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8 Download: 0

사회참여미술로서의 넛지(Nudge) 디자인 수업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사회참여미술로서의 넛지(Nudge) 디자인 수업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Nudge Design Class as Social Engaged Art on Sense of Community : Focusing on 1st Graders of High School
Authors
이현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In modern society, which has undergone rapid social changes recently, the sense of solidarity and community is lacking due to the prevalence of individualism and materialism. In particular, Korean school education, which fosters competition, allowed members of a community to recognize each other as rivals rather than caring for each other or living with each other. Most of the problems that arise in schools that aim to achieve a harmonious and universal growth of intelligence and character can be attributed to a lack of sense of community. Students can develop their role as owners and community members of the school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various learning and learning activities at school and through experiences in realizing their values(Park Min-ha, 2017). When teenagers engage in interdependent solidarity with emotional bonds and belonging within the school community, the school as a community can uphold the order and discipline based on mutual agreement and achieve the goal of establishing a desirable whole-person imag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lighted the link to life and presented a new form of educational core competency(Ministry of Education, 2015). Among them, community competence is the abil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community development with the values and attitudes required for members of local, national and global communities,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community awareness-related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s. In other words,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a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needs, 'community competence' was presented as a core competency i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9 and amended in 2015. Within this trend, the social role of art is being emphasized more than ever. Social Engaged Art based on social reconstructionism becomes a medium for artists to capture problems in society into art, recognize them to the public and engage the public in problem solving. In addition, one of the goals of high school education was to develop the ability to explore ways to participate in society through art in art courses during the discuss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practical character that encourages awareness of problems in society and direct participation in problem solving processes, social engaged art can be deeply related to the community. Communities belong to society or are similar concepts to society, and through prior studies on social engaged art education and community, one can check the connection betwee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ocial engaged art education. In addition, social engaged art as a collaborative work through cooperation has deep interrelationship with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at it shares and participates in society's problem consciousness together. Design can change the way of life or trigger meaningful social changes, as well as simply making or improving products. In particular, "Nudge design” has the expected effect of improving and participating in public problems through subtle induction. Not forced participation, but the social reconstruction-oriented nudge design, which gently intervenes to induce good results for people, is suitable for use in social engaged art, which focuses on the attention and improvement of problems in society and interactions among people. Recognizing the need for various attempts to foster community competence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techniques linked to students' real lives, the researcher developed and operated a sixth-hour school class program for nudge design as a social engaged art. The school, which is a large part of students' lives, started out from the perspective that it should serve as a hub for voluntary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the "Creating Beautiful Our School Culture” project, the school was focused on discovering spaces in schools that lacked order and consideration, solving problems through art activities, and transforming it into voluntary social participation. To sum u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use of social engaged art by designing classes for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design classes as social engaged art, and to verify the influence of nudge design classes on community consciousness of high school freshmen.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a prior study on social engaged art and communal consciousness, the researcher myself examined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s of SEA and sense of community an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study are derived. Second, we examined the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engaged art that appear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art and analyzed the views of social engaged art in each textbook focusing on the 'social engagement through art' unit. Third, among the textbooks that include design in social engaged art,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extbooks that carried drawings related to the design of a nudge. Fourth, we set it as a project subject for 'Creating Beautiful Our School Culture' for the Nudge Design class as a social engaged art. Accordingly, learning goals and assessment plans were established, and the flow chart of the teaching-learning course and detailed teaching-learning guidance were prepared. Fifth, a class of I high school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conducted a pre-examination on the scale of Korean community consciousness developed by Jeong Jin-kyung(1999) with inspection tools and a class on the design of nudge as a social engaged art before conducting a pre-post-examination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same group. Sixth, the community awareness test data collected prior to and after the program was obtained by verifying and analyzing the response sample t-test using the SPSS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eventh, class satisfaction also received positive results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 and post-examination of the communal consciousness of the learner who participated in the nudge design class as a social engaged ar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total score,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results of sub-area pre-interpretation and post-interpretation of community conscious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domain areas. Of the sub-regions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timacy and belonging” showed the highest level of improvement, followed by "harmony and unity”, "voluntary expression of intent to participate”, "self-reliance and public consciousness”, "sharing with the same city and the public” and "authoritarian and exclusion collectivism” Taking a comprehensive look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Nudge design class as a social engaged art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The satisfaction survey showed that more than 90 percent of learners said 'very yes, yes' when asked 'Did you find the class to be interesting to solve school problems through the design of a nudge?' an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lasses in this study.