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조윤수-
dc.creator조윤수-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22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22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4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45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921-
dc.description.abstractIn today's fashion films, diverse aspects of an expression method and an expression subject are unfolding. In particular, as for the aspect of an expression subject as a communication tool, an emerging situation is that some fashion films are conveying social messages beyond promotional concepts for fashion bands or products. Unlike the past when generally expressing beauty, the center of the society, as a subject or expressing fashion styles, items, and muses, the emerging fashion films have not only artistic values but also social practicability through collaboration with artists. Recently, some fashion films are ironically arousing people's attention to excessive production and excessive consumption of fashion products. Such contradictory phenomenon where social problems inherent in the modern society related to fashion are dealt with directly by the fashion area itself is geared to the concept of ambivalence. Ambivalence rooted in the area of human desires including art, fashion, and politics has an appropriate feature to explain conflicting and contradictory phenomena in our society. In addition, ambivalence indicates a specific conflict, forming opposition that is not dialectical and, thus, it is meaningful that ambivalence is dealt with by the fashion area where the force of imitation and differentiation leads the process of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reative expression of fashion films by setting ambivalence existing in the modern society to an expression subject of fashion as an attempt to add a social meaning into fashion films. This study also aims to suggest one methodical case which visualizes an abstract concept of ambivalence in order to express the ambivalence through a fashion film. This study utilizes literature study, case study, and expression technique study through works at the same time. Through literature study, the concept of ambivalence is organized through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psychology, literature, and sociology while, through case analysis and literature study related to modern art expressing ambivalence, the content and expression methods of ambivalence are researched. In addition, through case analysis on fashion films that are arousing social issues and playing a social role, subjects of ambivalence are drawn. Then, fashion films are developed by applying the drawn subjects together with the previously drawn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art. This study uses motion graphics as an expression technique of fashion films and includes total eight fashion film works.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bivalence means a state or a situation where two-sided attitudes or contradictory emotions, difficult to be mixed with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certain object coexist, and also shows positive effects associated with indiscriminating property thereof by avoiding confrontation between values. In other words, dichotomous values are equally evaluated and, thus, values previously low ranked in the existing value system are elevated thanks to these positive effects. Such ambivalence is expressed as duplicity of the self and double-sidedness of a life in psychology; duplicity of a carnival and ambiguous values in literature; and imitation versus resistance, and desires versus anxiety in sociology. Second, ambivalence in the modern art is expressed as a dual meaning, a mixed image, and a deconstructive structure in painting and sculpture while being expressed as a multi-space, a dual image, and a humorous story. Different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ambivalence