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효정-
dc.contributor.author김봄이-
dc.creator김봄이-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19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19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8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89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90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by single blinded and randomized controlled,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shoulder pain, ROM of shoulder joint. A total of 54 elderly participants with shoulder pain were recruited from welfare facilities, and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27) and a placebo control group(n=27).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11th to May 15th, 2018.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and placebo control groups received auricular acupressure on shoulder pain related points(shenmen, liver, shoulder, shoulder joint, neck) as well as to shoulder pain unrelated points(helix4, mouth, rectum, internal ear, tonsil)respectively.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or a total of eight weeks, with five consecutive days a week. To validate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pain intensity, pain pressure threshold,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and range of motion were conducted. Pain intensity was measured at the before every intervention and end of all the intervention. Pain pressure threshold,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and range of motion were measured at the start and end of the interven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IBM SPSS Statistic version 22.0 to calculate the repeated measures ANOVA,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ain intensity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placebo control group after intervention(F=4.629, p= .036), as well as over the time (F=9.328, p< .001). 2. After 8 weeks, the experimental group’s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ver time compared to the placebo control group(t=-5.570, p< .001). 3. After 8 weeks, the experimental group’s pain pressure threshold of upper trapezius(t=5.596, p< .001), lavator scapulae(t=4.788, p< .001), and rhomboideus major(t=4.903, p< .001)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lacebo control group. 4. After 8 weeks, the experimental group’s ROM of flexion(t=5.219, p< .001), abduction(t=3.667, p< .001), and external rotation(t=4.985, p< .001)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lacebo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nal rota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uricular acupressure is effective in shoulder pain and ROM of shoulder joint. In addition, there were not any side effect during intervention. Consequently, it showed that auricular acupressure can be used as a proven nursing intervention method for shoulder pain in elders to reducing joint pain and improving shoulder ROM;최근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컴퓨터나 모바일기기의 상용화, 스포츠 활동이 증가하는 생활양식의 변화 등으로 인해 견비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견비통 치료에는 약물요법이 주로 이용되나 약물요법은 부작용과 오·남용의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견비통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안전하고 감염의 위험이 적으며, 비용 효율적인 이압요법을 적용하여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압요법이 견비통이 있는 노인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무작위 배정, 단일 맹검, 플라세보 대조군 비교 설계를 이용한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S시와 경기도 G시에 소재한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 중 견비통이 있는 노인으로 실험군 27명, 플라세보 대조군 27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9년 3월 11일부터 5월 15일까지 진행하였다. 실험군에는 견비통과 관련된 귀 반응구역(점)인 신문, 간, 어깨, 어깨관절, 경부에 이압요법을 적용하였고 플라세보 대조군에는 견비통과 관련이 없는 귀 반응구역(점)인 륜4, 입, 직장, 편도, 내이에 이압요법을 적용하였다. 첩압 기간은 1회 5일로 8주 동안 총 8회 시행하였다. 통증을 평가하기 위해 주관적 도구인 시각적 사상 척도(Visual Analog Scale, VAS)와 어깨 통증 및 장애 정도(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를 측정하였고, 객관적인 통증 평가를 위해 압통기를 이용하여 상부승모근, 견갑거근, 대능형근의 압통역치(Pressure Pain Thresholds, PPTs)를 측정하였다. 관절가동범위는 측각기를 이용하여 굴곡, 외전, 외회전, 내회전 각도를 측정하였다.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매주 이압요법 적용 전 시각적 사상 척도를 측정하였으며 사전조사 및 사후조사로 어깨 통증 및 장애 정도, 압통역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플라세보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및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해 검증하였고, 두 그룹 간의 시간 경과에 따른 통증 강도 변화는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어깨 통증 및 장애 정도, 압통역치, 관절가동범위의 사전·사후 변화 및 차이는 paired t-test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압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플라세보 대조군보다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매주 반복 측정한 통증 강도는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4.629, p= .036) 각 그룹 내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34.731, p < .001), 이압요법 적용 여부와 시간에 따른 상호작용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9.328, p < .001). 어깨 통증 및 장애 정도 또한 이압요법 적용 후 두 그룹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5.111, p < .001). 압통 역치 마찬가지로 이압요법 적용 후 상부승모근(t=5.596, p < .001), 견갑거근(t=4.788, p < .001), 대능형근(t=4.903, p < .001)에서 그룹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압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플라세보 대조군보다 관절가동범위가 증가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8주간 이압요법 적용 후 측정한 관절가동범위 수치는 실험 전과 비교하여 굴곡(t=5.219, p < .001), 외전(t=3.667, p < .001), 외회전(t=4.985, p < .001) 각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내회전 각도는 두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8주간의 이압요법은 견비통이 있는 노인의 통증 감소와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상자의 주관적 통증뿐만 아니라 객관적으로 측정한 압통 역치 증가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부작용으로 인해 귀에 상처가 발생한 경우는 없었다. 따라서 이압요법은 임상현장에서 견비통이 있는 노인의 통증완화와 관절가동범위 증가에 효과가 검증된 중재 요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연구 가설 5 D.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고찰 8 A. 노인의 견비통과 보완대체요법 8 B. 견비통과 이압요법 14 Ⅲ. 연구방법 18 A. 연구설계 18 B. 연구대상 19 C. 연구도구 22 D. 연구진행절차 24 E. 자료분석 28 F. 연구의 제한점 29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0 A. 실험군과 플라세보 대조군의 동질성 30 B. 가설검증 37 Ⅴ. 결론 및 제언 49 참고문헌 52 부록 1. IRB 심의 결과 통보서 66 부록 2. 연구 설명문 68 부록 3. 연구 동의서 72 부록 4. 설문지 73 부록 5. 압통역치와 관절가동범위 측정표 76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613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이압요법이 견비통이 있는 노인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the Joint Pain and Range of Motion in the Elderly with Shoulder Pain-
dc.creator.othernameKim, Bom Yi-
dc.format.pagev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