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6 Download: 0

애니메이션에서 구상성과 추상성의 이중적 표현을 통한 언캐니와 희극성의 발생에 대한 연구

Title
애니메이션에서 구상성과 추상성의 이중적 표현을 통한 언캐니와 희극성의 발생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cidence of Uncanny and Comedy through the Double Expression of Concreteness and Abstractness in Animation : Focused on Researcher's Works
Authors
정주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유미
Abstract
애니메이션은 서사적, 재현적 특징을 가진 상업 애니메이션 분야에 치중해 발전해 옴으로써 실험애니메이션에 대한 제작과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져 오지 못했다. 특히 추상애니메이션 분야는 초기 애니메이션 역사에 큰 영향을 준 회화의 추상성 개념에 의지하여 ‘추상적 형태를 사용한 애니메이션’이라는 협소한 인식에 머물러 옴으로써 이를 둘러싼 편견과 혼란이 가중되어 왔다. 이러한 이유로 ‘구상형태를 사용한 추상애니메이션’ 형식의 작품들은 추상애니메이션의 범위 안에 포함되어 논의되어 오지 못했으며 일부 작가들의 개별적이며 예외적인 특징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구상형태를 사용한 추상애니메이션 형식은 구상성과 추상성을 이중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모호하고 혼란스러운 언캐니(Uncanny)와 희극성’의 고유한 미학적 표현이 가능한 추상애니메이션의 독자적 형식 중 하나이며, 그동안 협소하게 해석되어온 추상애니메이션에 대한 보다 넓은 표현의 가능성과 효과를 드러낼 수 있는 분야로서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추상애니메이션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애니메이션의 추상성에 대한 오해와 혼란을 가려내는 한편 결과적 추상성을 띠는 다양한 분야의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검토함으로써 추상애니메이션에 대한 확장된 정의를 제시하였으며 애니메이션에서 표현된 구상성과 구상성을 구분하기 위한 연구의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애니메이션 작품의 추상성은 형태의 추상성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개의 비서사성을 통해 결정되므로 ‘구상형태를 사용하여 작품의 종합적 추상성이 표현된 애니메이션 형식’은 구현이 가능하며, 이때 해당 형식을 사용한 애니메이션 작품은 구상성과 추상성이 함께 결합함으로써 대립된 요소들 간에 발생하는 이중성의 감각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상형태를 사용한 추상애니메이션 형식이 표현하는 이중성의 미학적 효과로서는 언캐니와 희극성에 주목하였으며, 또한 구상성과 추상성의 이중성을 통해 표현되는 언캐니와 희극성의 표현 방법과 독자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언캐니와 희극성은 대립된 요소가 이중적으로 결합되었을 때 나타나는 미학적 효과로서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감각의 공통된 발생 원인으로 ‘생명과 비생명’의 이중적 표현을 주장한 옌치(Jentsch)와 프로이트(Freud), 그리고 베르그송(Bergson)의 이론을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비생명과 생명의 이중적 표현을 통해 드러나는 언캐니와 희극성은 구상성과 추상성의 이중성을 내포하는 구상형태를 사용한 추상애니메이션 안에서 표현됨으로써 이중적 표현을 매개로 극대화되어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례와 표현의 양상을 제시하기 위해 퀘이 형제(Brother Quay), 얀 슈반크마이에르(Svankmajer), 데이비드 슈리글리(Shrigley), 프란시스 알리스(Alÿs), 데이비드 오레일리(O’reilly)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인 애니메이션 작가들의 기존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인의 애니메이션 작품인 <망설이는 개(Hesitating Dog)>와 <건강한 사람(Healthy Person)>에서 나타난 구상형태를 사용한 추상애니메이션의 형식과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언캐니와 희극성이 가진 생명과 비생명의 이중적 표현이 구상형태를 사용한 추상애니메이션에서 표현되었을 때, 그들이 본질적으로 가진 모호함과 혼란, 의심의 감각이 극대화되며 고유한 감각의 언캐니와 희극성이 발생함을 드러내고자 했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연구와 작품에의 적용을 통해 구상형태를 사용한 추상애니메이션이 가지고 있는 미학적, 사회적 의의와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논의의 계기를 마련하고, 나아가 추상애니메이션을 비롯한 실험 애니메이션 분야에 대한 관심과 제작의 증진을 통해 애니메이션의 균형 있는 발전과 성숙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animation has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commercial animation with narrative, representational features, production and discussion of experimental animation has not been fully made. In particular, the abstract animation sector has been increasingly biased and confused as it has stayed in narrow perception of 'animation using abstract form' by relying on the abstract concept of painting that greatly influenced the early animation history. For this reason, works in the form of abstract animation using the figurative form have not been discussed within the scope of abstract animation, and have been considered as individual and exceptional features of some animators. However, abstract animation format using figurative form is one of the independent forms of abstract animation which allows unique aesthetic representation of 'vague and confused uncanny and comedy' by dual representations of creativity and abstractness, and has the need and significance of research as an area that can reveal the possibility and effect of abstract animation that has been narrowly interpreted. Thus, through the preceding study of abstract anim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extended definition of abstract animation and analysis frame of research on abstract animation by examining animation works in various fields with consequential abstractness while sorting out misunderstanding and confusion about the abstractness of animation. This shows that the abstractness of an animation piece is not determined by the abstractness of form, but by non-narrativity of deployment, the 'animation form in which the composite abstractness of the work is expressed using the figurative form' can be realized, and it is found the animation using the relevant format creates a sense of duality that occurs between the opposing elements by combining the abstractness with the conceptuality. As the aesthetic effect of duality expressed by abstract animation form using figurative form,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Uncanny and Comedy, and also analyzed the expression method and unique features of Uncanny and Comedy expressed through the duality of the figurative and abstract. Uncanny and Comedy are the aesthetic effects that occur when the opposing elements are double combined, and in this paper the discussion is based on the theory of Jentsch and Freud and Bergson, who argued for the dual expression of 'life and non-life' as the common cause of occurrence of these two senses. Uncanny and comedy, which are revealed through the dual expression of non-life and life, can be represented by maximizing the dual expression through medium by being expressed within abstract animation using figurative form, which implies the duality of conception and abstractness. In order to provide more specific examples and aspects of expression, existing works by animators in various fields were analyzed, including the Brother Quay, Jan Svankmajer, David Shrigley, Francis Alÿs and David O'Reilly. Also, by analyzing the forms and effects of abstract animation using the figurative form shown in own animation works "Hesitating Dog" and "Healthy Person," it is intended to reveal that the ambiguities and confusion, sense of doubt that they have are maximized and the unique sense of uncanny and comedy are occurred when the uncanny and comedy are expressed in abstract animation using the figurative forms that are used the dual expressions of life and non-life. Through the above research and the application to the works, this paper expect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new discussion on the aesthetic and social significance and possibility of abstract animation using figurative form,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balanced development and maturity of animation through the promotion of interest and production in experimental animation fields, including abstract anim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