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신조어 개념을 정의하였다. 신조어란 ‘새롭게 창작된 어휘나 기존 어휘 의미에 새로운 의미가 추가된 어휘’라고 정의하였다. 신조어의 특징, 신조어와 유행어의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문화의 개념, 문화와 언어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논의하였다. 교수 방법은 주로 말하기 활동과 통합적 활동으로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먼저 신조어를 경제 영역, 대중문화 영역, 교육 영역, 정치 영역, 생활 영역으로 나누어서 한중 문화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신조어에 반영된 한중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신조어 교육에 관한 인식 실태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신조어 및 신조어 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신조어가 반영된 문화를 학습하려는 요구가 크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교육용 신조어의 선정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사용 빈도’, ‘문화교육의 적합성’, ‘일상생활과의 관련성’, ‘학습자 요구’ 네 가지의 교육용 신조어 선정 기준을 정했다. 이 네 가지 선정 기준을 바탕으로 81개의 교육용 신조어를 선정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에서 논의한 문화교육의 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말하기 활동과 통합적 활동으로 나누어서 구체적인 문화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말하기 활동에서는 주로 찬반토론하기와 토론하고 발표하기가 있다. 통합적 활동은 주로 읽기·말하기 통합 학습과 읽기·쓰기 통합 학습으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각 학습 활동은 신조어 예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각 활동에서 드라마, 영화, 예능프로그램 등 시청각 자료와 신문,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매체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고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신조어가 반영된 한국 현대 문화를 더 깊게 이해하고 더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여 신조어를 문화교육의 도구로 활용해서 학습자에게 더 흥미롭고 효과적인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Korean-culture teaching methods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To achieve this goal, it explo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wly-coined words by type, and analyzes the results of a cognitive survey of newly-coined words for education. Based on this, it provides a list of newly-coined words for education and gives suggestions on Korean-culture education methods. Chapter I specifi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introduces the subject and methods of this study. In chapter II, the definition of newly-coined words in literature is reviewed. The newly-coined words are described as ‘the new vocabulary or the vocabulary adding new mea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coined word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ewly-coined words and the buzzwords are discussed. In addition, this chapter discusses the definition of cul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language, as well a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ultural education. Teaching methods are mainly classified into speaking activities and integrated activities. In chapter III,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cultures reflected in the newly-coined words are summarized. The coined words are classified into the economic area, popular culture area, education area, political area, and living area. A cognitive survey of the newly-coined words for education i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Chinese learners lack the awareness of the newly-coined words and the culture reflected in them, and there is a great demand in this fiel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cultures, and the results of the cognitive survey targeting Chinese leaners, this study sets the selection standards of newly-coined words for education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Suitability of cultural education’, ‘Relation to everyday life’, and ‘needs of learners’. Based on these selection standards, 81 newly-coined words for education are selected. Chapter IV proposes concrete cultural education methods which are divided into speaking activities and integrated activities based on the method of cultural education discussed in chapter II. The speaking activities mainly involve debate and presentation. The integrated activities are mainly divided into reading-speaking integrated learning and reading-writing integrated learning. The learning activities are explained by using the newly-coined words as an example and each of the activities uses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drama, movie, entertainment program, etc. and media learning materials such as newspapers, SNS (Social Network Service), etc. It is hoped that 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can learn Korean culture more effectively and communicate in the Korean language more efficiently. Based on this aim, this study suggests using newly-coined word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which will make the study process more interesting. [Keywords] Newly-coined words, Comparison, 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and Chinese cultures, Vocabul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