are drawn from the film area which applies time and movements, compared with painting and sculpture, that is, traditional concepts which do not apply time and movements. Because a fashion film has attributes of a film,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a film can be applied as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a fashion film. Third, fashion films can be defined as a creation which expresses fashion images as all thoughts and various meanings of fashion including not only design elements but also images, styles, emotions, music, and messages, based on imagination of a writer. Such fashion films are evolving while functioning as contemporary art, beyond a promotional concept for fashion brands and designers. The fashion film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f an artist film and a brand film. The artist film emphasizes artistic expression and social messages while the brand film can be subdivided into a type of conveying commercial values through artistic expression of an artist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artist, and a type of a brand fashion film aiming to convey values of a brand and a product. Through the above type classification, it is identified that the type of works in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into an artist fashion film which has artistry and plays a social role. Fourth, fashion films are evolving while playing a social role by discovering diverse issues related to fashion. As a result of analyzing fashion films by social issue, wherein various social problems are dealt with in fashion, expression subjects include sustainability, polarization, inequality, diversity, etc. In addition, it is also identified that subjects and expression techniques of fashion films are expanding into various fields such as actual images, motion graphics, and animation.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ambivalence shown in fashion films, it is found that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ereof include ambivalence in space, ambivalence due to discordance between a space and a character, and ambivalence of a character. Sixth, motion graphics as an expression tool of fashion films is a form of communication which actively conveys content of a message through a symbolic image and film of symbolizing a meaning inside a space in a frame, and sound of influencing auditory senses, and components thereof include a space, time, a movement, a visual image, and sound. Expression methods thereof are extensive, and generally used expression methods include techniques of collage, montage, overlap, moving typography, slow motion, and rotoscoping. It is verified that the collage technique can express a multi-space, ambivalence of a space, and ambivalence due to discordance between a space and a character; the overlap technique can express a dual image and ambivalence of a character; and the slow motion technique can express a humorous story. Seventh, through keyword analysis of works having expression subjects including sustainability, polarization, inequality, and diversity, which are social issues shown in fashion films, "nature-machine,” "heaven-hell,” "digital-analog,” "reality-illusion,” "war-peace,” "abundance-poverty,” "beauty-ugliness,” and "happiness-misfortune” can be drawn as subjects of the works in this study. Eighth, the works in this study express ambivalence in the modern society through different fashion styles and symbolic objets of fashion from one another. A work titled 『Nature and Machine』 expresses attention to excessive productivity of fashion and sustainability. Through a character in a hippie style having natural emotions and free identity, naturalism patterns using flowers and butterflies as motifs, a character with the same appearances but reflecting artificiality of machines opposing to the above character, and symbolic objets in mechanical patterns, this work expresses the order and circulation of nature and, contrary to it, a