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9 Download: 0

초급 한국어 교재의 문법 항목 기술을 위한 시각적 자료 개선 방안 연구

Title
초급 한국어 교재의 문법 항목 기술을 위한 시각적 자료 개선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easures for Improvement of Visual Materials to Describe Grammatical Items in Korean Textbooks for Beginners
Authors
CHEN, LIN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인간은 처음 이미지를 통해 세상과 마주한다. 시각은 세상을 접하는 감각적인 통로인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학습의 83%가 ‘시각’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는 시각적 정보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교육에서는 시각적 자료의 중요성을 알고, 교과서(교재), 학습 자료 등에서 시각적 자료를 활용할 것을 권장하였다. 특히, 한국어교육에서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접하는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꾸준히 시각적 자료가 활용되었다. 그중에서도 한국어 문법과 같은 지식 학습에서는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문법의 개념과 의미, 쓰임 등을 교육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초급 교재의 문법 항목 기술을 위한 시각적 자료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 문법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그림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문제점을 범주화하여 효과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먼저, Ⅰ장에서는 한국어 문법교육에서 시각적 자료의 활용 연구, 한국어 교재의 시각적 자료 개선 관련 연구, 한국어 교재의 시각적 요소 분석 연구 등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한국어 초급 교재의 문법 항목 기술을 위한 시각적 자료 개선의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대상과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시각적 자료와 관련된 연구들을 검토하여 한국어 문법 항목 기술을 위한 시각적 자료의 범위와 유형 및 기능을 명확히 하였다. 문법 의미 설명용 시각적 자료로써 갖춰야 할 조건을 파악하고, 의미 설명력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 초급 학습자 30명에게 설문 조사를 하였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 한국어 문법의미 설명용 그림을 학습자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읽는지, 학습자가 선호하는 그림은 어떤 것인지, 그림 구성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달된 문법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Ⅲ장 A절에서는 한국어 초급 교재의 문법 의미 설명용 그림이 문법 의미를 드러내는지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그림으로 의미 구현이 쉬운 보조사와 그림으로 의미 구현이 어려운 격조사 총 4개의 문법 항목을 선별하였다. 또한, 총 8편의 시각적 자료 평가 관련 연구를 검토하여 ‘명확성’, ‘다양성’, ‘연관성’ 3가지의 평가 기준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초급 교재의 문법 항목 의미 설명을 위한 그림이 그림 구성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성 분석틀과 분석 기준을 밝혔다. 그림이 명확성 측면에서 문법의미를 명확하게 드러내는지; 연관성 측면에서 상단 그림은 하단의 말하기 연습 단계와 연결성이 얼마나 드러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명확성과 연관성 점수화 틀 또한 제시하였다. Ⅲ장 B절에서는 다양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밝혔다. 분석 결과, 시각적 자료 유형이 대다수 단일한 그림 자료였으며 대체로 표정은 행복(웃음), 몸짓은 손바닥1 내밀기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그림에 대한 명확성과 연관성 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구축하기 위해 한국 현지 전문 한국어 교사 25명,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 25명에게 그림 평가를 요청하였다. 이를 통해 명확성 측면에서는 5개, 연관성 측면에서는 2개의 개선해야 할 문법 항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 B절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림 형태소와 시각적 자료 유형 다양화 시도를 통해 다양성을 확보하고, 도표의 활용, 그림 내용과 예문 내용의 일치를 통해 문법 항목 기술의 명확성을 높였다. 또한, 명확성 평가에서 3점 이하를 받은 그림들은 새로 디자인하거나 수정하였다. 교재의 문법 제시 부분에서 상단과 하단에 목표 문법을 포함한 구조가 비슷한 예문 등과 같은 시각적 요소를 반복적으로 제시하여 상단 그림과 하단의 문법 연습단계의 연관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연관성 평가에서 3점 이하를 받은 그림들은 새로 디자인하거나 수정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교재의 문법 항목 기술에 있어서 그림 자료가 중요한 학습 자료임을 밝히고, 그림 자료를 다양성, 명확성, 연관성 측면에서 검토하여 문법 의미 학습에 적합한 그림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그림 이해는 학습자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만큼 보편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배경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보편화하는 방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어교육에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시각적 자료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Human beings encounter the world firstly through images. The sight is a sensory path where they contact the world. According to researches, 83% of learning is done by the ‘sight.’ It means visual inform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visual materials, it has been recommended to use visual materials for textbooks(course books) and leaning materials in education. Particularly, in the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visual materials have been used continually to increase interest of learners and efficiency of learning. Among other things, in learning of knowledge like Korean grammar, they have been actively used to teach learners concepts, meanings and uses of grammar. However, in textbooks for beginners, visual materials to describe grammatical items have several problems. This study conducted critical analysis on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the