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9 Download: 0

안무학적 관점에서 무형문화재 승전무의 전승맥락 및 춤의 구조 연구

Title
안무학적 관점에서 무형문화재 승전무의 전승맥락 및 춤의 구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heritance Context and Dance Structure of Seungjeonmu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from a Choreographic Perspective
Authors
김혜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무용공연지도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미
Abstract
본 연구는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된 승전무의 대상인 통영북춤과 통영검무의 전승맥락과 춤의 구조를 안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무형문화재적 가치와 의의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인 바탕위에 탄생한 승전무의 기원에 기반하여 통영북춤과 통영검무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곧 역사의 긴박한 흐름이 춤으로 승화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요소가 작용하고 또 배제되면서 승전무의 형태를 형성했는가를 검토하였다. 안무학적 관점에서 승전무는 몸, 마음 정신을 합한 것을 상징하는 신체의 행동, 즉 움직임을 통해서 임진왜란 당시의 사회 전체가 나타내는 특유한 정신을 담아내기도 했고 시대를 넘어 현재까지 승전무의 문화적 독특성을 전달하기도 했다. 즉, 승전무는 당대의 문화흐름에 순응하거나 한 시대의 이상을 표현했고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독특하고 세련된 창조물로 탄생되는 내적동기를 가지고 있었다. 문화적 맥락에서 승전무는 임진년 침략전쟁 당시의 시대적 상흔과 아픔이 담겨 있다. 승전무는 충무공 이순신이 싸움터와 배위에서 군사들의 사기를 높여주고 승전 후 축하를 하였던 집단 퍼포먼스다. 또한 혼란스러운 전쟁 상황 속에서도 개인과 집단사이의 유대를 강화하고 사회집단의 기본질서를 유지하는 춤이었으며 당시 민중들의 확고한 가치관을 보여주는 춤이었다. 이는 기울어져 가던 조선 왕조의 백성과 조선군사에게 큰 희망이 되었다. 예술적 맥락에서 승전무는 교방청의 기녀가 추던 춤이 지금까지 전승된 경로와 계보가 확실하며, 통영지방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시나위 가락과 향토적 특색이 어우러진 민속춤으로서 가장 한국적이고 아름다운 민족성을 드러내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승전무는 전쟁을 기념하는 춤사위뿐만 아니라 비장함, 장엄함, 역동성 등이 외향적으로 두드러지고, 그 안에 내향적인 애잔함과 여성성의 우아한 멋도 같이 공존하는 특징을 보인다. 움직임의 측면에서 승전무는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성 속에서 매우 직선적이고 힘찬 모습으로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면서도 우아함과 부드러움을 표출하는 춤사위로 이루어졌다. 그것은 한국의 여느 전통춤 중에서도 볼 수 없는 독자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춤의 리듬과 움직임이 여성적이고 섬세하며 우아함으로 형상화된 춤사위를 보여주고 있다. 승전무의 북춤 무용수는 4명의 원무와 12명의 협무가 같이 창사를 부르며 춤을 추었고, 검무 무용수는 4명으로 추어지다가 무형문화재 지정당시 8명으로 변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춤들의 움직임은 배 위나 좁은 공간에서 추어지면서 내향적인 춤사위가 발달하였다. 특히 춤사위 중 겨드랑 사위는 마치 리듬에 맞춰 노를 젓는 모습의 특징을 보인다. 시각적 특징으로는 북춤 4명의 원무의상은 청, 홍, 백, 흑색의 두루마기를 입고 협무 의상에는 옥색두루마기를 입으며 민무늬 북과 빨간 북채를 사용하였다. 검무 의상은 흰 저고리와 붉은 치마를 입으며 검정쾌자와 학모양이 있는 홍띠를 매고 칼목이 돌아가는 형태의 칼을 사용하였다. 또한 청각적 요소로서 음악은 통영삼현육각을 바탕으로 연주되며 염불도드리와 느린타령, 빠른타령으로 빨라지다가 염불도드리와 굿거리로 마무리 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승전무의 독특한 움직임과 관계되는 음악으로서 역동적이고 직선적이며, 여성적이고 섬세한 것을 보여주는 특징을 보였다. 이상에서 나타난 승전무의 문화적, 예술적 전승맥락과 주제, 무용수, 움직임, 시각적, 청각적 요소 등이 조화가 된 춤의 구조는 음악, 무용, 연극, 공예기술 등이 융합된 총체예술로서의 전통성과 역사성 및 희소성을 가진 당대의 문화적 소산이자 문화재로서 큰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승전무는 전통문화의 원형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동시에 전통춤의 기·예능 등의 측면에서 지역적 특성을 가지는 향토성과 민족성 향유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문화재임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승전무 연구는 한국의 다양한 문화 속에 존재하는 독특성과 역사성 및 그 가치를 재발견 및 재인식함으로써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적극적 경험을 고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oth to examine the inheritance context of Seungjeonmu (Victory Dance) from a choreographic perspective, the 21st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consisting of two separate dances, Tongyeong Drum Dance and Tongyeong Sword Dance, and to discuss its intangible cultural value and significance by way of analyzing the aforementioned inheritance context of Seungjeonmu.  To this end, this thesis explores the trend of Tongyeong Drum Dance and Tongyeong Sword Dance by looking at the origin of the Seungjeonmu based upon the political, societal, and religious environment that gave birth to Seungjeonmu.  