world showing mechanical quantitative growth, that is, sustainability of fashion. A work titled 『Heaven and Hell』 expresses tranquility and happiness in reality, and pains and self-indulgence in life. Through a character in a pure modern style who symbolizes purity and holiness, symbolic objets including Sunday school and an amusement park, a character in a punk style who lives a life addicted to violence, drug, and gambling, and varicolored neon signs, this work expresses heaven and hell in daily life. In addition, a work titled 『Digital and Analog』 attempts to refine contradictory emotions by expressing a polarized society into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with fashion styles and fashion-related events. Through a character in a retro style such as a master artisan making a shoe through handicraft, fashion-related events in the past including measuring the length of a skirt and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contrary to it, a character in a normcore style who is gaming with robot arms, and symbolic objets such as designs and holograms using digital programs, this work expresses a socioculturally polarized society. A work titled 『Reality and Illusion』 satirizes camouflaged reality and weakened emotions of modern people by expressing an actual ego and an alter ego of a character who is addicted to social media contrastively with different fashion styles and symbolic objets from each other. The symbolic objets used in this work include a character in illusion, corrected by Photoshop as a camouflaged reality, a real character in a slouch style, staying in a small house-like space, as a figure before correction, and Instagram and Facebook screens and marks related to social media addition. Moreover, a work titled 『War and Peace』 expresses peace and joy acquired through music and fashion in a situation which is an inevitable tragedy due to war. Symbolic objets of a war used in this work include a military fashion style symbolizing a war, soldiers and military dogs running toward an enemy territory, gas masks, guns, and camouflage patterns. On the contrary, symbolic objets of peace include a musician in a classical suit, a pacifist, and musical instruments. A work titled 『Abundance and Poverty』 satirizes an excessive consumption phenomenon generated from abundance in the modern society and, contrary to it, still unsolved poverty with fashion styles and fashion-related events. A character in an urban style and symbolic objets including high heels, luxury brands, and neon signs are used in this work, and the abundance and poverty in the modern society are expressed by contrasting a companion dog's wedding and fashion with a refugee child suffering from a short supply. Furthermore, a work titled 『Beauty and Ugliness』 satirizes addition to plastic surgery, which has become a trend in the modern society due to excessive desires to beauty even by creating the word of plastic surgery culture, with fashion styles and fashion-related events. A character having traditional standards of beauty and a character with reinterpreted beauty based on diversity are contrastively expressed by appearing on the runway of a fashion collection show. A model in a wheel chair on the runway, a character with a face distorted by frequent plastic surgery, a character whose whole body is wound with bandage due to plastic surgery, and symbolic objets including plastic surgery advertisements, Botox, and a mannequin are used in this work. Lastly, a work titled 『Happiness and Misfortune』 expresses a society, which recognizes diversity beyond center versus surrounding, and imperfection versus perfection, with fashion styles and symbolic objets related to fashion. In this work, an active life expressing happiness is expressed by a fashion style of a Paralympian who has an active lifestyle, a symbolic object in a stripe pattern, and various typography forms meaning happiness while images of misfortune are expressed by a loose casual style of a melancholiac who is attempting