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유민희 작곡 거문고 3중주 <길이 나지 않은 길> 분석 연구

Title
유민희 작곡 거문고 3중주 <길이 나지 않은 길>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elodic Analysis of Geomungo trio < Untaken Paths > composed by Min-Hee Yoo
Authors
양아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거문고 창작곡의 형태는 독주곡과 중주곡의 창작, 보급이 활발히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작곡가 유민희의 거문고 3중주 길이 나지 않은 길의 3대의 거문고 선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곡은 총 178마디로 구성되어있으며 3대의 거문고간의 선율과 리듬의 변화를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A·B·C·D 총 네 단락으로 나누었다. 각 단락별 선율과 리듬, 거문고 연주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단락은 제1마디~제90마디이고 a·Bridge·b부분으로 나누었으며, 박자는 2/2, Tempo free, 4/4로 나타났다. 선율은 조현법이 다른 3대의 거문고 문현음을 통해 주제선율을 제시하였고 각 파트간의 모방과 변형 및 유사진행이 나타났다. 리듬은 주제선율을 이루는 (󰁡)의 리듬이 곡 전반에 걸쳐서 빈번하게 나타났다. ‘길’을 만들기 전에 개척자가 느낄 수 있는 두려움과 기대감을 표현한 부분이므로 빠른 속도로 시작되었다. 거문고 연주법은 전통주법으로 추성(), 스르렁(↓), 농현(), 전성()주법 등이 나타났고 현대주법은 2음 동시 발현, 피치카토, 트레몰로 주법으로 울림을 극대화하여 음향을 풍부하게 하였다. 둘째, B단락은 제91마디~제102마디이고 c·d부분으로 나누었으며, Senza tempo / Senza meter로 나타났다. 선율은 속도에 구애받지 않되 나누어진 프레이즈에 따라 선율 확대 및 축소가 나타났다. 문현의 조현법이 다른 3대의 거문고를 통해 전통주법 중 슬기등 기법을 두 번씩 반복하여 동형진행을 통해 선율진행이 나타났으며 리듬감이 형성되었다. 이 부분은 ‘길’을 개척하는 과정의 방해와 어려움을 역동적으로 표현하였다. 리듬은 (󰁜)의 기본 리듬을 바탕으로 (󰁗)의 리듬이 반복적으로 나타났고 3분박에서 2분박으로 바뀌는 헤미올라의 리듬형이 나타났다. 거문고 연주법은 전통주법인 스르렁, 전성, 농현, 추성, 슬기등(ㄱ), 꺾는(∧) 주법 등으로 전통적인 산조의 음악적 주법을 활용하여 산조풍이 나타났다. 셋째, C단락은 제103마디~제136마디이고 e·Bridge·f부분으로 나누었으며, 박자는 10/8, Senza tempo / Senza meter로 나타났다. 선율은 도약진행을 통해 유사 및 반복진행이 나타났고 각 파트간의 주제선율과 반주역할은 주고받는 형태로 빠르게 변경되었다. 이 부분은 동일한 리듬을 각각 다른 음역대에서 지속적으로 연주하여 ‘길’을 개척하는데 목적 달성한 부분이 표현되었다. 리듬은 주제선율을 이루는 (󰁗♩)의 리듬이 곡 전반에 걸쳐서 빈번하게 나타났고 반주선율은 엇모리장단의 리듬형이 나타났다. 거문고 연주법은 전통주법으로 뜰(∨), 퇴성(), 농현, 꺾는 주법 등을 사용하여 짧은 시가를 통해 산조의 음악적 주법을 활용하여 산조풍이 나타났고 현대주법은 2음 동시 발현, 트레몰로 주법을 사용하여 악센트의 간접표현과 화음의 표현 및 긴장감의 조성 등이 표현되었다. 넷째, D단락은 제137마디~제178마디이고 a′부분으로 나누었으며, 박자는 Tempo rubato와 2/2로 나타났다. 선율은 주제선율을 느리게 반복하여 확장형태를 취한 도입부와 A단락 a부분과 유사한 형태로 주제선율을 반복하고 확장하여 종지를 강조한 후반부가 나타났다. 이 부분은 ‘길’을 개척해낸 경험을 바탕으로 초심으로 돌아가서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자 하는 개척자의 마음을 표현하였다. 거문고 연주법은 전통주법으로 추성, 스르렁, 농현, 전성이 나타났고 현대주법은 2음 동시 발현 주법이 나타났다. 마지막 박에 나타난 스르렁 기법은 작곡가가 제시한 조현법을 통해 sfz (특히 세게)와 단2도의 불협화음으로 현대적인 요소가 표현되었다. 이와 같이 유민희 작곡 거문고 3중주 길이 나지 않은 길은 각 부분마다 뚜렷한 주제선율이 제시된다. 주제선율을 3대의 거문고가 주고받는 형식으로 진행하고 각각의 특색을 부각시키며 조화를 이루는 곡이다. 또한, 동일한 리듬의 반복 및 자유로운 리듬이 나타나고 전통주법과 현대주법이 함께 나타난다. 거문고 중주곡의 창작활동이 활발해지길 바라며, 본고를 통하여 거문고 3중주 길이 나지 않은 길을 연주할 연주자들에게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제적인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Recently, creative songs performed with geomungo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and popularized. Among the various songs,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analyzing Untaken Paths, composed by Min-Hee Yoo, in respect to the melody of geomungo trio. The Untaken Paths containing a total of 178 bars is divided into four paragraphs A, B, C, and D. Each paragraph is further divid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melody and rhythm. The interpretations of melody, rhythm, and performance in each paragraph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paragraph A, from the 1st to the 90th bar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with 2/2 Tempo-free beats: part a, Bridge, and part b. Three geomungos are tuned differently to form not only the main melody but also the imitation, deformation, and similar melody within the parts. The rhythm (󰁡), which is a major melody of paragraph, appears frequently