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2 Download: 0

영화 <프랑켄슈타인(Mary Shelley’s Frankenstein, 1994)>에 나타난 작곡가 패트릭 도일(Patrick Doyle)의 음악적 특징 연구

Title
영화 <프랑켄슈타인(Mary Shelley’s Frankenstein, 1994)>에 나타난 작곡가 패트릭 도일(Patrick Doyle)의 음악적 특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trick Doyle’s musical characteristics in the movie 'Mary Shelley’s Frankenstein, 1994'
Authors
이정화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영상음악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유리
Abstract
본 논문은 고딕 문학을 바탕으로 하는 고전 공포 영화의 서사와 음악적 내러티브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연구이다. 작곡가 패트릭 도일(Patrick Doyle, 1953~)은 고전적인 클래식 음악의 관습을 다양한 측면에서 차용하며 현대적인 감각으로 변용하는 영화음악 작곡을 시도해왔다. 이러한 그의 음악은 연극 무대를 시작으로 오늘날까지 활발한 예술적 교류를 이어오고 있는 영화감독 케네스 브래너(Kenneth Branagh, 1960)와의 협업을 통해 구현되며 영상의 미학적 가치를 높여주었다. 브래너는 주로 셰익스피어의 고전문학 작품들을 각색해오며 원작 텍스트의 풍부한 극적 요소들을 충실히 반영하기 위해 인물 내면에 대한 심도 깊은 고찰로 관객으로 하여금 주관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게 하면서도 방대한 스케일의 시각적인 볼거리를 제공하며 영화적인 흥미를 끌어낸다. 본고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초자연적인 존재를 모티브로 삼는 작가 매리 셸리(Mary Shelley, 1797~1851)의 괴기소설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1818)』을 각색한 고전 공포 영화로 확장시켰다는 점에 주목하여 두 사람의 네 번째 협업작품인 <프랑켄슈타인(Mary Shelley’s Frankenstein, 1994)>에 나타난 패트릭 도일의 음악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영상화된 고딕 문학의 어법과 음악적 내러티브의 밀접한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영화 장르의 정의와 개념적 특징을 파악하였고 영화 음악의 역사를 다룬 머빈 쿠크(Mervyn Cooke)의 저서 『A History of Film Music』을 토대로 고전 공포에 초점을 둔 영화음악의 형성배경을 살펴보았다. 또한 패트릭 도일의 작품세계를 통해 그의 음악 경향과 음악사적 위치를 알아보았고 원작 소설가 매리 셸리의 작품경향과 브래너의 연출의도를 중심으로 영화가 제작이 된 배경을 조사하였다. 본론에서는 영화 <프랑켄슈타인>의 서사구조를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의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줄거리 파악을 수행하였고 이에 따른 음악 큐시트를 작성하여 각 장면의 구체적인 실례를 통해 오리지널 스코어의 구성, 형식,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패트릭 도일은 원작소설의 시대적 배경과 이야기의 구조, 내용을 재현하기 위해서 19세기 바그너 양식의 극음악적인 특징을 계승하여 영화의 오프닝 타이틀 장면에서 음악극 전통의 서곡 형식을 차용하였다. 단조성, 반음계적 선율과 화성, 넓은 도약의 멜로디 라인, 반복되는 음들, 갑작스러운 정지, 다이내믹의 급격한 대비, 저음역의 금관악기를 중심으로 하는 어둡고 중후한 음색의 악기 편성을 바탕으로 두려움과 공포에 관한 영화의 특정한 분위기를 자아내었다. 또한 영화 속 여러 복잡한 사건들에 의한 모든 요소들이 비극으로 점철되는 이야기 속에서 주요 인물들의 감정에 충실한 극적인 심리를 여러 가지 라이트모티프(Leitmotif)를 설정하여 나타내었다. 이는 영화 전반에서 확장, 축소, 전조, 전위 등 다양한 관습적 변형을 통해 특정한 상황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하거나 암시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며 영화의 핵심 주제를 효과적으로 환기시켰다. 더 나아가 고전적인 음악의 관습적인 틀을 유지하면서도 특정한 음색을 구현하는 사운드 이펙트적인 음악의 사용으로 영상의 소리, 이미지, 대사와 즉각적인 동기화를 이루어 영화에 사실성을 부여하며 정서적 경험 혹은 공간적 분위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다채롭게 묘사하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고딕 문학 작품을 배경으로 삼는 고전적 공포 영화에서 구현할 수 있는 관현악적 기법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으며 19세기 바그너 양식의 낭만주의 음악을 계승하는 현대의 작곡가 패트릭 도일의 영화음악이 종합예술작품으로서 문학, 고전 공포 영화의 연출 요소들과 극적 예술의 통합을 조화롭게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arrations of the classical horror movies and their musical narratives. The composer Patrick Doyle (1953~) has attempted to compose the film music by borrowing the custom of the classical music in diverse aspects and thereby, varying it into a contemporary sense. He has cooperated with Kenneth Branagh (1960~), beginning from the theater stage, for the active artistic exchange only to help enhance the aesthetic value of the film. Branagh, who has dramatized Shakespeare’s classical works mostly, reviews characters’ inner side deeper in order to faithfully reflect on the rich dramatic elements of the original texts only to evoke audience’s subjective emotion, while providing for the visual must-sees of vast scale to arouse the film-like interes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two artists developed Mary Shelley’s (1797~1851) grotesque novel ‘Frankenstein (1818) into a classical horror movie, and thereby, discusses Patrick Doyle’s musical characteristics shown up in their 4th joint work ‘Mary Shelley’s Frankenstein (1994). In order to review the close relation between the grammar of the visualized Gothic literature and its musical narratives, this study reviews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the genre ‘movie’, and then, based on the film music historian Mervyn Cooke’s book ‘A History of Film Music’,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film music focused on the classical horror.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s Patrick Doyle’s world of works to examine his music tendency and position in the history of music. Then, this study searches for the background of the film, focusing on the original novelist Mary Shelley’s work tendency and Branagh’s intention of production. Further, this study divid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film ‘Frankenstein’ into 5 parts – beginning, development, crisis, climax and ending – to review the flow of its story, while making music cue sheets to analyze each scene in terms of original score structure, form and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Patrick Doyle inherited the 19th-century Wagner-style drama music attributes in order to represent the historical background, narrativ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original novel, and thereby, borrowed the overture of the musical drama tradition at the opening title scene of the film. The atmospheres of the film or fear and horror were aroused with the diversified apparatuses: minor, chromatic-scale melody and harmony, widely-leaping melody line, repeating sounds, sudden suspension, surprise contrast of dynamics, dark and heavy organization of the instruments centered about the low-pitched brass section instruments, etc. In addition, in the story dotted with all tragic elements due to the various complex events, the major characters' dramatic psychology faithful to their emotions are expressed by setting various Leitmotifs. To this end, certain situations are induced or an implicative messages are delivered in the entire movie to be recognized intuitively through expansion, contraction, change of mood, displacement and other diverse customary transformations, and thereby, the core theme of the film is effectively aroused. Furthermore, a sound-effect music is used to implement a certain tone, while the customary frame of the classical music is maintained, and as a result, the sound and image are instantly synchronized with the lines to make the movie more realistic and allow for the experience of an emotion or a spatial atmosphere. Thus, this study could suggest the diverse possibilities of the orchestral techniques that might well be implemented in the classical horror films. also, Patrick Doyle's film music, which inherits 19th-century Wagner-style romantic music, can harmonize with literature, visual and dramatic a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영상음악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