suicide, symbolic objets including an antidepressant, and typography related to depression. In summa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lans a fashion film that conveys social messages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artist, analyzes the content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ambivalence by individual study area, and applies the analysis results to an actual work, thereby suggesting a methodology on a creative expression of fashion films wherein social meanings are add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es and studies, expected is that various design methods and fashion films including social meanings will be produced in the future. ;오늘날 패션영상은 표현방법과 표현주제에 있어서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전개되고 있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표현의 주제 측면을 볼 때, 패션 브랜드 및 제품의 홍보 개념을 넘어 사회적 메시지를 전하는 패션영상이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의 중심이 되는 아름다움을 주제로 표현하거나 패션스타일, 아이템, 뮤즈를 표현했던 과거와 달리,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예술성과 사회적 실천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패션영상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이러니하게도 패션상품의 과잉생산과 과잉소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패션영상이 출현하고 있다. 패션과 관련되어 현대사회에 내재해 있는 사회문제를 패션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이러한 모순적인 현상은 양가성의 개념과 맞물려 있다. 예술, 패션, 정치 등 인간의 욕망의 영역 속에 뿌리내리고 있는 양가성은 우리 사회의 갈등적이고 모순적인 현상을 설명하는 데 적합한 특징이다. 또한 변증법적이지 않은 대립을 구성하는 특수한 갈등이 양가성이므로, 모방과 차별화의 힘으로 변화과정을 일으키는 패션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영상에 사회적 의미를 더하는 시도로서 현대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양가성을 패션의 표현주제로 설정하여 패션영상의 창의적 표현에 있다. 또한 양가성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시각화하여 패션영상으로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적 사례를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 그리고 작품을 통한 표현 기법 연구를 병행한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양가성의 개념을 심리학, 문학, 사회학의 분야별 특성을 통해 정리하고 양가성이 표현된 현대미술에 대한 사례 분석과 문헌 연구를 통하여 그 내용과 표현방법을 연구한다. 그리고 사회적 이슈를 불러일으키며 사회적 역할을 하는 패션영상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그 주제를 도출하고, 앞서 도출한 현대미술의 표현특성과 함께 이를 적용하여 양가성을 표현한 패션영상을 전개한다. 패션영상의 표현방식으로서 모션그래픽을 사용하며, 작품은 총 8점의 패션영상으로 제작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가성은 어떤 대상에 대해 혼합하기 어려운 양면적 태도나 모순된 감정이 동시에 나타나고 공존하는 상태나 상황을 말하며, 대립되는 가치가 지양되는 양가성은 무차별성과 연관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즉, 이분법적 가치들이 동일하게 평가되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가치체계에서 낮게 평가되었던 가치들이 격상되는 데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양가성은 심리학에서는 자아의 이중성, 삶의 양면성으로 나타났고, 문학에서는 카니발의 이중성, 중의적 가치로 표현되었으며, 사회학에서는 모방과 저항, 욕망과 불안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대미술에 나타난 양가성은 회화 및 조각에서 이중적 의미, 혼성적 이미지, 해체적 구조로 표현되고 있었고, 영상에서는 다중공간, 이중 이미지, 해학적 스토리로 표현되고 있었다. 시간 및 움직임이 개입된 영상분야는 보다 전통적 개념에 해당되는 시간과 움직임이 적용되지 않은 회화와 조각분야와 다른 양가성의 표현특성이 도출되었다. 패션영상은 영상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영상에서의 표현특성을 패션영상의 표현특성으로 응용이 가능하였다. 셋째, 패션영상은 작가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디자인 요소뿐만 아니라 이미지, 스타일, 감성, 음악, 메시지 등의 패션에 대한 모든 생각과 다양한 의미로서의 패션이미지를 표현한 창작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패션영상은 패션브랜드와 디자이너의 홍보개념을 넘어 컨템포러리 아트로서의 기능을 하며 진화하고 있다. 그 유형은 아티스트의 영상과 브랜드의 영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아티스트의 영상은 예술적 표현과 사회적 메시지를 강조하고 있었으며, 브랜드의 영상은 아티스트와의 협업으로 아티스트의 예술 표현을 통해 상업적 가치를 전달하는 유형과 브랜드 및 제품의 가치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브랜드 패션영상으로 세부 분류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유형분류를 통하여 본 연구 작품의 유형은 예술성을 지니며 사회적 역할을 하는 아티스트의 패션영상에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패션영상은 패션과 관련된 여러 이슈들을 발굴함으로써 사회적 역할을 하며 진화되고 있었다. 다양한 사회문제를 패션으로 담아내는 패션영상을 사회적 이슈별로 분석한 결과, 표현주제에 있어 지속가능성, 양극화, 불평등, 다양성을 다루고 있었다. 또한 패션영상은 그 주제와 표현기법에 있어 실사, 모션그래픽, 애니메이션 등으로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패션영상에 나타난 양가성의 표현특성을 분석한 결과 공간의 양가성, 공간과 캐릭터의 불일치로 인한 양가성, 캐릭터의 양가성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패션영상 표현방식으로서의 모션그래픽은 프레임의 공간 안에 의미를 상징하는 상징적 이미지와 영상, 그리고 청각의 감각에 영향을 주는 사운드를 통해 메시지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형태이며, 구성요소를 이루는 것은 공간, 시간, 움직임, 시각이미지, 사운드가 있었다. 