grammatical meaning i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categorizing their problems and preparing effec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Firstly, in ChapterⅠ, the study examined precedent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visual materials for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improvement of visual materials for the Korean textbooks and analysis of visual elements in the Korean textbooks, identified the need for improving visual materials to describe grammatical items i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and described the research subject and methodology. In ChapterⅡ, it reviewed researches on visual materials and clarified the range, types and functions of visual materials for description of Korean grammatical items. A questionnaire was done for 30 beginners in Korean to understand requirements for visual materials to describe the grammatical meaning and ask their opinions about the way to raise the semantic explanatory power. Besides, interviews were done in order to identify how leaners understood illustrations for describing the Korean grammatical meaning, what illustrations they preferred and also if they could understand the grammatical meaning communicated by interaction between illustration components. In Section A, Chapter Ⅲ, for the systematic evaluation about if illustrations for the grammatical meaning i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describe the grammatical meaning, 4 grammatical items were selected including the auxiliary particles easy to embody the meaning by an illustration and case particles which are not easy. In addition, through review of 8 researches on the evaluation of visual materials, 3 kinds of evaluative criteria were selected including the ‘clarity’, ‘diversity’ and the ‘association’. Next, the study examined analytic frameworks and standards for the diversity to analyze i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if illustrations for describing the meaning of a grammatical item are organized in various manners. Frameworks for scoring the clarity and association were also suggested to evaluate if an illustration reveals the grammatical meaning cleary in terms of the clarity and if an illustration above is well connected to speaking practice below in terms of the association. Section B, Chapter Ⅲ shows analytic findings on the diversity. As a result of analysis, majority of visual materials had a single type of illustrations. Happiness(laughter) occupied most of expressions and holding out the palm of the hand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gestures. 25 specialized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25 Chinese advanced learners in korean were asked to evaluate illustrations to establish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clarity and association evaluations for illustrations. Hence, the study identified 5 grammatical items for the clarity and 2 for the association to be improved. In Chapter Ⅳ, the study suggested measures for improvement based on evaluation results from Section B, Chapter Ⅲ. The diversity was established through diversification of illustration components and visual material types and the clarity of the grammatical item description was increased through utilization of tables and agreement between illustration and example. Furthermore, illustrations scored 3 or less in the clarity evaluation were designed newly or corrected. As for the presentation of grammar in the textbook, in order to enhance association between illustration above and grammar practice below, examples that include a target grammar item with a similar structure and visual elements were presented repeatedly on the top and bottom. Besides, illustrations scored 3 or less in the association evaluation were designed newly or correct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out the importance of illustrations in describing the grammatical items of textbooks for beginners in Korean, examined illustrations in terms of the diversity, clarity and the association so developed adequate illustrations for learning the grammatical meaning. However, considering that interpretation of illustrations varies as cultural backgrounds of learner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o generalization since it was conducted for Chinese learners in Korean. Therefore, these research findings are needed to be generalized through studies for various learners. Starting wit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actively conduct research on visual materials for learners with a variety of cultural backgrounds in the Korean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