In other words,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various elements act in the process of sublimating the urgent historical condition into dancing and constitute the form of Victory Dance through the exclusion. From a choreographic point of view, the Victory Dance represented the physical behavior that symbolizes a peculiar spirit originated from the entire societ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hich has also conveyed the cultural distinctiveness of Victory Dance over times. That is to say, Seungjeonmu had internal motives that conformed to the cultural trends of the time, expressed the ideals of an era, and were born with unique and sophisticated creations with clear goals.  Within the cultural context, the Victory Dance portrays the scars and pains during the time of Imjin War (1592-1598).  During the Invasion of Japan, the victory strengthened the ties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maintained the basic quality of the social group, and expressed the values ​​of the people at that time as dance.  It is a historical dance that has strengthened the ties of the groups, maintained the order, and possessed a firm sense of value at that time, in a confused war situation, celebrating after the victory, which served as a tremendous hope for the peoples and soldiers of the Chosun Dynasty in decline. In regards to the movement of Seungjeonmu, it has a unique characteristic in the history of Imjinwaeran in the sense that it expresses the connection of dance movements expressing elegance and tenderness is more peculiar among Korean traditional dances.  Although women's dances are mostly represented by female delicacy and elegance, the whole flow and movement of the war victory are deeply reflected in the meaning of the stylized gesture.  There were 16 dancers in Seungjeonmu, including four Wonmus and twelve Hyeopmus, who sang Changsa and danced together. The four dancers for Sword Dance became eight members when Seungjeonmu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 movement of these dances has been developed as an introverted Choomsayee as danced either on shipboard or in a narrow space. In particular, Gyeodrangsawee is characterized as a motion that imitates rowing in harmony with rhythm. There is also a visual characteristic in Seungjeonmu. The four Wonmus wears Durumagi in blue, red, black, and white, and the dancers of Sword Dance wear the light blue Durumagi and go with the undecorated drum and drum stick in red. The dancers of Sword Dance wear white (Korean style) jacket (for women) and red skirt with a red belt as well as a sword with a movable bolster. Additionally, the music of Seungjeonmu in terms of its audio effect is performed based on Tongyeong three-stringed and six musical instruments with a combination of slow and rapid tempo, starting with Yeombul Dodri and ending with Gutgeori. In other words, since its music is closely linked to the distinct movement of Seungjeonmu, it can be identified with an example that shows the linear, female, and delicate. As this thesis has articulated thus far, the structure of Seungjeonmu, combined not simply with its cultural and artistic inheritance context but with theme, dancers, movement, visual and audio effects, has a high priority, a priority that functions as a cultural by-product and cultural asset with a tradition, historicity, and scarcity in that it can be defined as a total art work integrating music, dance, drama, and craft. In this sense, it can be also conceived that Seungjeonmu as an archetype of traditional culture has a significance; thereby, it is a cultural asset which plays a crucial role in representing locality and enjoying nationality in terms of artistry of traditional dance. Consequently, this thesis argues that a study of Seungjeonmu allows us to further inspire the task of great significance to rediscover and reconsider the unique historicity within our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ultimately to generate both a great attention to and an active experience of our traditional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무용공연지도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