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6 Download: 0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기록물의 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기록물의 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Records of the Coalition for Democratic Reunification and the People’s Movement
Authors
윤혜선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연경
Abstract
1999년 공공기록물 관리법이 제정되고 기록관리가 도입되면서 국내 기록관리는 주로 공공기록 관리 중심으로 이루어져 민간기록물 수집과 관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게 진행되어왔다. 공공영역에서 생산하는 기록만으로는 변화하는 시대의 다양한 사회적 현상, 사건 등을 기록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시민 기록 수집, 공동체 아카이브, 종교 단체 아카이브 등 다양한 아카이빙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고, 민간영역에서 체계적인 기록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민간영역은 중요한 역사 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제도적 미비, 비용 문제 이외에도 다양한 소장처로부터 수집된 본연의 특성 때문에 매뉴스크립트의 맥락을 제대로 구현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1985년에 여러 단체의 연합조직으로서 창립되어 정권에 대항하여 재야의 중심에서 활동하는 등 역사적인 가치가 있지만, 4년이라는 활동 기간동안 기록관리 및 이관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소실 우려가 있는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의 기록물을 분류하여 단체컬렉션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의 컬렉션 구성을 위해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에서 기증자별로 흩어져서 보존하고 있는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의 기록물을 생산자 중심으로 조직하여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 기록 정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사례조사, 기록물 내용 분석 및 재조직, 분류체계 개발,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매뉴스크립트의 개념에 대해 서술한 후 매뉴스크립트의 성격에 대해서 아카이브와 비교 분석하였다. 매뉴스트립트는 아카이브처럼 한 단체(조직)가 조직 내부의 기록물을 다량 수집하여 하나의 컬렉션을 이루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 다양한 생산자의 기록물이 수집되어 있어 기록물의 맥락을 유지하면서 각 기록물을 출처별로 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타기관 사례 조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매뉴스크립트 기록에 적합한 분류 방법론에 대해서 알아보고 현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서 운영하는 디지털 아카이브인 오픈아카이브에서 제시하는 연대별, 사건별 분류체계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서 단체컬렉션 구성의 의의를 밝혔다. 둘째, 민통련이라는 조직의 설립배경, 활동 등을 분석하고, 기록의 생산적 특징인 시기, 유형 등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민통련의 설립 목적, 강령, 활동하던 시대적 상황, 활동 범위 등 역사를 포괄적으로 분석하여, 시기별 주요 사건과 활동 등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록의 생산적 특징인 생산자의 하위분류로 본부/지부, 각 위원회의 활동 등으로 나누었다. 민통련은 본부뿐만 아니라 지역의 활동도 활발했기 때문에 민통련의 서울, 강원, 경기, 경남, 경북지부, 특별위원회 등의 기록 정보를 추가하였다. 또한 시기적 구분은 민통련의 활동을 바탕으로 민통련의 창립과 초창기 활동, 개헌투쟁시기 민통련, 대통령선거 투쟁시기, 민통련의 발전적 해체와 새로운 민중운동연합의 건설 등 총 4개의 활동시기와 창립 이전과 해체 이후, 미상으로 나누었다. 또한 기록물 유형은 일반 문서와 간행물, 단행본으로 나누었고, 간행물은 종류와 발행주체로 세분화하였다. 셋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에 적용되었던 전명혁(2004)의 민주화운동 단체를 바탕으로 나눈 범주를 차용하여 민통련 컬렉션의 주제 분류를 시도하였다. 이 분류 방법은 사료관 소장 기록물을 민주화운동 단체들의 부문운동으로 정치, 노동, 농민, 인권, 통일평화, 시민, 청년, 학생, 문화예술, 교육학술, 종교, 환경, 여성, 보건의료, 언론출판, 연합, 빈민, 국제운동 등 18개 부문으로 범주화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명혁의 범주를 기본으로 하여 민통련의 활동과 크게 연관이 없는 주제영역은 제외하거나 재정의하였고, 추가로 필요한 영역은 새롭게 추가하여 확장하였다. 넷째, ‘민통련 단체컬렉션’의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앞서 분석한 생산자(조직), 생산 시기, 주제, 유형이 포함되어 기록물의 연결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개발한 단체 컬렉션 분류체계에 대한 전문가 평가를 받았다. 학계의 분류 전문가는 기록의 출처에 해당하는 조직 분류는 단체컬렉션을 생성할 때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며, 시기, 주제, 유형 분류 등 다계층기술규칙을 준수하였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주제 전문가는 주제 분류를 확장한 것에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디지털 아카이브에 적용했을 때 효용성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전문가가 지적한 사항인 분류 기호의 복잡성, 시기 구분 수정, 조직의 명칭의 적합성 여부 등을 반영해서 민통련 분류체계를 수정하여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출처의 민통련 생산 기록을 재분류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해당 기록으로의 접근과 활용이 용이한 분류체계 개발을 통해 민통련 자료의 검색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단체컬렉션은 단체의 활동과 구체적인 내용 등을 포함하는 기록에 포괄적으로 접근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렇게 새로운 분류체계의 구성을 통한 적용은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해당 컬렉션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고 관련 기록물로 안내하여 적극적인 기록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매뉴스크립트 생산자에 따른 분류 및 적용에 따른 단체컬렉션 구성은 보존기록에서 기록 분류를 통한 다양한 컬렉션 구성에 대한 하나의 사례로서 기본 구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Records management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with the enactment of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in 1999. Since then, records management has focused largely on public records in the nation with a relatively low progress in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private records. There are limitations with recordings of various social phenomena and events in an ever changing society with records only generated in the public sector. Demand for diverse archives, including citizens' records, community archives, and archives of religious groups, has grown in recent years with an emphasis on systematic records management in the private sector. In this context, the private sector is making an effort to create an active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important historical records, but it is not easy to embody the contexts of manuscripts correctly and manage them systematically due to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s from various places in addition to the institutional defects and cost issues. Therefore, this study set out to categorize the