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54 Download: 0

청년 1인가구를 위한 코하우징 공용공간 디자인 연구

Title
청년 1인가구를 위한 코하우징 공용공간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mon Space Design of Co-housing for the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Authors
이혜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공간·조명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연정
Abstract
According to the Statistics Korea (Oct. 2017), the number of One person household in Korea has exceeded 5.6 million households, accounting for 28.7% of all households. In 1990, it increased more than three times from 9% in 25 years, becoming the most common type of furniture. This includes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but generations that are rapidly advancing this growth can be considered economically unstable Young Generation in their 20s and 30s. Young people come to the city to study or to find jobs. The problems of economic poverty and poor quality of housing, disconnection of social communication and individualism have been deepened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in rescuing a house and living a life. In this study, the interest and need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re increasing, and the possibility of possible Co-housing spaces was noted, with the solution of the uniform housing type and the alternative to poor living conditions of young people's homes divided into private and common space. Therefore, we propose a planning method of Co-housing common space for the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reflecting the diverse needs of young people.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Chapter Ⅰ.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the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were described. Chapter Ⅱ. The statu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and the development background of Co-housing were revealed and the necessity of Co-housing common space was suggested. Chapter Ⅲ. A case study on the common space of Co-housing in Korea. The purpose of the review was to reveal design trends, methods of expression, and considerations in the study of common space of Co-housing design.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developed a basic framework of space planning and space programming of research, and also showed the importance of common space in Co-housing. Chapter Ⅳ.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the design model of Co-housing common space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was presented. Lastly, Chapter Ⅴ describe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e problem of young people's residence, the Co-housing common space is important to create a voluntary and selective community through a community life and to activate social contact by applying expressive method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ccessibility, Interactivity and Affordance.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common space that forms the community can be derived as follows. Accessibility controlled the visual openness and induced the user's access to the lower layers of public space and the layout of the entry space considering its relationship with the periphery. Interactivity was made up of a network-type circulation system that could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residents and a multi-purpose spatial configuration that c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Affordance created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by planning the program configuration and scale to support various residential services, as well as terrace and Sunken Garden. By forming a communit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was enhanced. This study recognized the problem of youth housing, presented the common space of Co-housing, which is a form of housing that is respected for privacy as an alternative and enables a community life among residents. There is a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finding direction of Co-housing common space design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on space that forms the community.;최근 통계청(2017.10월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28.7%로 560만 가구를 넘어섰다. 1990년 9%에서 25년 만에 3배 이상 늘어나 가장 보편적인 가구형태가 된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독거노인이나 중장년층도 포함되지만, 이 증가세를 급격히 앞당기고 있는 세대는 아직 경제적으로 안정되지 못한 20-30대 청년세대라 할 수 있다. 청년들은 학업을 위해 또는 일자리를 찾기 위해 도심으로 몰려든다. 이들은 집을 구하고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그로인한 주거 빈곤과 질적 저하, 사회적으로 소통의 단절, 개인주의 등 문제가 심화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년 1인가구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획일적인 주택유형과 열악한 주거환경의 청년주택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으로서 개인공간과 공용공간이 분리되어 선택적∙자발적인 커뮤니티가 가능한 코하우징 공용공간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국내사례를 통한 코하우징 공용공간의 계획방향을 모색하고 청년들의 다양한 니즈를 반영한 청년 1인가구를 위한 코하우징 공용공간의 계획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목표로 본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 되었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준거가 되는 청년 1인가구의 현황과 코하우징의 발달 배경을 밝히고 코하우징 공용공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국내 코하우징 공용공간 사례를 조사하였다. 코하우징 공용공간을 검토하여 디자인 경향과 표현방법, 디자인 연구 시 고려할 사항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배치계획과 공간프로그래밍의 기본 틀을 마련하였고 코하우징에서의 공용공간의 중요성을 밝혔다. Ⅳ장에서는 사례조사 연구된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컨셉을 도출, 디자인경향과 표현방법을 적용한 청년 1인가구를 위한 코하우징 공용공간을 디자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론과 의의를 서술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년주거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서 코하우징 공용공간은 공동체적 삶을 통해 자발적∙선택적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접근성, 상호작용성, 지원성의 특성에 의한 표현방법을 적용하여 사회적 접촉을 활성화시키는 디자인 계획이 중요하다. 공동체를 형성하는 공용공간의 표현방법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접근성은 주변과의 관계를 고려한 공용공간의 저층부 배치와 진입 공간의 배치는 시각적 개방성을 조절하고 이용자의 접근을 유도하였다. 상호작용성은 거주자들 간의 교류 및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네트워크형 동선체계와 이용자들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가변형 공간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지원성은 다양한 주거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구성 및 규모와 테라스, 작은 마당, 썬큰가든 등을 계획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였다. 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거주자 간의 상호 관계성을 증진시켰다. 본 연구는 청년주거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 대안으로 프라이버시를 존중받으며 거주자간의 공동체적 삶을 가능하게 하는 주거형태인 코하우징 개념의 공용공간을 제시하였다. 공동체를 형성하는 공용공간의 특성을 적용하여 청년 1인가구를 위한 코하우징 공용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모색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공간·조명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