throughout the song. In order to represent the fear and anticipation in which a pioneer can feel before getting onto a road, this parts begins with fast melody. The several performing techniques such as seureureong, jeonseong, and ssaraeng are applied for the execution of geomungo, whereas the part of modern performance employs the modern techniques, called tremolos, pizzcato and two notes co-expression. Second, the paragraph B, from the 91th to the 102th bars, consists of c and d which have beats as Senza tempo and Senze meter, respectively. To dynamically express the obstacles and difficulties of the process of pioneering the paragraph enlarges or reduces the melody according to the phrase regardless of the speed and makes use of seulgideung technique repeated twice through counterpoint strategy. This paragraph employs the rhythm (󰁜) based on (󰁗) repeatedly, and the tension is increased with the hemiola rhythm which changes 3-beats to 2-beats. By applying the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Chuseong, bending ssaraeng and seureureong, this paragraph effectively expresses the musical mode of traditional Sanjo. Third, the paragraph C including the 103th to the 136th bars contains e, Bridge, and f, and beats of each subpart are 10/8, Senza tempo, and Senza meter, respectively. This paragraph performs the melody which uses the disjunct motion with three parts by three geomungoes rapidly giving and taking the theme melodies. In addition, the same rhythm is continuously expressed in the different bands to express the feeling that achieved in pioneering the way. Throughtout the paragraph, the (󰁗♩) rhythm often appears with fast speed to represents the fear and anticipation of a pioneer befor paving the new road. Similar to the paragraph B, the paragraph also employs chuseong, bending ssaraeng and seureureong techniques to express the mood of traditional Sanjo, whereas the part of modern performance utilizes two different techniques, called tremolos and two notes co-expression, to express the indirect accents, the chord and the tension. Finally, the paragraph D, from the 137th to the 178th bars, contains a′ having Tempo rubato (2/2). The overall melody takes an expansion form that repeats the theme melody slowly as well as the latter part that emphasizes the cadence by adopting the repeated theme melody. This part describes the mind of a pioneer who wants to go back to the beginning and start over what one has done with the prior experience and knowledge. This paragraph not only jointly uses the chuseong, seureureong, vibrato, and jeonseong, but also employs the two notes co-expression technique at the part of modern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seureureong technique, which is utilized for the last note to accent it like sfz, is performed by using a new tuning system proposed by the composer, and this technique becomes an essential part of modern music as the dissonance of minor 2nd. Untaken Paths effectively expresses the subject melodies of each part by using three different geomungos. In addition, this song emphasiz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melody by counterpoint strategy. The repetition of same rhythm of free rhythm with the simultaneous appearance of traditional and modern rhythms further highlights the musical expressiveness. The writer strongly desires the prosperity in the creation of geomungo music, and the paper further progresses the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of Untaken Path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