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조우리-
dc.creator조우리-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45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45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3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39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101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연구를 통해 만 1세 학급에서 실내 신체활동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찾아 이를 실행하고, 실행과정을 통해 영아와 교사의 변화 및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1세 학급에서 실내 신체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1세 학급에서 실내 신체활동 활성화 방안에 따른 영아와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직장보육시설인 사랑어린이집 만 1세 학급에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소망반 영아 8명과 담임교사 2명, 보조교사 1명이다. 연구기간은 2019년 2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이다. 만 1세 영아 학급에서 실내 신체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연구자는 영아반 담임을 하며 진행했던 신체활동의 문제점과 작년도 만 1세 소망반의 신체활동을 점검하였다. 또 3월 한 달간의 신체활동을 관찰함으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하였으며 연구는 만 1세 학급의 실내 신체활동에 대한 문제점 인식 및 해결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최종 평가 순으로 실시되었다. 이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고자 신체활동시간에 영아 및 교사의 행동을 녹화하고 전사하였다. 또 현장 약기를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보육계획안, 사진, 동료교사와의 면담,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1세 학급의 실내 신체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기존의 신체활동에서 신체기구와 소도구를 다양하게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 신체활동이 구체적으로 계획-실행-평가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또한 시간을 충분하게 제공해야하며 신체활동을 위해 안전하고 넓은 공간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구 제공하기, 구체적인 신체활동을 계획-실행-평가하기, 신체활동 시간 조정하기, 신체활동을 위한 공간 마련하기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1차 실행방안으로 영아들의 흥미와 발달, 기구의 성질에 따라 추가하거나 교체하였다. 또 신체활동계획안을 작성함으로 신체활동을 구체적으로 계획-실행-평가하였고 신체활동의 시간을 추가로 제공하였다. 신체활동의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놀이터에 기본적으로 비치되어있던 기구를 제거하거나 추가해주었고 기타용도의 공간을 신체활동의 공간으로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1차 실행의 결과, 교사가 제공하는 기구가 점차 영아의 흥미를 벗어나기 시작하는 문제점을 발견하였고 신체활동을 통해 다양한 기본운동기술을 경험하도록 할 필요성, 개별 영아를 지원하는 상호작용을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2차 실행에서는 기구를 통해 신체활동 연계. 확장하기, 기본운동기술을 중심으로 신체활동 경험하기, 개별 영아를 지원하는 상호작용하기 지원이 이루어졌다. 둘째, 만 1세 학급의 실내 신체활동의 활성화 방안에 따라 영아가 신체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증가하였다. 기구를 탐색하는 능력이 증진하였으며 신체를 움직여 표현하는 능력이 증진되는 반응을 보였다. 교사는 영아의 흥미와 발달에 따른 기구 제공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되었고 신체활동에 대한 교수 효능감이 신장되었다. 본 연구는 만 1세 학급의 실내 신체활동의 활성화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영아의 흥미와 발달에 따라 다양한 기구를 교체, 추가하며 영아들의 신체활동을 지원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에게 신체활동을 계획-실행-평가하는 데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not only seek and execute measures for activating an indoor physical activity in the one-year-old class, but also examine changes and responses of both young children and teachers through execution process. To achieve such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What measures are available to activate an indoor physical activity in the one-year-old class? 2. What are the response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according to the activation measures for indoor physical activity in the one-year-old clas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one-year-old class at Sarang Day Care Center, a workplace childcare facility in Seoul; 8 young children in Somang Class, two homeroom teachers, and one assistant teacher were selected for participant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1 to May 30, 2019. The researcher was in charge of the one-year-old class to activate an indoor physical activity in the one-year-old class, examining the problems of indoor physical activity proceeded and the one-year-old class’s physical activity of last year. Also, upon examination of physical activity for the entire month of March, we figured out what the problems were.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seek problem-solving measur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of problem recognition and search for problem-solving measures, first execution, first execution assessment, second execution, second execution assessment, and final assessment with regard to the indoor physical activity in the one-year-old. To examine the consequences thereof,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during physical activity time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filed jottings taken, and a daycare plan, photographs, interviews with fellow teachers, and researcher’s reflective journal, etc.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have been summarized as below. First, this research allowed the activation measures for indoor physical activity in the one-year-old class to be prepared and executed. The researcher perceived that during the existing physical activity, various physical equipment and small tools should be provided, and that physical activity should be planned, executed, and assessed in a specific way –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provision of enough time and wide-open safe space for physical activity. Based upon such problem recognition, problem-solving measures (i.e. provision of diverse physical tools, planning-execution-assessment of specific physical activity, adjustment of physical activity time, and arrangement of space for physical activity) were sought. Measures for the first execution were added or replaced according to interest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equipment properties The specific planning-execution-assessment over physical activity was done by drawing up a physical activity plan, and an extra physical activity time was added. To support a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 the existing equipment or tools in the playground were removed or other equipment were added. Also a space for other purpose was permitted to young children for physical activity. The result of the first execution showed that young children started to lose interest in equipment or tools offered by teachers, and that they needed to experience diverse exercise skills through physical activity, and also that interaction with each child was necessary. Thus, in the second execution, each child was allowed to do physical activity through equipment or tools, experience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 basic exercise skills, and have an interaction. Second, following the activation measures for the indoor physical activity in the one-year-old class,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 out of their own free will increased; Their abilities to search for equipment or tools and to express their body improved. Teachers had a new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providing equipment or tools for physical activity by interest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their teaching efficacy on physical activity increased.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that it not only questioned the need to seek activation measures for an indoor physical activity in the one-year-old class, but also supported physical activity of young children by replacing or adding various equipment or tools by interest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e hope this research would provide teachers specific information in the planning, execution, and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be instrumental in managing it effe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연구자 배경 3 Ⅱ. 이론적 배경 6 A. 영아기 발달적 특징 6 B. 영아기 신체활동 8 C. 영아기 신체활동을 위한 지원 12 Ⅲ. 연구방법 18 A. 실행연구 18 B. 연구대상 18 C. 연구절차 23 D. 자료 수집 및 분석 27 Ⅳ. 연구결과 29 A. 만 1세 학급의 실내 신체활동 활성화 방안 29 B. 만 1세 학급의 실내 신체활동 활성화 방안에 따른 영아와 교사의 반응 67 Ⅴ. 논의 및 결론 77 A. 논의 83 B. 결론 및 제언 83 참고문헌 86 부록 90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38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만 1세 학급의 실내 신체활동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ction Research on Indoor Physical activity in classes for 1-year-old Children-
dc.creator.othernameJo, Woori-
dc.format.pagev,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