그 표현방법에 있어 광대하며 자주 사용하는 표현기법으로는 콜라주, 몽타주, 오버랩, 무빙타이포그래피, 슬로우모션, 로토스코핑 기법이 있었는데, 콜라주 기법으로 다중 공간, 공간의 양가성, 공간과 캐릭터의 불일치로 인한 양가성을 표현할 수 있고, 오버랩 기법으로 이중 이미지, 캐릭터의 양가성을, 슬로우모션 기법으로 해학적 스토리를 표현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일곱째, 패션영상을 제작하는 데 있어 패션영상의 사회적 이슈로 나타난 지속가능성, 양극화, 불평등, 다양성을 표현주제로 한 작품의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자연- 기계’, ‘천국-지옥’, ‘디지털-아날로그’, ‘현실-환상’, ‘전쟁-평화’, ‘풍요- 빈곤’, ‘미-추’, ‘행복-불행’을 본 연구 작품의 주제로 도출할 수 있었다. 여덟째, 작품은 각각 다른 패션스타일과 패션의 상징오브제를 통해 현대사회의 양가성을 표현하였다. 작품『자연과 기계』는 패션의 과잉된 생산성에 대한 경각심과 지속가능성을 표현하였다. 자연의 감성과 자유로운 정체성을 가진 히피스타일의 캐릭터와 꽃과 나비를 모티브로 한 자연주의 패턴, 그리고 이와 대립되는 기계의 인위성을 반영한 동일한 외형의 캐릭터와 기계적 패턴의 상징오브제를 통해 자연의 질서와 순환, 한편 기계적으로 양적 성장을 보이는 세계, 즉 패션의 지속가능성을 표현하였다. 『천국과 지옥』은 현실에서의 평온과 행복, 삶의 고통과 방종을 표현하였다. 순수와 성스러움을 상징하는 퓨어모던스타일의 캐릭터와 주일학교, 놀이동산의 상징오브제, 그리고 폭력, 마약, 도박에 중독된 삶을 사는 펑크스타일의 캐릭터와 다채로운 컬러의 네온사인을 통해 일상의 삶에서의 천국과 지옥을 표현하였다. 『디지털과 아날로그』는 보수와 진보로 양극화된 사회를 패션스타일과 패션과 관련된 사건으로 표현함으로써 대립된 정서의 순화를 시도하였다. 수공예로 구두를 만드는 장인과 같은 레트로스타일의 캐릭터와 과거의 패션과 관련된 사건들, 스커트 길이를 재거나 단발령 사건, 그리고 이와 대립되는 로봇팔로 게임하는 놈코어스타일의 캐릭터와 디지털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디자인, 홀로그램을 상징오브제로 사용하여 사회문화적으로 양극화된 사회를 표현하였다. 『현실과 환상』은 소셜미디어에 중독된 캐릭터의 실제적 자아와 제2의 자아를 각각 다른 패션스타일과 상징오브제로 대조적으로 표현함으로써, 현대인의 위장된 현실과 약해진 정서를 풍자하였다. 위장된 현실로서 포토샵을 통해 보정한 환상 속의 캐릭터와 보정하기 전의 모습으로 집과 같은 작은 공간에 있는 슬라우치스타일의 현실 캐릭터, 그리고 소셜미디어 중독과 관련된 인스타, 페이스북 화면과 마크를 상징오브제로 사용하였다. 『전쟁과 평화』는 전쟁으로 비극일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음악과 패션을 통해 얻는 평화와 즐거움을 표현하였다. 전쟁을 상징하는 밀리터리 패션스타일, 적지로 향하는 군인과 군견, 방독면, 총과 카무플라주 패턴을 상징오브제로 사용하였고, 이와 반대되는 클래식한 수트의 뮤지션과 평화주의자, 악기를 평화의 상징오브제로 사용하였다. 『풍요와 빈곤』은 현대의 풍요로움 속에 발생한 과잉소비 현상과 이와 대조적으로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빈곤에 대해 패션스타일, 패션과 관련된 사건들로 풍자하였다. 다채로운 컬러의 어반스타일 캐릭터와 하이힐, 럭셔리브랜드, 네온사인의 상징오브제를 사용하였고 반려견의 결혼식과 반려견의 패션, 그리고 공급 부족의 난민아이로 현대의 풍요와 빈곤을 표현하였다. 『미와 추』는 아름다움에 대한 과한 열망과 성형문화라는 단어를 탄생시키며 현대사회의 트렌드가 된 성형중독을 패션스타일과 패션과 관련된 사건을 통해 풍자하였다. 전통적인 미의 기준을 갖춘 캐릭터와 다양성에 근거한 재해석된 아름다움을 가진 캐릭터를 컬렉션 쇼 런웨이에 등장시킴으로써 대조적으로 표현하였다. 런웨이에 등장한 휠체어를 탄 모델과 잦은 성형수술로 일그러진 얼굴을 가진 캐릭터, 성형수술로 전신에 붕대를 감은 캐릭터 그리고 성형광고, 보톡스, 마네킹을 상징오브제로 사용하였다. 『행복과 불행』은 중심과 주변, 불완전함과 완전함을 넘어선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를 패션스타일과 패션과 관련된 상징오브제를 통해 표현하였다. 행복을 표현한 능동적인 삶을 액티브한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패럴림픽 선수의 패션스타일과 스트라이프 패턴의 상징오브제, 행복을 의미하는 다양한 타이포그래피로 표현하였으며, 불행의 모습을 자살을 시도하는 우울증 환자의 루즈한 캐주얼스타일과 우울증치료제와 같은 상징오브제, 우울증과 관련된 타이포그래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아티스트의 관점에서 사회적 메시지를 전하는 패션영상을 계획하고 양가성의 내용과 표현특성을 분야별로 분석하여 실제 작품에 적용해봄으로써, 사회적 의미를 더한 패션영상의 창의적 표현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 방법과 사회적 의미를 담은 패션영상이 제작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의의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3 II. 현대사회와 양가성 6 A. 양가성의 개념 6 B. 양가성의 학문분야별 특성 9 1.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양가성 9 2. 문학적 관점에서 본 양가성 13 3.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양가성 17 III. 현대미술에 나타난 양가성의 표현 20 A. 회화 및 조각에 나타난 양가성의 표현특성 20 1. 이중적 의미 21 2. 혼성적 이미지 28 3. 해체적 구조 33 B. 영상에 나타난 양가성의 표현특성 39 1. 다중 공간 39 2. 이중 이미지 43 3. 해학적 스토리 47 IV. 사회적 표현도구로서의 패션영상과 모션그래픽 53 A. 패션영상의 개념 및 전개 53 1. 패션영상의 개념 53 2. 패션영상의 발전과 확장 56 3. 패션영상의 유형 62 B. 패션영상과 사회적 표현 83 1. 패션영상의 사회적 역할 83 2. 패션영상과 사회적 이슈 90 3. 패션영상의 양가성 표현 102 C. 패션영상 표현방식으로서의 모션그래픽 105 1. 모션그래픽의 개념 105 2.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 108 3. 모션그래픽의 표현기법 118 V. 현대사회의 양가성을 표현한 패션영상 제작 131 A. 작품 계획 131 B. 작품 제작방법 및 과정 134 1. 양가성의 시각화 방법 및 과정 134 2. 패션영상 제작방법 및 과정 139 C. 작품 설명 147 VI. 결론 211 참고문헌 215 ABSTRACT 2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51631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현대사회의 양가성을 표현한 패션영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모션그래픽 기법을 중심으로-
dc.format.pagexv, 23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