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0 Download: 0

상호문화 학습을 위한 『생활 중국어』프로젝트 활동 설계

Title
상호문화 학습을 위한 『생활 중국어』프로젝트 활동 설계
Other Titles
为相互文化学习的『生活中国语』项目活动设计
Authors
김나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모해연
Abstract
2015修订初中『生活中国语』教育课程的文化教育目标是以韩国与中国之间的相互文化知识为基础培养与中国人的沟通能力和积极沟通态度,并唤醒学生的世界市民意识。『生活中国语』<文化栏>上的活动题旨在培养学习者的相互文化知识。但是,为了实现积极的相互沟通,必须从相互文化知识上进一步发展到相互文化沟通能力和相互文化态度上。因此本论文设计了在<文化栏>的活动题上应用项目学习法,以便提高学习者的相互文化沟通能力和态度。 本论文的研究过程如下。 第一, 通过开展相互文化学习的先行研究,把相互文化学习的阶段总结为‘文化知识习得’,‘文化沟通能力’,‘文化接受态度’。这一相互文化学习的阶段是教科书分析的标准。 第二, 通过项目学习法相关的先行研究,形成了‘适用项目学习模式的相互文化学习项目活动阶段’。 第三, 根据相互文化学习阶段分析了初中『生活中国语』<文化栏>中介绍的活动课题。另一个分析标准是文化内容和文化主题。根据教育课程中提出的6种文化内容和属于各文化内容的19种文化主题,对活动课题进行了分析。 第四, 以分析结果为基础,设计了为相互文化学习的项目学习活动课题。教科书分析结果,多涉及的文化内容按生活文化、语言文化、传统文化的顺序,选取这三个文化内容,设计出具体的活动预案。 本论文的研究成果如下。 第一, 本论文因使用新修订的2015『生活中国语』教科书,在下一次修订之前,很可能被无限利用而发展。 第二, 引入项目学习法,尝试向文化课不再是以知识为主的课程,而是以学习者为中心的体验型课程发展。项目学习法以学生为中心,设置探究题,调查题,解决问题。 通过这些,可以实际体验和应对与中国人相互文化交流时发生的情况。 第三, 通过分析9种『生活中国语』,提出最多的文化内容,制定了活动预案,并且在项目各个阶段都提出了具体的活动内容,因此可以在学校现场得到充分利用。 期待本论文能成为今后汉语文化教育中的小跳板,为相互文化教育的发展作出贡献。;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생활중국어』문화교육의 목표는 한국과 중국의 상호문화지식을 바탕으로 중국인과의 의사소통능력과 적극적인 의사소통 태도를 배양하고, 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을 일깨우는 것이다. 『생활중국어』<문화란>에 제시된 활동은 학습자들의 상호문화지식을 배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상호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상호문화지식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상호문화의사소통능력과 상호문화태도까지 발전시켜야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생활중국어』 <문화란>의 활동과제에 프로젝트 학습법을 적용시켜 학습자들의 상호문화의사소통능력과 태도를 제고시키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문화학습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상호문화학습의 단계를 ‘문화지식습득’,‘문화소통기능’,‘문화수용태도’로 정리하였다. 둘째, 프로젝트 학습법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프로젝트 학습모형을 적용한 상호문화학습 프로젝트 활동 단계’를 구성하였다. 셋째, 상호문화학습단계에 따라 중학교『생활중국어』<문화란>에서 소개한 활동과제를 분석하였다. 또한 문화내용과 문화주제를 기준으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6가지 문화내용과 각 문화내용에 속한 19가지의 문화주제에 따라 활동주제를 분석하였다. 넷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상호문화학습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 활동과제를 설계하였다. 교과서 분석결과, 많이 제시된 내용은 생활문화, 언어문화, 전통문화 순으로, 이 3가지 문화내용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활동 예시안을 구성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새롭게 개정된 2015 『생활중국어』교과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다음 교육과정 개정 전까지 활발히 활용되고,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둘째, 프로젝트 학습법을 도입하여 더 이상 지식위주의 수업이 아닌,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체험형 수업으로의 발전을 시도하였다. 프로젝트 학습법은 학생이 중심이 되어 탐구문제를 설정하고, 문제를 조사하고 해결한다. 이 활동들을 통해 중국인과의 상호문화교류에서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을 실제적으로 체험해볼 수 있다. 셋째, 9종 『생활중국어』분석을 통해 가장 많이 제시된 문화내용을 선정하여 활동 예시안을 구성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학습의 각 단계별로 구체적인 활동 내용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제시한 내용들이 학교에서 활발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이 이후 중국어 문화교육에서의 작은 발판이 되어 상호문화교육으로의 발전에 공헌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