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65 Download: 0

차경과 연계된 오방색의 직조 디자인

Title
차경과 연계된 오방색의 직조 디자인
Other Titles
Woven Cloth Design of Obangsaek Related to Borrowed Scenery
Authors
조영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섬유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순란
Abstract
오늘 날 전통적인 직조 방식으로 제직된 직물은 대부분 단색조의 명주나 삼베, 모시 등 평직물에 국한되어 다양한 색조의 전통문양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고 그나마도 겨우 명맥만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연유로 한국의 전통적인 색상과 문양의 계승을 위해 현대적 감각의 홈 퍼니싱 디자인으로 재해석하여 새롭게 직조할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통 복식의 일부인 후수(後綬)와 전통적인 경관감상법인 차경(借景)을 현대적 제품 디자인에 응용한 수렴과 창가리개이다. 수직기로 제작된 작품을 통해 공간의 고유한 특성을 살리면서 동시에 동양적 사상에 입각한 차경과 연계하여 계절 또는 자연과 상관된 관념을 현대 문화로 소환하려는 것이 다. 전통색의 계승을 위한 천연 염색이나 전통 직조기법과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 논문들은 대체로 전통색을 재현시킨 직물로 제작된 작품을 다루는 데 국한되어 있다. 이에 비해 본 논문에서는 견사를 전통색으로 천연 염색한 후 베틀을 이용하여 기하학적 구성으로 직조된 홈 퍼니싱 인테리어 생활용품의 제작 과정을 다룬다는 점에서 변별될 수 있다. 한국 전통건축에서 나타나는 차경은 거리감을 상실시키는 도구를 통해 성립되는 경관처리기법이다. 다시 말해 차경은 멀리 있는 풍경을 인간의 감각기관으로 더 가까이 유인하는 효과에 근거한다. 이는 물리적인 자연 현상과 인간의 내면세계의 관계를 보다 친밀하게 연결시키는 역할, 즉 인간과 자연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이다. 이러한 상호관계에 의거하여 차경 도구인 인공물을 통해 인간의 내면이 자연과의 일체감으로 유인되어 궁극적인 동양적 자연관에 참여하게 된다. 연구의 범위는 이론적 분석을 바탕으로 음양오행사상과 전통색으로 천연염색한 견사로 직조한 실내장식품과 전통 복식중 하나인 후수 및 전통건축에서 나타나는 차경과 연계된 창가리개 등을 표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작품은 평조직의 직물을 선과 면들의 결합을 통해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구성하고 수직기를 이용해 제작한 홈 퍼니싱 인테리어용품들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다. 차경과 한국의 전통색에 대해 고찰하는 전반부에서는 차경의 개념과 원리, 차경의 공간 영역을 분류하고 각각의 공간영역에 나타나는 차경도구와 중국, 일본, 한국의 차경기법을 살펴본 뒤, 한국의 전통색인 오방색, 음양오행사상, 오방색과 오간색, 고문헌에 나타난 전통색 등에 대해 고찰한다. 이어지는 후반부는 작품 제작의 과정 및 해설이다. 여기서는 연구 대상인 작품의 제작배경과 디자인 의도, 차경도구로서의 텍스타일 디자인, 작품의 제작방법과 과정을 서술하고 작품을 통해 표현된 내용 및 상징적 의미를 분석한다. 작품의 제작방법은 첫째, 전통색으로 천연 염색한 견사를 제직 시 경위사에 사용함으로써 병치혼합의 혼색 효과를 나타내고 둘째, 수렴디자인의 파티션 직물과 후수 형상의 창가리개 작품을 개량베틀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전통색의 평직 표현 범위를 넓히고 이를 현대적인 제품 디자인으로 표현한다. 셋째, 차경도구와 빛의 상관관계를 응용한다. 즉 전통 건축에서 나타나는 차경 도구를 텍스타일 디자인 및 홈 퍼니싱 디자인에 적용하는 방식을 택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영친왕 일가의 복식 중에서 영친왕비 패옥과 영친왕비 적의에 부수된 색동 후수를 모티프로 작품을 디자인하였다. 이에 근거한 전통색으로 견사를 천연 염색한 뒤 전통 직기를 개량한 2종광 양발 베틀로 직조하였다. 후수 형상의 창가리개는 오방색인 청색, 흰색, 적색, 흑색, 황색으로 경사를 걸어 위사의 밀도에 차이를 둠으로써 선과 면을 분할한 스트라이프 패턴직물로 제작하였다. 전통건축에서 나타나는 차경을 이용한 수렴은 혼색한 천연 염색사로 직조하였다. 이 과정에 필요한 염색 재료나 기법, 이론적 내용과 상관된 일반적 개념 및 특성은 국내외의 관련서적과 문헌자료를 통해 분석,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차경 공간 영역을 최근접 자기 공간, 자기 확장 공간, 경계, 시선 확장 공간 등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시각효과를 유발하는 차경 도구를 응용하여 홈 퍼니싱 디자인 제품인 파티션과 창가리개를 직조하는 것이다. 전통색동을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통한 생활 소품이 건축물에서 차경과 연계되어 실내 공간을 재창조하면서 동시에 외부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꾀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의 하나로 제시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전통적인 색상과 문양을 되살리고 수직기를 이용한 직조법으로 대량생산의 산업제품과 차별화를 꾀함으로써 과거와 현재, 자연과 건축의 시공간적 조화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수직기를 이용하여 수공예작품으로 직조한 작품은 대량생산의 산업제품과는 분명한 차별화를 가진다. 본 연구의 대상 작품이 서구화로 물들어가는 현대적 공간에서 전통미와 자연의 가치를 새롭게 음미할 수 있는 조형적 인테리어 장식품으로서 발전가능성을 기대하는 바이다.;Today, most of textile weaved in traditional way is limited to plain weave fabric of sole color, such as silk, hemp cloth, ramie fabric, etc., so it’s difficult to find traditional patterns of various colors nearly and it’s actually remaining in existence. Therefore, this research recognized that it's necessary to reinterpret home furnishing design of modern sense and weave newly for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colors and pattern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suryum(垂簾) and window canopy that the Saekdong husu(後綬), a part of traditional clothes, and chagyung(借景), a traditional method of landscape appreciation, were applied to modern product design. Through the work manufactured by a Korean traditional handloo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space’s own characteristics and recall the concept correlative to season or