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7 Download: 0

한국어 교원의 역량 모형 개발

Title
한국어 교원의 역량 모형 개발
Other Titles
A Study on Competency Modeling for Korean Language Teacher
Authors
한송이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재삼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교원의 역량 모형을 개발하여 현재 한국어 교원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이를 위해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역량이 우수한 한국어 교원은 어떤 전형적인 행동을 하는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원의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한국어 교원이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셋째, 우수한 한국어 교원에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행동은 무엇인가? 넷째, 한국어 교원의 역량 모형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외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활약하는 현직 한국어 교원을 전문가 패널로 모집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전문가의 의견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는 질적 방법인 델파이 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전문가 패널로 모집된 3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델파이 조사에 앞서 한국어 교원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예비조사 단계로 일대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인 일대일 인터뷰에서는 1인당 평균 60분 동안 유선으로 현재 한국어 교원의 역할과 역량이 무엇인지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덧붙여 향후 더 중요해지리라고 생각하는 한국어 교원의 역할과 역량은 무엇인지도 질의응답을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전문가 패널은 현재 한국어 교원의 역할과 역량에 관해서는 약 23개의 항목을 응답하였으며, 향후 더 중요해질 한국어 교원의 역할과 역량에 관해서는 15개 가량의 항목을 응답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모두 기록하였고, 기록한 내용을 바탕으로 내용을 분석하고 유목화하여 1차 델파이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예비조사 단계를 통해 설정한 한국어 교원의 역할 구분과 정의에 대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지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수업 준비 역할은 적절성에 대해 평균 4.17, 표준편차 0.87을 기록했다. 두 번째 역할로 정리되었던 수업 운영 및 관리 역할은 적절성에 대해 평균 4.30, 표준편차 0.70을 기록하였으며, 세 번째 역할인 학습자 지도 역할의 경우에는 평균 3.70와 표준편차 1.08을 기록하였다. 응답자 간 응답 일치도는 모두 0.5 이하로 나타났지만, 조사에 대한 신뢰도가 0.419로 낮게 나타나 추가 라운드를 실시하기로 결정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원이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으로 각각 5~7개씩 개방형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제시한 결과, 총 14개의 역량이 도출되었다, 2차 조사에서는 수정된 한국어 교원의 역할에 대한 적절성을 재평가하고, 도출된 14개의 역량에 대하여 적절성을 평가한 후 우수한 한국어 교원의 전형적인 행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차 조사를 통해 수집된 의견을 바탕으로 자연스러운 서술을 위해 수업 준비 역할의 정의 일부를 수정하였는데, 이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한 결과 평균 4.35, 표준편차 0.49로 양호한 값을 기록하였다. 수업 운영 및 관리 역할은 별다른 수정 및 보완 사항이 없었고, 역할의 정의를 그대로 유지하여 적절성을 재평가한 결과 평균 4.43, 표준편차 0.50을 기록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균값이 4.0 미만이고, 표준편차가 1.0을 초과하여 대대적인 수정이 필요했던 학습자 지도 역할은 내용을 수업 활동에 관련된 사항으로 전면 수정하여 적절성을 재평가한 결과 평균 4.26, 표준편차 0.62가 도출되었다. 수정된 역할 정의에 대한 적절성 평가 결과는 신뢰도가 0.621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양호하였으며, 안정도 역시 0.5 이하를 기록하여 더 이상 역할의 정의에 대해서는 추가 라운드를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또한, 1차를 통해 도출된 한국어 교원의 역량 14개에 대해 적절성을 평가한 결과, 자가점검 역량이 평균값 3.87, 표준편차가 0.87로 나타났고, 기획 및 행정 처리 역량은 평균값 3.61, 표준편차 1.16로 나타나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였다. 덧붙여 역량별로 수정 및 보완 의견이 있을 경우에는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더니 일부 역량에 대해 의견이 개진되어 검토 후 피드백을 진행하였다, 또한, 각 역량이 우수한 한국어 교원에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행동에 대해서는 주관식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제시한 결과 총 84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마지막 3차 조사에서는 수정된 역량에 대하여 적절성을 재평가하고, 우수한 한국어 교원의 전형적인 행동에 대해 적절성을 평가하였으며, 각 역량별로 중요도에 대한 설문조사도 실시하였다. 수정된 역량에 대한 적절성 평가는 응답자 간 응답 일치도가 높게 나타나 안정도가 확보된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신뢰도는 0.947로 높게 나타났다. 우수한 한국어 교원의 전형적인 행동에 대해서도 변이계수가 0.5 이 하로 응답자 간 응답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고, 전체 신뢰도가 0.987로 높게 나타나서 추가 라운드는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3차 조사에서 개진된 전문가 패널의 수정 및 보완 의견을 일부 반영하여 피드백을 진행하고, 한국어 교육 관련 전문가의 자문을 거친 결과 한국어 교원의 역량 모형으로 3개의 역할과 15개의 역량, 85개의 전형적인 행동을 구성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어 교원의 역량 모형은 이전 국내 문헌에서는 발견된 바가 없는 한국어 교원의 역량 모형이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 전문가의 합의를 바탕으로 하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해 현직 한국어 교원이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역할과 이를 위해 필요한 역량에 대해 합의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 또한, 역량 모형의 내용에서도 우수한 한국어 교원에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행동 항목은 행동적 용어로 서술하였기 때문에 한국어 교원의 선발과 교육훈련, 그리고 평가 등에 쉽게 활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o clarify the roles that Korean teachers hav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what competencies are needed for them.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from this point of view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ol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competencies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need to perfome their roles well? Third, What are the typical behaviors of superior Korean language teachers? Fourth, How can the competency model of Korean language teachers be utilized?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I recruited the currently works as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are both at home and abroad, as expert panel. As a research method, the Delphi survey, which is a qualitative method for predicting the future through expert opinions, was used. Prior to the Delphi survey, one - on - 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reliminary survey to collect basic data on the role and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one-on-one interview, which is a preliminary survey, the questionnaire responded to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acher in an average of 60 minutes per person. In addition, they answered about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hich will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the expert panel answered about 23 items about current roles and competenci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about 15 items for the future. All the interviews were written and organized at the same time, and utilized as basic data to design the first surve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hree roles, 15 competencies, and 85 typical behaviors as the competency model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was the first consensus on the role of current Korean language teachers using the Delphi technique based on consensus of experts and the competence required for them. The typical behavioral items appearing in superior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described in behavioral terms, so they can be easily used for recruit, education & training, and appraisal of Korean language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