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4 Download: 0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영화 활용 현대소설교육 방안 연구

Title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영화 활용 현대소설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ontemporary Korean Novels Using Adapted Films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Focusing on and
Authors
CHEN, PAN XIAO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각색 영화를 활용한 현대소설 교수-학습 방안의 모색을 그 목적으로 한다. 각색영화를 활용한 한국 현대소설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어교육에서의 고급 학습자가 언어, 문화뿐만 아니라 소설에 대한 감상 능력까지 갖추는 데 목표를 둔다. Ⅰ장에서는 우선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교육에서의 소설 활용에 대한 기존 연구와 현대소설교육에서의 영상 매체를 활용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연구에 참고할 만한 자료를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한국어 소설교육의 필요성 및 목표에 관련된 이론을 검토하였다. 또한 영화가 소설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는 근거인 ‘서사이론’과 소설 수업에서 영화 활용의 교육적 의의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학습자들에게 어떤 소설 작품을 교육제재로 활용할 것인지와 관련하여 작품 선정을 위해 외국어로서의 문학교육 선정 기준과 한국어교육에서 소설 작품의 선정 기준을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영화를 활용한 소설 작품의 구체적인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영화화된 소설 목록을 도출하기 위하여 두 개의 기초 자료 분석을 하였다. 우선 기존 한국어 교재 내 현대소설의 수록 현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한국 고등학교 국어 및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소설 목록을 검토하였다. 기초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Ⅱ장에서 제시한 선정 기준에 따라 교육제재로 활용하기 적절한 영화화된 소설 목록을 제시하였다. 영화화된 소설 목록 중에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과 『두근두근 내 인생』을 표본으로 선정했다. 선정된 원작소설과 각색영화를 이야기 측면과 담론 측면에서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비교·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소설교육 방안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영화 활용 소설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세분적인 목표와 학습 방안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영화를 활용한 소설 수업 모형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수 방법을 마련하는 데 있어 ‘준비·동기 단계-실제 수업 활동 단계-심화 학습 활동 단계’로 나누어 살피고, 다양한 학습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능동성과 흥미를 촉발시켜 언어·문화·문학교육이 통합되는 수업으로 진행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과 소설 『두근두근 내 인생』을 실제 제재로 활용한 수업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영화를 활용한 한국 현대소설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관점 하에 출발하여, 언어·문화·문학의 통합적인 목표에 이르는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 방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교육 효과를 도출하지 못한 부분은 본 논문의 한계라 할 수 있다. 각색영화를 활용한 한국 현대소설교육이 활성화되고, 향후 더욱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ontemporary Korean novels using adapted films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In doing so, this study ultimately aimed to improve their ability to appreciate not only language and culture but also novels. In Chapter I, we identified the necessity and goal of the study, and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use of nove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video media usage in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which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and provided references. In Chapter II, we reviewed the theories on the needs and objectives of Korean novel education and examined the narrative theory, which is the rationale for the utilization of films in novel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films in novel class. Also, criteria for selection of novels for learners, selection of literary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selection of nove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organized, and the specific selection criteria of novels using films were suggested. In Chapter Ⅲ, we analyzed two basic materials to derive a list of adapted novels. First, the current list of contemporary novels in the existing Korean textbooks and the lists of contemporary novels in Korean high school Korean language and literary textbooks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reviewed.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 selection criterion in Chapter II, a list of novels suitable for educational materials was presented. Among these, and were chosen as examples. The chosen original novels and adapted films were compared in terms of narratives and discourses. In Chapter Ⅳ, we presented specific novel education methods in a basis of the comparison in Chapter III; the orientation of novel education using films as well as the detailed goals and learning plans were specified. Moreover, novel class model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using films were examined. The methods that were staged into ‘preparation and motivation activities - actual class activities - deepening learning activities’ enhanced learners’ activeness and interest throug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and thus developed integrated learning of language, culture, and literature. Finally, the concrete class plans with the example novels of and were propo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egrated methods of language, culture, and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that Korean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using films can be effectively conducted.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not yet applied to an actual class to produce educational effectiveness. It is hoped that various discussions on Korean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using films continue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