nature to modern culture in relation to chagyung involving eastern ideology. In relation to natural dying or traditional weaving method for succession of traditional colors, most of existing theses are restricted to treat the works manufactured by texture reappearing traditional colors so called Obangsaek . On the contrast, this thesis may be differentiated as it treats manufacturing process of home furnishing interior living supplies weaved by geometric structure with a loom after dying silk thread by Obangsaek. Chagyung appeared in Korean traditional construction is the landscape treatment made by a tool losing a sense of distance. In other words, chagyung is based on the effect that induces remote landscape closer with human sensory organ. It’s positive interaction made in relations between human and nature, a role to make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natural phenomena and human’s internal world more familiar. Based on the interaction, human’s inside is induced to the sense of unity with the nature through artificial material that is chagyung tool and they participate in ultimate eastern view of nature. For the range of this research, YumYang five elements of principles(陰陽), interior ornament weaved with dyed naturally by traditional colors, husu that is one of traditional clothes, window canopy connected to chagyung shown in traditional construction, etc. were selected as expressive subjects based on theoretical analysis. The work of research is home furnishing interior supplies organized by stripe pattern through combination of lines and faces of plane texture and manufactured by a modified traditional loom.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organized greatly by two parts. In the former part considering chagyung and Korean traditional colors, concepts and theories of chagyung, and spatial sector of chagyung were classified, chagyung tools and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hagyung methods of each spatial sector were examined, and then, five cardinal colors that are Korean traditional colors, YumYang five elements of principles, five cardinal colors and five colors, traditional colors appeared in ancient literature, etc. were considered. And, in the latter part, there are process and interpretation of production. In here, manufacturing background and design intention of the work, the subject of research, textile design as chagyung tool,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process of the work were described and contents expressed by works and symbolic meaning were analyzed. Fo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works, first, when weaving silk thread dyed naturally by traditional colors, combined color effects of juxtapositional mixture was appeared with warp and weft, second, plane weaving expression range was widened and it is expressed by modern product design by manufacturing partition texture of suryum design and window canopy of husu shape with improved loom. Third, correlations between chagyung tools and light are used. In other words, it’s the method to apply chagyung tools appeared in traditional construction to textile design and home furnishing design. The method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mong clothes of King Youngchin’s family, research work was designed by the motif of colored husu attached to paeok(佩玉) and clothes of the Saekdong Husu Attached to the Royal Court Attire of Princess Bang–ja of Chosun Dynasty. After natural dying of silk thread with the traditional colors, it was weaved by 2 jongkwang two-feet loom improved from traditional loom. Window canopy of husu shape made differences of density through the warp of Obangsaek that is blue, white, red, black, and yellow, so it was manufactured by stripe pattern dividing lines and faces. Window canopy using chagyung in traditional construction was weaved by natural dying threads mixed. Dying materials, methods, general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pposed to theoretical contents for this process were analyzed and applied by domestic and overseas relative books and literatur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