records of the Coalition for Democratic Reunification and the People’s Movement(DRPM) and develop them into a group collection. Established as a coalition of several organizations in 1985, the Union engaged in activities out of power to resist the regime. Despite the historical value of its records, however, there was not much effort to manage and transfer its records during its four years of activities, which raises concerns of the possible disappearance of its records. Trying to create a collection of the records, the investigator organized the ones that were kept by the donator at the Archives of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 and analyzed their record information through a digital archive. For this, the study took a series of measures including literature study, case study, analysis and reorganization of records content,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system, and expert review. The specific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the manuscripts was examined, and their nature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archives. It is rare for manuscripts to make a collection, like archives, that create a collection of the massive internal records of a group (organization). Since records by various producers are collected, it is difficult to categorize the records by the source while maintaining their context. After exploring categorization methodologies to find one fit for manuscript records based on the case study of other organization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s digital archive, Open Archive, by the year and event and further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its group collection. Secondly, the study analyzed the background and activity of the DRPM and the time, forms, and content of its records as productive features. The major events and activities of the Union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by period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its purpose, codes, periodic situations, and activity scope throughout its history. Its activitie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headquarters, branch, and committee as the subclass of producers that were productive features of the records. Its records were distinguished by four periods of activities: foundation and early days, its fight against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ts fight against the corrupt presidential election, and its developmental deconstruction and the foundation of a new People's Movement Union for Democratic Unification as well as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its foundation and unknown periods. As for the record forms, the records were divided into general documents and publications. Thirdly, the collection of the Union records was categorized by the subject based on the categories of democratization movement groups by Jeon Myeong-hyeok, which were applied to the Archive of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 This categorization method organized the records at its Archive into 18 categorizes based on the movements of democratization movement organizations by sector including labor, farmers, youths, students, culture & art, education & science, religion, citizens, environment, women, human rights, health & medicine, press and publication, politics, coalition, and international movements. Based on Jeon's categories, the present study excluded or redefined the subject areas that were not closely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the Union and added new ones according to need. Finally, the study presented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group collection of the DRPM," which includes producers (organizations), time of production, subjects, and types analyzed above,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nect the records. This classification system for its group collection was evaluated by classification experts in the academic circles and researchers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who were positive about it as it sorted out the manuscript records of the Union by period, subject, and form into a single classification system and accordingly promoted convenience for the researchers. Based on expert evaluations and opinion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Union was revised. Finally, the final draft was completed.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greater efficiency in the search of records about the DRPM as the study developed a classification system to re-categorize its records of various sources and enable their easy access and utilization in a digital archive. A group collection holds special significance as it offers comprehensive access to the records of a group's activities and specific content. The organization and application of a new classification system will show the overall structure of a collection and offer a guide towards related records in a digital archive, thus promoting the active service of record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of a group collection according to classification and application by manuscript producer will provide a basic structure as a case of various collection organization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records in arch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기록관리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