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the Nudge design class as a social engaged art had a positive effect on fostering the learner's sense of community. In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Nudge design class as a social engaged art was significant for improving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es in this study, learners were able to develop into active organizers who wanted to make meaningful contributions to life and experience, discover various problems that occur in society,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and take initiative in solving them.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awareness and the development of school life satisfaction through understanding of other people and social relationships. We also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the design of social engaged art to be implemented as various educational cases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mong young people, and furthermore to be widely used as a cultural tool for social change.;최근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은 현대사회는 개인주의와 물질만능주의가 만연함에 따라 연대감 붕괴와 공동체의식이 부재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사회문제가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특히 경쟁을 부추기는 입시위주의 학교교육은 학교공동체 안에 있는 구성원이 함께 살아가는 의식과 배려보다는 친구를 경쟁상대로 인지하도록 하였다. 지성과 인성의 조화로운 전인적 성장을 목표로 하는 학교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문제들은 공동체의식의 부재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학습내용 및 학습활동, 수업에 능동적인 참여, 학교에 대한 주인의식 및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하여 가치관을 만들고 실현하는 경험을 통해 공동체의식을 형성할 수 있다(박민하, 2017). 학교 공동체 안에서 청소년들이 소속감과 정서적 유대감을 갖고 상호의존적인 상호작용을 할 때, 학교라는 공동체는 규율과 질서를 지켜나갈 수 있고 바람직한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고자 하는 학교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삶과의 연계성을 강조하여 새로운 형태의 교육핵심역량을 제시하였다(교육부, 2015a). 그 중 공동체역량은 지역・국가・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공동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역량(교육부, 2015a)으로 학교에서의 공동체의식 관련 교육활동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즉, 공동체의식에 대한 필요성과 사회적 요구에 따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핵심역량으로 ‘공동체 역량’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흐름 안에서 그 어느 때보다 미술의 사회적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강주희, 이성은, 2014). 사회재건주의에 기반한 사회참여미술은 예술가가 사회의 문제를 미술로 담아내어 대중에게 문제를 인식시키고 문제 해결에 대중을 참여시키는 매개체가 된다. 또한 2015 개정교육과정 각론 중 미술과목에서는 미술을 통해 사회에 참여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능력을 함양시킬 것을 고등학교의 교육목표중 하나로 제시하였다.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도록 하고 문제해결과정에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실천적인 성격으로서의 사회참여미술은 공동체와 깊은 관련성을 찾아볼 수 있다. 공동체는 사회에 속하거나 사회와 유사한 개념이며, 사회참여미술교육과 공동체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공동체의식과 사회참여미술교육의 그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협력을 통한 공동 작업으로서의 사회참여미술은 사회의 문제의식을 함께 나누고 참여한다는 점에서 공동체의식과 깊은 상호관련성을 가진다. 디자인은 단순히 제품을 만들거나 개선하는 것뿐만 아니라 삶의 방식을 바꾸거나 의미있는 사회 변화를 촉발시킬 수 있다. 또한 최근 디자인은 사람들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더 나아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디자인이 활용되는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특히 ‘넛지 디자인’은 은근한 유도를 통해 공공의 문제를 개선하고 참여하는 기대효과를 가진다. 강제적인 참여가 아니라, 부드럽게 개입해 사람들에게 좋은 결과를 유도하는 사회재건주의적 성격의 넛지 디자인은 사회의 문제를 사람들에게 주목시키고 개선시키며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사회참여미술에서 활용하기 적합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들의 실제 삶 속에서의 사회참여미술을 통해 공동체역량을 함양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시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으며 사회참여미술로서의 넛지 디자인 수업을 6차시의 학교 수업 프로그램으로 개발·운영하였다. 학생들의 삶에서 많은 부분을 이루는 생활공간이자 학습공간으로서의 학교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사회참여의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으며, ‘아름다운 우리학교 문화 만들기’ 프로젝트를 통해 질서와 배려가 결여되어있는 교내의 공간들을 발견하고, 미술활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며 자발적인 사회참여행위로 변화시키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정리하자면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사회참여미술로서의 디자인 수업을 통한 공동체의식 함양의 수업설계를 함으로써 사회참여미술의 교육적 활용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넛지 디자인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참여미술과 공동체의식에 대한 문헌 조사 및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각각의 개념과 특성 및 교육적 가치에 대해 살펴보고,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을 도출한다. 둘째,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공동체의식과 사회참여미술을 확인하고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사회참여미술관련 단원을 통해 각 교과서마다 바라보는 사회참여미술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였다. 셋째, 사회참여미술에 디자인을 포함시키는 교과서 중 넛지 디자인 관련 도판을 실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넷째, 사회참여미술로서의 넛지 디자인 수업을 위해 ‘아름다운 우리학교 문화 만들기’ 프로젝트 주제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목표 및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교수-학습 과정의 흐름도와 세부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다섯째,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I고등학교 한 학급에 정진경(1999)이 개발한 한국 공동체의식 검사 척도를 검사도구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사회참여미술로서의 넛지 디자인 수업을 진행한 후 동일한 집단의 공동체의식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여섯째, 사전・사후로 수집된 공동체의식검사 자료는 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test로 검증분석 하여본 프로그램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일곱째, 수업만족도 또한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 프로그램의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참여미술로서의 넛지 디자인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공동체의식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전체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대응표본 t-test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공동체의식의 하위영역 사전·사후 결과 모든 하위영역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공동체의식의 하위 영역 중 ‘친밀성과 소속감’이 가장 높은 향상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조화와 단결’, ‘자발적 참여 의사표현’, ‘자율성과 공공의식’, ‘동일시와 공과의 공유’, ‘권위적・배타적 집단주의’순으로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사회참여미술로서의 넛지 디자인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공동체의식에서 전체 영역과 하위항목의 사후 검사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업만족도 조사 결과 ‘넛지 디자인을 통한 교내문제 해결 수업이 흥미로웠습니까?’에 90% 이상의 학습자가 ‘매우 그렇다, 그렇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본 연구의 수업에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참여미술로서의 넛지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공동체의식을 함양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참여미술 수업을 통해 학습자는 스스로 자신의 주변 그리고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발견하고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를 주도적으로 해결하고자하는 능동적 행위의 주체자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타인과 사회적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공동체의식 함양과 학교생활만족을 위한 매개로써 작용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또한 사회참여미술로서의 디자인이 다양한 교육적 사례들로서 실천되어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을 함양시키며, 더 나아가 사회 변화를 위한 문화적 도구로서 널리 활용되는 데에 본 연구가 일조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